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전위험을 둘러싼 지역정치 연구 =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26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 및 경북지역의 원자력발전 시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행위자들의 관계를, 지역정치의 틀 내에서 정부와 지역주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고리1호기는 ‘안전...

      본 연구는 부산 및 경북지역의 원자력발전 시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행위자들의 관계를, 지역정치의 틀 내에서 정부와 지역주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고리1호기는 ‘안전할 때 끄자’고 주장할 정도로 큰 문제가 없었음에도 폐로로 결정되고, 월성1호기는 낮은 경제성과 심각한 삼중수소 누출로 폐쇄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음에도 계속 운전으로 결정되었다. 왜 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졌는지 그 원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전위험시설을 둘러싸고 정치, 경제, 사회, 지식·정보 등 네 영역 행위자들의 상호관계를 살펴본다. 둘째, 이중에서도 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학관계에 따라 정책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원전의 위험시설을 둘러싼 지역정치의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는 지역주민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시민단체와는 적절한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지방정부의 행정관료는 힘의 논리에 기반하여 거버넌스를 통제하는 등 주도하는 유형을 보였다. 둘째, 시민사회가 주도하면서 시민안전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협의체가 작동할 때 ‘고리1호기 폐로’라는 정책전환으로 이어졌다. 셋째, 원전의 위험시설을 둘러싼 지역정치는 행위자들의 역학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추구하는 가치 및 의제에 따라 위험거버넌스의 메카니즘이 작동되면서 역학관계가 전환되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시민사회가 주도하였던 ‘고리 1호기 폐쇄 범시민운동본부’는 시민사회가 자율적으로 협의체를 조정하고, 정치인과 부산시는 거버넌스 외곽에서 지원하는 ‘그림자 거버넌스’의 특징이 포착되었다. 결국 고리1호기는 월성1호기보다 안전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가 덜 심각하였지만 시민사회가 위험거버넌스를 주도하면서 ‘폐로’라는 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넷째,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적 합리성은 정치적 논리로 제어되면서 정책전환의 주요변수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ason why Gori No. 1 in Busan was abolished, while Wolseong No. 1 in Gyeongju was decided to be extended even though the both cities were in the same situation in terms of politics and economy home a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ason why Gori No. 1 in Busan was abolished, while Wolseong No. 1 in Gyeongju was decided to be extended even though the both cities were in the same situation in terms of politics and economy home and abroad. For which,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rel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power, considering that the interaction of the actors in the district and internal politics combining the resources and coordin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non governmental area were differently activated.
      Specific research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four areas,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surrounding the plant’s risk facilities. Second, we look at how the policy results show, depending on the dynamics of the government and the dynamics of the civil society. Third,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politics surrounding the nuclear plant’s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are keep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and maintain appropriate relations with civic groups. In particular, the administrative bureaucrats of the local government showed the initiative, including controlling governance based on the logic of power. Second, When the governance led by civil society focusing on the social values of public safety, ‘Gori no.1’ was led to a closed policy shift. Third, the regional politics of the nuclear power plant’s facilities were identified by the actors’ power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values and the agenda striving for. In particular, ‘the Gori No.1 Pan the civil movement center’ led by civil society had operated the governance by itself and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hadow governance’ supported by Busan city outside. In the end, the Gori No.1 was less serious in terms of safety and economy than the Wolseong no.1, but policy ‘closed’ could be converted. Fourth, the scientific rationality of Korea is controlled by political logic and is not a major factor in policy conver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원전위험의 지역정치와 위험거버넌스
      • 3. 고리1호기를 둘러싼 지역정치
      • 4. 월성1호기를 둘러싼 지역정치
      • 5.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지역정치의 비교
      • 1. 문제제기
      • 2. 원전위험의 지역정치와 위험거버넌스
      • 3. 고리1호기를 둘러싼 지역정치
      • 4. 월성1호기를 둘러싼 지역정치
      • 5.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지역정치의 비교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리1호기폐쇄범시민운동본부, "활동 백서"

      2 김철규, "핵폐기장 갈등의 구조와 동학-부안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3) : 12-28, 2004

      3 정상호, "한국의 이익집단 연구의 분석적 개괄" 한국정치학회 40 (40): 91-114, 2006

      4 박희제,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한국과학기술학회 14 (14): 1-48, 2014

      5 이준원, "한국 지방정치의 모형화를 위한 시론" 정부학연구소 8 (8): 9-291, 2002

      6 박재묵, "지역반핵운동과 주민참여 : 4개지역 원자력시설반대운동의 비교"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7 이현정, "지역개발과 지방정치 : 부안·경주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8 원자력안전위원회, "제35회 원안위 『회의록(속기록)』"

      9 곽진영, "정치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11 : 34-62, 2001

      10 강명구, "정부와 NGO 관계: 국가와 시민사회의 상호강화를 위한 비교론적 검토" 9 : 47-61, 2000

      1 고리1호기폐쇄범시민운동본부, "활동 백서"

      2 김철규, "핵폐기장 갈등의 구조와 동학-부안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3) : 12-28, 2004

      3 정상호, "한국의 이익집단 연구의 분석적 개괄" 한국정치학회 40 (40): 91-114, 2006

      4 박희제,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한국과학기술학회 14 (14): 1-48, 2014

