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네티즌, 사업자단체, NGO 및 시민운동단체, 지구화 시대에 있어 대학의 사회적 역할, 네그리와 하트(Negri and Hardt)가 규정한 21세기 제국의 다중(multitude) 네트워크, WEF(W...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7190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네티즌, 사업자단체, NGO 및 시민운동단체, 지구화 시대에 있어 대학의 사회적 역할, 네그리와 하트(Negri and Hardt)가 규정한 21세기 제국의 다중(multitude) 네트워크, WEF(W...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네티즌, 사업자단체, NGO 및 시민운동단체, 지구화 시대에 있어 대학의 사회적 역할, 네그리와 하트(Negri and Hardt)가 규정한 21세기 제국의 다중(multitude) 네트워크, WEF(World Economic Forum, 일명 다보스 포럼)과 WSF(World Social Forum) 및 유엔 글로벌 회의(UN Global Conference)와 같은 글로벌 포럼(Global Forum) 등 다양한 분석 대상 및 주제를 다룰 것이다. 연구는 첫째, 거버넌스에 있어 지구화 시대의 새로운 시민사회 역할과 기여를 분석한다. 둘째,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지구화 시대 거버넌스 연구의 분석 대상 및 수준의 다양성에 주안점을 두고 다차원적인 거버넌스 분석을 시도한다. 셋째, 지구화 시대 거버넌스의 실천적 함의를 중시하는 실사구시적인 연구를 시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세부과제들은 연구소 총괄주제와 연관성을 가지는 한국 NGO의 글로벌화, 산-학-시민사회의 연계로서 대학의 사회적 책임, 한국 정치경제와 사업자단체, 한국의 상호문화주의(multi-culturalism), 한국 여성운동과 여성정책의 발전, 2008 한국 촛불집회와 네트워크 시민운동 등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거버넌스 시각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