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현덕 시조의 에코페미니즘적 고찰 = A Study on the Ecofeminism of Kang Hyun-duk's 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9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looked at the works of Kang Hyun-duk, who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 in modern sijo po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Kang’s poems show a simple and restrained image in terms of the restoration and practice of femininity, and also show affinity with ecological literature in that she reflects on herself on the basis of the natural ecosystem. The reason for using ecofeminism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se works is because of the socio-ecological background of the 21st century, where the key words of nature, women, and ecology are still important. If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oets’ works are differentiated by new thematic consciousness and emo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identity of sijo, which boasts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modern value and thematic consciousness are realized in the works of women sijo poets.
      I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poet’s work in three aspects and suggested a new approach to modern sijo. First, it aims for ecotopia through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organic self. Second, it shows insight into the value and vitality of women’s lives, and third, it shows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egalitarianism and spirituality that actively understands the interrelated network of life on earth.
      Kang Hyun-duk’s work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newly differentiated appearance of modern sijo by embody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he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restoration of spirituality for all things. Based on my discussion, I tried a new approach to the poet of modern women’s sijo and could look at the method of creation and modern poetic consciousness of those who have overlooked it.
      번역하기

      I have looked at the works of Kang Hyun-duk, who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 in modern sijo po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Kang’s poems show a simple and restrained image in terms of the restoration and practice of femininity, and...

      I have looked at the works of Kang Hyun-duk, who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 in modern sijo po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Kang’s poems show a simple and restrained image in terms of the restoration and practice of femininity, and also show affinity with ecological literature in that she reflects on herself on the basis of the natural ecosystem. The reason for using ecofeminism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se works is because of the socio-ecological background of the 21st century, where the key words of nature, women, and ecology are still important. If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oets’ works are differentiated by new thematic consciousness and emo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identity of sijo, which boasts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modern value and thematic consciousness are realized in the works of women sijo poets.
      I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poet’s work in three aspects and suggested a new approach to modern sijo. First, it aims for ecotopia through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organic self. Second, it shows insight into the value and vitality of women’s lives, and third, it shows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egalitarianism and spirituality that actively understands the interrelated network of life on earth.
      Kang Hyun-duk’s work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newly differentiated appearance of modern sijo by embody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he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restoration of spirituality for all things. Based on my discussion, I tried a new approach to the poet of modern women’s sijo and could look at the method of creation and modern poetic consciousness of those who have overlooked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현대 시조 문단에서 주목할 성취를 이룩한 강현덕 시인의 작품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그녀의 시는 여성성의 회복과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단아하고 절제된 이미지를 보여줄 뿐 아니라 자연 생태계의 모습을 통해 자신을 존재론적으로 성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 문학과의 친연성을 보여준다.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서 에코페미니즘에 다시 주목하는 것은 자연과 여성, 생태라는 키워드가 여전히 중요한 21세기의 사회 생태학적 배경 때문이기도 하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시조의 본래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주제 의식과 감성으로 시인들의 작품이 많이 분화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여성 시조 시인의 작품에 현대적 가치와 주제 의식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시인의 작품을 세 가지 측면에서 유형화시켜 분석하고 현대 시조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첫째, 자연과의 교감과 유기체적 자아를 통해 에코토피아를 지향한다는 점이며 둘째, 여성의 몸을 대상으로 여성적 삶의 가치와 생명력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는 점, 셋째, 지구상의 생명체의 상호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이해하는 생태 평등주의와 영성(靈性)의 구현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강현덕의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 관계, 만물에 대한 평등의식과 영성의 회복 등에 대해 형상화 시킴으로써 새롭게 분화된 현대 시조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 여성 시조 시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 그동안 간과했던 이들의 창작 방법과 현대적인 시 의식을 조망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필자는 현대 시조 문단에서 주목할 성취를 이룩한 강현덕 시인의 작품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그녀의 시는 여성성의 회복과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단아하고 절제된 이미지...

      필자는 현대 시조 문단에서 주목할 성취를 이룩한 강현덕 시인의 작품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그녀의 시는 여성성의 회복과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단아하고 절제된 이미지를 보여줄 뿐 아니라 자연 생태계의 모습을 통해 자신을 존재론적으로 성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 문학과의 친연성을 보여준다.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서 에코페미니즘에 다시 주목하는 것은 자연과 여성, 생태라는 키워드가 여전히 중요한 21세기의 사회 생태학적 배경 때문이기도 하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시조의 본래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주제 의식과 감성으로 시인들의 작품이 많이 분화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여성 시조 시인의 작품에 현대적 가치와 주제 의식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시인의 작품을 세 가지 측면에서 유형화시켜 분석하고 현대 시조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첫째, 자연과의 교감과 유기체적 자아를 통해 에코토피아를 지향한다는 점이며 둘째, 여성의 몸을 대상으로 여성적 삶의 가치와 생명력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는 점, 셋째, 지구상의 생명체의 상호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이해하는 생태 평등주의와 영성(靈性)의 구현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강현덕의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 관계, 만물에 대한 평등의식과 영성의 회복 등에 대해 형상화 시킴으로써 새롭게 분화된 현대 시조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 여성 시조 시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 그동안 간과했던 이들의 창작 방법과 현대적인 시 의식을 조망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특성 고찰 -문정희, 정끝별, 나희덕, 김선우 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287-319, 2010

      2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3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 정수자·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문화학회 (41) : 139-166, 2018

      4 강현덕, "한림정 역에서 잠이 들다" 태학사 2001

      5 강현덕, "첫눈 가루분 1호" 동학사 2013

      6 메르시아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2000

      7 로즈마리 풋남 통, "자연, 여성, 환경; 에코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한신출판사 2000

      8 이연승,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현대 여성 시조 연구 - 한분순, 김일연의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73) : 325-356, 2021

      9 마리아 미스, "에코페미니즘" 창비 2000

      10 강현덕, "안개는 그 상점에서 흘러나왔다" 천년의 시작 2010

      1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특성 고찰 -문정희, 정끝별, 나희덕, 김선우 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3 : 287-319, 2010

      2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3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무의식 재현 방법 연구 ― 정수자·홍성란 시조를 중심으로 ―" 한국시가문화학회 (41) : 139-166, 2018

      4 강현덕, "한림정 역에서 잠이 들다" 태학사 2001

      5 강현덕, "첫눈 가루분 1호" 동학사 2013

      6 메르시아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2000

      7 로즈마리 풋남 통, "자연, 여성, 환경; 에코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한신출판사 2000

      8 이연승,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현대 여성 시조 연구 - 한분순, 김일연의 시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73) : 325-356, 2021

      9 마리아 미스, "에코페미니즘" 창비 2000

      10 강현덕, "안개는 그 상점에서 흘러나왔다" 천년의 시작 2010

      11 장경렬, "시간성의 시학-시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

      12 최재선, "선정주 시조의 생태의식 연구" 문학과환경학회 18 (18): 259-290, 2019

      13 이혜원, "생명의 거미줄" 소명출판 2000

      14 캐롤린 머천트, "래디컬 에콜로지" 이후 2007

      15 이진우, "녹색 사유와 에코토피아" 문예출판사 2000

      16 김재희, "깨어나는 여신" 정신세계사 2000

      17 남기택, "김유진 시 연구-생태시 지평과 <청포도>의 문학사회학" 문학과환경학회 19 (19): 3-35, 2020

      18 남진숙, "고은 초기시의 생태적 자아 -바다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학회 16 (16): 7-3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