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이천의 <한경사(漢京詞)>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화 방식 연구 = A Study of Seoul Formation Methods Appearing in Kang Yi-cheon’s Hangyeongsa (漢京詞)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9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에 서울을 대상으로 창작된 작품군과 <한경사(漢京詞)>를 비교하여 <한경사>의 창작 방식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강이천이 <한경사>에서 18세기 후반 서울의 모습을 형상화한 방법을 분석하였다.
      <한경사>는 강이천이 서울이라는 대주제를 바탕으로 자유롭게 연상되는 소재를 106수의 연작시로 창작한 작품이다. 강이천은 조선 전기부터 이어져 온, 서울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기반으로 서울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방식을 수용하면서, 동시대에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을 소재로 <한경사>를 창작하였다. 강이천이 이러한 방법으로 시를 창작한 이유는 서울의 명소는 한정되어 있으며, 그 장소의 속성만으로는 서울의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강이천이 <한경사>에서 서울을 형상화한 방식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방법은 서울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바탕으로 그 이미지를 표현했다는 점이다. 그는 조선 전기부터 이어져 온 서울의 이미지 표현 방식을 수용하여 번화하면서도 태평성대가 실현되는 공간으로 서울을 표현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다양한 계층과 직업군의 인물과 그들의 사연을 칠언절구(七言絶句)의 형식에 맞춰 압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강이천은 이러한 방법을 서울의 다양한 면모를 드러냈다. 세 번째 방법은 강이천이 직간접으로 체험한 서울의 문물과 그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만든 시적 표상 공간을 통해 서울의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강이천은 경험과 상상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공간을 통해 서울의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처럼 <한경사>는, 강이천이 서울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기존의 방식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창작 방식을 도입하여 서울의 다양한 면모를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에 서울을 대상으로 창작된 작품군과 <한경사(漢京詞)>를 비교하여 <한경사>의 창작 방식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강이천이 <한경사>에서 18세기 ...

      본고는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에 서울을 대상으로 창작된 작품군과 <한경사(漢京詞)>를 비교하여 <한경사>의 창작 방식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강이천이 <한경사>에서 18세기 후반 서울의 모습을 형상화한 방법을 분석하였다.
      <한경사>는 강이천이 서울이라는 대주제를 바탕으로 자유롭게 연상되는 소재를 106수의 연작시로 창작한 작품이다. 강이천은 조선 전기부터 이어져 온, 서울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기반으로 서울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방식을 수용하면서, 동시대에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을 소재로 <한경사>를 창작하였다. 강이천이 이러한 방법으로 시를 창작한 이유는 서울의 명소는 한정되어 있으며, 그 장소의 속성만으로는 서울의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강이천이 <한경사>에서 서울을 형상화한 방식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방법은 서울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바탕으로 그 이미지를 표현했다는 점이다. 그는 조선 전기부터 이어져 온 서울의 이미지 표현 방식을 수용하여 번화하면서도 태평성대가 실현되는 공간으로 서울을 표현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다양한 계층과 직업군의 인물과 그들의 사연을 칠언절구(七言絶句)의 형식에 맞춰 압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강이천은 이러한 방법을 서울의 다양한 면모를 드러냈다. 세 번째 방법은 강이천이 직간접으로 체험한 서울의 문물과 그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만든 시적 표상 공간을 통해 서울의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다. 강이천은 경험과 상상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공간을 통해 서울의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처럼 <한경사>는, 강이천이 서울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기존의 방식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창작 방식을 도입하여 서울의 다양한 면모를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영, "한문단편의 ‘겸인(傔人)’ 소재와 그 의미"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281-308, 2018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유본예, "한경지략-조선 후기 서울의 인문지리 역사서" 탐구당 2016

