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특성 고찰 -문정희, 정끝별, 나희덕, 김선우 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287-319, 2010
2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3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 정수자·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문화학회 (41) : 139-166, 2018
4 강현덕, "한림정 역에서 잠이 들다" 태학사 2001
5 강현덕, "첫눈 가루분 1호" 동학사 2013
6 메르시아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2000
7 로즈마리 풋남 통, "자연, 여성, 환경; 에코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한신출판사 2000
8 이연승,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현대 여성 시조 연구 - 한분순, 김일연의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73) : 325-356, 2021
9 마리아 미스, "에코페미니즘" 창비 2000
10 강현덕, "안개는 그 상점에서 흘러나왔다" 천년의 시작 2010
1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특성 고찰 -문정희, 정끝별, 나희덕, 김선우 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287-319, 2010
2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3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 정수자·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문화학회 (41) : 139-166, 2018
4 강현덕, "한림정 역에서 잠이 들다" 태학사 2001
5 강현덕, "첫눈 가루분 1호" 동학사 2013
6 메르시아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2000
7 로즈마리 풋남 통, "자연, 여성, 환경; 에코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한신출판사 2000
8 이연승,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현대 여성 시조 연구 - 한분순, 김일연의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73) : 325-356, 2021
9 마리아 미스, "에코페미니즘" 창비 2000
10 강현덕, "안개는 그 상점에서 흘러나왔다" 천년의 시작 2010
11 장경렬, "시간성의 시학-시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
12 최재선, "선정주 시조의 생태의식 연구" 문학과환경학회 18 (18): 259-290, 2019
13 이혜원, "생명의 거미줄" 소명출판 2000
14 캐롤린 머천트, "래디컬 에콜로지" 이후 2007
15 이진우, "녹색 사유와 에코토피아" 문예출판사 2000
16 김재희, "깨어나는 여신" 정신세계사 2000
17 남기택, "김유진 시 연구-생태시 지평과 <청포도>의 문학사회학" 문학과환경학회 19 (19): 3-35, 2020
18 남진숙, "고은 초기시의 생태적 자아 -바다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학회 16 (16): 7-3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