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1월부터 공공건설시장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건설공사계약의 계약문서중 하나인 설계도면, 시방서 등 설계도서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설계도서 작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26670
1999년
Korean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97년 1월부터 공공건설시장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건설공사계약의 계약문서중 하나인 설계도면, 시방서 등 설계도서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설계도서 작성...
1997년 1월부터 공공건설시장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건설공사계약의 계약문서중 하나인 설계도면, 시방서 등 설계도서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설계도서 작성시 '특별(특기)시방서'와 여러 표준시방서, 시공지침 등을 함께 적용하도록 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1998년 1월부터는 모든 공사에서 공사시방서를 작성하고, 공사시방서만을 계약문서로 적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도 도입초기로 발주기관이나 설계용역업체 등에서 공사시방서나 전문시방서를 작성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시방서 작성에 필요한 정보의 DB화 및 이를 토대로 건설공사기준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즉, 발주기관 및 설계용역업체에서 공사시방서 등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DB화하고 이를 토대로 공사시방서 작성을 지원하여 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종분류체계를 세부적으로 정비하는 등 공사시방서 작성요령을 개정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 등의 발주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문시방서 작성요령(일반)을 추가하였다. 또한 발주기관 또는 설계용역업체에서 실제로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사(전문)시방서 총칙 표준(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도로 및 하천분야 가이드 시방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는 향후 지속적으로 다른 공종에 대에서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에 상호 연계성 없이 사용되어지던 표준시방서, 법률, 자재정보 등의 DB로 구축 CD에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CD로 된 시스템은 활용 및 유지관리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개선(upgrade)이 필수적이다. 또한 전산시스템 및 DB의 활용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유지관리·갱신(update)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