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직업계고 교사의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The Need Analysis for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ourse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1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a basic data of establishing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CNTQ) support program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operating CNTQ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to contribute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a basic data of establishing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CNTQ) support program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operating CNTQ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to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school settlement of CNTQ course.
      To achieve those purposes, this study drew 27 tasks performed by teachers operating CNTQ. Also, it surveye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ed that ‘selection of qualification fields and confirmation of organization criteria, organization of educational training time by competency unit,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establishment of competency unit operating plan by grade and semester,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re-education and re-evaluation students with grades under 40%, guidance of paper evaluation, guidance of practical evaluation, guidance of interview evaluation’ are the first priority tasks in the result of the need analysi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external evaluation, guidance to retake an exam for failure’ are the secondary priority task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t will be more positive effects if the educational needs in the next CNTQ support program include contents of the first priority task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tasks of operating plan stages is commonly high. In particular, the highest ranking in the result means that it is completely supported from the first step on operating course.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which teachers on operating the course of similar qualification fields share each operating experience is effective. Third,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external evaluation step ranked high. External evaluation has a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and a form of practical evaluation output according to qualification fields, so the method of guidance has to be different. It needs the program constructed by similar fiel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 시에 수행하게 되는 직무 내용을 도출하고 각각의 직무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교육 요구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정평가...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 시에 수행하게 되는 직무 내용을 도출하고 각각의 직무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교육 요구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직업계고 담당 교사의 직무 27개를 도출하고, 도출된 직무에 대하여 11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도출된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능력 정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하는 조사도구를 작성하여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을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 예정인 직업계고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t검정, 보리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의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고, 교육 요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교 및 운영 예정교 교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순위 분석 결과 ‘자격 종목 선정 및 편성기준 확인, 교육훈련시간 편성, 교과목 편성 및 학년‧학기별 능력단위 운영 계획 수립, 수업 자료 선정, 교육‧훈련 실시, 평가 계획 수립, 평가 실시, 40%미만 이수자 재교육 및 재평가, 지필평가 지도, 실무평가 지도, 면접평가 지도’ 직무가 최우선순위 직무로 나타났으며 ‘외부평가 원서 접수, 불합격자 재응시 지도’가 차우선순위 직무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개설되는 과정평가형 자격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최우선순위의 직무 내용을 포함한다면 좀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운영 계획 단계의 직무들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과정 운영의 시작 단계부터 적극 지원해야 한다. 단순히 편성 기준에 맞추는 것에서 나아가 실제 수업이 가능토록 하는 역량 개발이 중요하다. 셋째, 외부평가 단계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자격 종목별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진행 중 종목별 분반을 통한 심화 교육, 지필평가와 면접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임, "자격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2 강순희,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4 이동임,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나 자격의 운영과 연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5 한국법제연구원, "국가자격제도의 분류, 현황 및 문제점" 2018

      6 안재영, "교육-자격을 연계한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7 조세형, "과정평가형자격 운영실태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8 한국산업인력공단, "과정평가형 자격 국가기술자격 직무역량 강화 교육 자료"

      9 김상진,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10 Doris McGartland Rubio,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27 (27): 94-104, 2003

      1 이동임, "자격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2 강순희,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3

      3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4 이동임,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나 자격의 운영과 연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5 한국법제연구원, "국가자격제도의 분류, 현황 및 문제점" 2018

      6 안재영, "교육-자격을 연계한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7 조세형, "과정평가형자격 운영실태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8 한국산업인력공단, "과정평가형 자격 국가기술자격 직무역량 강화 교육 자료"

      9 김상진,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10 Doris McGartland Rubio,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27 (27): 94-104, 2003

      11 이동임, "NCS 기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운영 성과와 개선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2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91

      13 한국산업인력공단, "CQ-Net_운영기관 매뉴얼(과정평가형 부분을 발췌하여 제시)"

      14 Borich, G.,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31): 39-42, 1980

      15 고용노동부, "2019년 시행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교육‧훈련과정 지정 공고"

      16 한국산업인력공단, "2018년 과정운영기관 지정을 위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설명회자료"

      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년도 과정평가형 자격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7 1.4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