      5 이준원, "한국 지방정치의 모형화를 위한 시론" 정부학연구소 8 (8): 9-291, 2002

      6 박재묵, "지역반핵운동과 주민참여 : 4개지역 원자력시설반대운동의 비교"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7 이현정, "지역개발과 지방정치 : 부안·경주 방폐장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8 원자력안전위원회, "제35회 원안위 『회의록(속기록)』"

      9 곽진영, "정치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11 : 34-62, 2001

      10 강명구, "정부와 NGO 관계: 국가와 시민사회의 상호강화를 위한 비교론적 검토" 9 : 47-61, 2000

      11 이준원, "자치시대에 있어서 지역유지의 역할" 7 : 71-88, 1996

      12 박희제,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가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6 : 8-40, 2005

      13 노진철, "위험사회학-위험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이론화" 비판사회학회 (63) : 98-123, 2004

      14 홍성태, "위험 연구와 위험 정치 - 위험 사회에서 안전 사회로 -" 법학연구소 4 (4): 223-242, 2010

      15 조관제, "월성원전 민간환경감시기구 활동소개" 2008

      16 월성1호기스트레스테스트전문가검증단, "월성1호기스트레스테스트 증보고서" 2015

      17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 "월성1호기계속운전심사보고서에대한검토결과"

      18 월성1호기 국민운동본부, "월성1호기 수명연장을 위한 운영변경허가처분무효확인 소장"

      19 이정일, "월성1호기 수명연장을 위한 운영변경허가처분 무효확인 소송 변론절차진행 사항 보고서" 2015

      20 원자력안전위원회, "월성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 제34회 원자력안전위원회심의 의결사항"

      21 민은주, "원전위험의 관리체계로서의 거버넌스 탐색: 경주 월성1호기 원전관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20 (20): 7-49, 2016

      22 강윤재,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비판사회학회 (91) : 12-39, 2011

      23 민은주, "원자력발전의 위험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사례를중심으로" 동아대학교 2016

      24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발전백서"

      25 한수원 및 대리인 김&장 법률사무소, "소명자료"

      26 홍성태, "부안항쟁과 생태민주주의" 6 : 220-242, 2004

      27 "부산일보·국제신문. 2005년∼2015년"

      28 정태석, "방폐장 입지선정에서 전문성의 정치와 과학기술적 안전성 담론의 균열" 비판사회학회 (93) : 72-103, 2012

      29 김영종, "방폐장 입지선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경주지역 유치활동을 중심으로" 9 (9): 287-316, 2005

      30 정태석, "독일과 한국에서 핵에너지 정책 결정과정에서의 국가-시민사회 관계 비교와 전문성 정치의 함의" 지역사회학회 15 (15): 31-56, 2013

      31 임성진, "독일 원자력 정책과 의회의 역할 ― 탈핵으로의 정책전환과정을 중심으로" 27 (27): 249-272, 2012

      32 강창현, "도시정치와 도시레짐이론" 13 (13): 171-194, 2003

      33 한수원 및 대리인 김&장 법률사무소, "답변서"

      34 김영정, "낙후지역 혁신사업과 ‘발전레짐’ - 고창 및 화천군 주민 의식조사" 지역사회학회 16 (16): 5-47, 2015

      35 윤순진, "공공참여적 에너지 거버넌스의 모색/전력정책에 대한 시민합의회의 사례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서울행정학회 15 (15): 2005

      36 이영희,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를 위한 사회적 의사결정과 전문성의 정치 한국과 스웨덴의 비교"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8) : 249-289, 2013

      37 강동규, "고리1호기 가동중지가처분 신청서"

      38 이영숙, "고리1호기 가동중지 소송 준비서면"

      39 "경북매일신문 외 3종 신문. 2008년∼2015년"

      40 김석준, "거버넌스의 정치학" 法文社 [서울] 2002

      41 강희경, "개발정치의 과잉과 미약한 시민사회 - 청주시의 경우" 지역사회학회 13 (13): 5-40, 2011

      42 Rhodes, R.A.W.,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44 (44): 652-667, 1996

      43 Gunningham, Neil, "The New Environmental Governance: The Localization of Regulation" 25 (25): 161-163, 2013

      44 이건, "The Effect of Threat Climates on Collaborations Among Local Governments: An Exploratory Approach with Perceptions of U.S. City Officials" 한국행정학회 13 (13): 51-64, 2009

      45 현재환, "STS 관점에서 본 위험 거버넌스 모델: 위험분석과 사전주의 원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학회 15 (15): 279-323, 2015

      46 Renn, Ortwin, "Risk Governance ― Coping with Uncertainty in a Complex World" Earthscan 2008

      47 Renn, Ortwin, "Precautionary Risk Regulation in European Governance" 9 (9): 373-392, 2006

      48 DiGaetano, Alan, "Power and City Governanc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Urban Governa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49 Pierre, Jon, "Politics and the State" St. Martin’s Press 2000

      50 Gerry, Stoker,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50 (50): 17-, 1998

      51 고리1호기폐쇄범시민운동본부, "2015.1월∼6월. 『내부 회의록』"

      52 원자력안전위원회, "2012년∼2015년. 『회의록』"

      53 원자력안전위원회, "2012년∼2015년. 『보도자료』"

      54 경주환경운동연합 및 탈핵시민행동, "2011년∼2016년. 『성명서』"

      55 고리1호기폐쇄범시민운동본부, "2011년∼2015년. 『성명서』"

      56 반핵부산시민대책위, "2011년∼2015년. 『성명서』"

      57 부산환경운동연합, "2006년∼2015년. 『성명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