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불암산 생태경관 보전지역 육상절지류(거미목, 딱정벌레목) 및 양서류 조사 – 생태가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13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불암산 생태경관 보전지역 내 삼육대학교 제명호 일대(37°38′29.06″N, 127°5′ 58.48″E)에서 서식하는 육상 절지동물 및 양서류의 서식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는 3월부터 양서류의 동면이 시작되는 11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월 1회씩 진행되었으며, 육상 절지동물은 거미목과 딱정벌레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거미류는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통으로 쓸어 담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딱정벌레류는 함정 채집,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통으로 쓸어 담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서류는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뜰채질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거미목에서는 16과 50종이 관찰되었으며, 딱정벌레목에서는 14과 39종이 확인되었다. 양서류는 4과 6종이 발견되었다. 또한, 서울시 보호야생생물 목록에 포함된 종은 거미목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딱정벌레목에서는 1종, 양서류에서 5종이 보호종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양서류에서 청개구리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이번 연구는 거미류, 딱정벌레류, 양서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불암산자연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거미목은 동정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딱정벌레목은 피트폴 트랩만 사용하여 조사되었고, 양서류는 선행 조사에서 발견된 종들이 관찰되지 않는 등 여러 보완점과 새로운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충실한 기초 자료가 쌓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지역에서는 낙엽과 흙이 파헤쳐지고 양서류의 은신처가 파괴되는 등 환경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될 경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역할이 약화되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가 지속된다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불암산 생태경관 보전지역 내 삼육대학교 제명호 일대(37°38′29.06″N, 127°5′ 58.48″E)에서 서식하는 육상 절지동물 및 양서류의 서식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는 3월부터 양서류의 동...

      본 연구는 불암산 생태경관 보전지역 내 삼육대학교 제명호 일대(37°38′29.06″N, 127°5′ 58.48″E)에서 서식하는 육상 절지동물 및 양서류의 서식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는 3월부터 양서류의 동면이 시작되는 11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월 1회씩 진행되었으며, 육상 절지동물은 거미목과 딱정벌레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거미류는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통으로 쓸어 담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딱정벌레류는 함정 채집,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통으로 쓸어 담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서류는 돌 뒤집기, 손으로 직접 채집, 뜰채질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거미목에서는 16과 50종이 관찰되었으며, 딱정벌레목에서는 14과 39종이 확인되었다. 양서류는 4과 6종이 발견되었다. 또한, 서울시 보호야생생물 목록에 포함된 종은 거미목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딱정벌레목에서는 1종, 양서류에서 5종이 보호종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양서류에서 청개구리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이번 연구는 거미류, 딱정벌레류, 양서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불암산자연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거미목은 동정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딱정벌레목은 피트폴 트랩만 사용하여 조사되었고, 양서류는 선행 조사에서 발견된 종들이 관찰되지 않는 등 여러 보완점과 새로운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충실한 기초 자료가 쌓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지역에서는 낙엽과 흙이 파헤쳐지고 양서류의 은신처가 파괴되는 등 환경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될 경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역할이 약화되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가 지속된다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arthropods and amphibians in the vicinity of Jemyeongho Lake at Samyuk University, located within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37°3 8′29.06″N, 127°5′58.48″E). Surveys were conducted monthly from March to November, totaling nine sessions, and focused primarily on the orders Arachnida and Coleoptera among terrestrial arthropods. The results revealed 16 families and 50 species of Arachnida, 14 families and 39 species of Coleoptera, and 4 families and 6 species of amphibians. Additionally, species listed in Seoul’s protected wildlife register were not found among Arachnida but included one species of Coleoptera and five species of amphibians. Notably, Dryophytes japonica was newly record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or biodiversity research in the Bulamsan area.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data on arachnids, beetles, and amphibians in the Bulamsan region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onservation of the area’s natural environment. However, limitations such as incomplete identification of some arachnid species, reliance on pitfall traps for beetle surveys, and the absence of certai n amphibian specie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indicat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employing diverse methodologies. Moreover,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tudy area, including the removal of leaf litter, soil disturbance, and destruction of amphibian hideouts, pose a threat to the conservation area’s ecological functions and biodiversity. Continuous environmental degradation may weaken the role of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lead to a decline in biodiversity. Active conservation efforts are essential to maintain ecological stability and biodiversity in the region.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arthropods and amphibians in the vicinity of Jemyeongho Lake at Samyuk University, located within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37°3 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arthropods and amphibians in the vicinity of Jemyeongho Lake at Samyuk University, located within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37°3 8′29.06″N, 127°5′58.48″E). Surveys were conducted monthly from March to November, totaling nine sessions, and focused primarily on the orders Arachnida and Coleoptera among terrestrial arthropods. The results revealed 16 families and 50 species of Arachnida, 14 families and 39 species of Coleoptera, and 4 families and 6 species of amphibians. Additionally, species listed in Seoul’s protected wildlife register were not found among Arachnida but included one species of Coleoptera and five species of amphibians. Notably, Dryophytes japonica was newly record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or biodiversity research in the Bulamsan area.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data on arachnids, beetles, and amphibians in the Bulamsan region and emphasizes the need for conservation of the area’s natural environment. However, limitations such as incomplete identification of some arachnid species, reliance on pitfall traps for beetle surveys, and the absence of certai n amphibian species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indicat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employing diverse methodologies. Moreover,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tudy area, including the removal of leaf litter, soil disturbance, and destruction of amphibian hideouts, pose a threat to the conservation area’s ecological functions and biodiversity. Continuous environmental degradation may weaken the role of the Bulamsa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lead to a decline in biodiversity. Active conservation efforts are essential to maintain ecological stability and biodiversity in the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