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파장계 광 스위칭 소자 구현을 위한 InGaAsP/InP 다중 양자우물 구조의 최적화 = Optimization of the structure of InGaAaP/InP multiple quantum well for reallization of the optical switching devices operating at 1.55㎛ wavelen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17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55㎛ 파장에서 작동하는 광쌍안정 스위치의 구현을 위해 여기자 흡수 효과를 높여 사중 혼성구조인 InGaAsP/InP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최적화하는 계산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계를 가하지 않았을 경우의 중공 여기자 흡수 최대치가 1.55㎛의 파장에서 얻어지도록 유지하며 In1-xGaAsP1-y/InP혼성구조에서 [α(0)-α(F)] /α(F)로 정의된 γ값의 최대치를 주는 x, y, 양자우물의 폭 등을 구했다. γ값의 최대치는 y=1.0, x=0.477 그리고 양자우물의 폭이 90Å일 때 30.2로 얻어졌으며 이 γ값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0Å의 삼중 양자우물 구조에서의 값의 약 세 배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1.55㎛ 파장에서 작동하는 광쌍안정 스위치의 구현을 위해 여기자 흡수 효과를 높여 사중 혼성구조인 InGaAsP/InP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최적화하는 계산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계를 가하지 않았...

      1.55㎛ 파장에서 작동하는 광쌍안정 스위치의 구현을 위해 여기자 흡수 효과를 높여 사중 혼성구조인 InGaAsP/InP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최적화하는 계산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계를 가하지 않았을 경우의 중공 여기자 흡수 최대치가 1.55㎛의 파장에서 얻어지도록 유지하며 In1-xGaAsP1-y/InP혼성구조에서 [α(0)-α(F)] /α(F)로 정의된 γ값의 최대치를 주는 x, y, 양자우물의 폭 등을 구했다. γ값의 최대치는 y=1.0, x=0.477 그리고 양자우물의 폭이 90Å일 때 30.2로 얻어졌으며 이 γ값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0Å의 삼중 양자우물 구조에서의 값의 약 세 배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optimiza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alculation is performed to enhance the excitonic electroabsoiption effect in the quaternary InGaAsP/mP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for use in the bistable switching devices operating at 1.55㎛ wavelength. The maximum value of a parameter, γ, defined as [α(0)-α(F)] /α(F) is searched by adjusting x, y, and quantum well width in the In1-xGaxAsyP1-y/InP heterostructure assuming that the heavy-hole excitonic absorption peaks at zero electric field occur at 1.55㎛ wavelength. The maximum value of r is obtained as 30.2 for y=1.0, x=0.477, and well width 90 Å and found that this value is about three times as high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ernary quantum well structure which has the well width of 100 Å.
      번역하기

      An optimiza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alculation is performed to enhance the excitonic electroabsoiption effect in the quaternary InGaAsP/mP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for use in the bistable switching devices operating at 1.55㎛ wavelen...

      An optimiza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alculation is performed to enhance the excitonic electroabsoiption effect in the quaternary InGaAsP/mP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for use in the bistable switching devices operating at 1.55㎛ wavelength. The maximum value of a parameter, γ, defined as [α(0)-α(F)] /α(F) is searched by adjusting x, y, and quantum well width in the In1-xGaxAsyP1-y/InP heterostructure assuming that the heavy-hole excitonic absorption peaks at zero electric field occur at 1.55㎛ wavelength. The maximum value of r is obtained as 30.2 for y=1.0, x=0.477, and well width 90 Å and found that this value is about three times as high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ernary quantum well structure which has the well width of 100 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