      4 권정은, "집경시에 투영된 한양의 시적 형상과 풍경의 특징" 한국국어교육학회 (112) : 289-316, 2017

      5 주지영, "중암 강이천의 문학관과 〈漢京詞〉" 동아시아고대학회 (43) : 7-36, 2016

      6 권정은, "조선후기 시와 그림에 나타난 성시(城市) 풍경의 양상 비교" 한국비교문학회 (66) : 5-30, 2015

      7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8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9 박희병, "저항과 아만(我慢): 『호동거실』 평설" 돌배개 2012

      10 박현욱, "이집두의 「성시전도시」" 서울역사편찬원 (87) : 39-74, 2014

      1 이주영, "한문단편의 ‘겸인(傔人)’ 소재와 그 의미"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281-308, 2018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유본예, "한경지략-조선 후기 서울의 인문지리 역사서" 탐구당 2016

      4 권정은, "집경시에 투영된 한양의 시적 형상과 풍경의 특징" 한국국어교육학회 (112) : 289-316, 2017

      5 주지영, "중암 강이천의 문학관과 〈漢京詞〉" 동아시아고대학회 (43) : 7-36, 2016

      6 권정은, "조선후기 시와 그림에 나타난 성시(城市) 풍경의 양상 비교" 한국비교문학회 (66) : 5-30, 2015

      7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8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9 박희병, "저항과 아만(我慢): 『호동거실』 평설" 돌배개 2012

      10 박현욱, "이집두의 「성시전도시」" 서울역사편찬원 (87) : 39-74, 2014

      11 하지영, "윤제규(尹濟奎) 한시에 나타난 19세기 풍경과 사랑" 한국고전연구학회 (56) : 43-73, 2022

      12 김춘식, "시적 표상공간의 장소성 - 백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3) : 365-396, 2012

      13 박현욱, "성시전도시의 유형과 18세기 서울의 경관 - 13종 성시전도시를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90) : 69-128, 2015

      14 박현욱, "성시전도시로 읽는 18세기 서울 : 13종 성시전도시 역주" 보고사 2015

      15 안대회,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 9종" 태학사 46 : 171-201, 2009

      16 안대회, "새로 찾은 『성시전도시(成市全圖時)』 세 편과 『평양전도시(平壤全圖時)』한 편" 태학사 62 : 148-163, 2013

      17 한국고전문학연구회, "문학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한샘출판사 1994

      18 서정화, "광통교, 조선 후기 한양의 핫 플레이스- 강이천의 「한경사」를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소 10 (10): 37-66, 2018

      19 강수진, "강준흠의 「漢京雜詠」에 나타난 19세기 서울 공간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41 (41): 299-328, 2019

      20 방현아, "강이천과 「漢京詞」" 민족문학사학회 5 : 194-224, 1994

      21 서정화, "강이천(姜彛天)의 「한경사(漢京詞)」에 나타난18세기 서울- 궁중행사, 군사훈련, 문인 관료의 삶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67) : 265-295, 2017

      22 강이천, "重菴稿"

      23 方賢娥, "重菴 姜彛天의 『漢京詞』 연구 : 18세기 서울의 도시적 양상의 형상화"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24 강경훈, "重菴 姜彛天 文學 硏究 : 「漢京詞」를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8

      25 방현아, "芝園 姜世綸의 「漢京雜詠」 硏究" 우리한문학회 41 (41): 329-363, 2019

      26 정우봉, "姜彛天의 『漢京詞』에 대하여: 18세기 서울의 시적 형상화" 일지사 20 : 26-51, 1994

      27 안대회, "城市全圖詩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한국고전문학회 (35) : 213-249, 2009

      28 김현정, "『한경지략』을 통해 본 19세기 서울인식" 도시인문학연구소 4 (4): 115-146, 2012

      29 장지연, "『한경지략(漢京識略)』을 통해본 19세기 한 서울인의 자의식" 서울학연구소 (70) : 71-100, 2018

      30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출판 1999

      31 이우성, "18世紀 서울의 都市的 樣相-燕巖學派~利用厚生學派의 成立背景"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7 : 7-46, 1963

      32 이태진, "18-19세기 서울의 근대적 도시발달 양상"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4 : 1-36,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