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광주 지역에서 학습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환경 요인’, ‘교수-학습 요인’, ‘교수자 요인’, ‘학습자 요인’의 ‘현재 실태’와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00439
2009
-
3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7-90(24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광주 지역에서 학습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환경 요인’, ‘교수-학습 요인’, ‘교수자 요인’, ‘학습자 요인’의 ‘현재 실태’와 ‘기...
이 논문은 광주 지역에서 학습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환경 요인’, ‘교수-학습 요인’, ‘교수자 요인’, ‘학습자 요인’의 ‘현재 실태’와 ‘기대 수준’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 요구도를 영역별로 분석해 본 것이다.
이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에 대한 높은 요구도 점수 항목은 ‘한국어 능력 시험 대비 교과목 개설(0.90점)’, ‘한국어 수업 수강 전 학교 홈페이지를 통한 강의계획서 확인(0.88점)’, 그리고 ‘중국인 친구와 한국어 스터디 그룹 구성(0.82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별 요구에서는 ‘학습자 요인’의 요구도 점수가 제일 높았으며(0.62점), 이어 ‘환경 요인(0.53점)’, ‘교수-학습 요인(0.48점)’, ‘교수자 요인(0.3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광주 지역 한국어 교육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요구도를 이해하게 할 수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교육 관계자와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지방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고, 나아가 한국어 교육 현장에 지방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degree of need for Chinese stude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in Gwangju. The study's subjects were 502 Chinese student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at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Gw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degree of need for Chinese stude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in Gwangju. The study's subjects were 502 Chinese student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at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Gwangju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question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ate of the Korean language from June 2 to 12, 200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need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TOPIK"
The subjects want to take a course on TOPIK(0.90). The subjects want to take a course through the school website(0.88) and join a study group to study the Korean language.(0.82)
2. At the lower level of response, subjects want to take a course on the Korean language because it is needed to take a course in their major(0.13), the teachers are kind (0.18), and teachers encourage students in class(0.20).
3. The highest scores based on factors are for the factor of learners (0.62), factor of environment (0.53), factor of teaching-learning method(0.48), and factor of teacher (0.36).
The results are useful as basic data to set up a plan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local Korean cities. Further studies need to apply these results in various local cit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육 국내외 웹사이트" 가삼 7-255, 2008
2 장연,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어 숙달 수준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 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3 강승혜, "재미교포 성인 학습자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26, 2002
4 최은지,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이중언어학회 (35) : 303-332, 2007
5 신쪼오 후토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 연구 -일본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2004
6 전은주, "국제 도시 부산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3-402, 2003
7 박석준,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69-200, 2008
8 이성호, "교육과정과 평가" 양서원 154-, 1985
9 박영순, "개고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월인 60-61, 2006
1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육 국내외 웹사이트" 가삼 7-255, 2008
2 장연,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어 숙달 수준 및 문화 적응 스트레스 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3 강승혜, "재미교포 성인 학습자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26, 2002
4 최은지,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이중언어학회 (35) : 303-332, 2007
5 신쪼오 후토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 연구 -일본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2004
6 전은주, "국제 도시 부산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3-402, 2003
7 박석준,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69-200, 2008
8 이성호, "교육과정과 평가" 양서원 154-, 1985
9 박영순, "개고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월인 60-61, 200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9-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6-06-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4 | 0.837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