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새로움의 추구를 통해 혁신 성과를 이끌어 내는 기업의 탐색적 혁신 전략이 국가 및 지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R&D 집약적 기업의 혁신 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67787
대전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024
학위논문(박사)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과학기술경영정책(Science and Technology Management Policy) , 2024. 2
2024
한국어
대전
26 cm
지도교수: 유형선
I804:30003-2000007316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새로움의 추구를 통해 혁신 성과를 이끌어 내는 기업의 탐색적 혁신 전략이 국가 및 지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R&D 집약적 기업의 혁신 성...
본 논문은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새로움의 추구를 통해 혁신 성과를 이끌어 내는 기업의 탐색적 혁신 전략이 국가 및 지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R&D 집약적 기업의 혁신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기업 내부의 혁신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지식과의 결합과 다양한 기술 분야로의 확장이라는 탐색적 혁신의 주요 특성을 토대로, 탐색적 혁신 전략을 크게 개방형 혁신 전략과, 기술다각화 전략으로 구분하여 조사함으로써 탐색적 혁신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하는 구조적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확장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3 장에서는 자원이 제한된 R&D 집약적 중소기업의 탐색적 혁신 전략을 살펴봄에 있어, 외부 지식의 활용과 내부 지식 공유를 통해 내부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는 개방형 혁신 전략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정부 지원 R&D 프로젝트 2,339 개를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과학 기반 파트너와 내부 흡수역량 간의 상호 작용이 제품 혁신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시장 기반 파트너와 내부 흡수역량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협력 파트너의 특성을 고려하고, 특히 과학 기반 파트너와의 상호보완성을 강조함으로써 외부 지식 소스 채택 전략의 중요성을 입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후 4 장에서는 높은 비율의 R&D 지출을 지속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R&D 집약적 대기업의 탐색적 혁신 전략에 초점을 맞춰, 이질적 지식을 재조합하고 결합 및 확장하는 비관련 및 관련 기술다각화 전략과 내부 핵심기술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술다각화가 복잡하고 지속적인 지식 통합 과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전 세계 상위 R&D 투자기업 516 개의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비관련 기술다각화 전략은 R&D 효율성과 역 U자형 관계를 나타내며, 내부 핵심기술역량은 비관련 기술다각화와 R&D 효율성 간의 역 U 자형 관계가 갖는 변동성 폭을 완화함으로써 기술다각화와 R&D 효율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술다각화의 동기와 전략적 목표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다양한 유형의 기술다각화를 구분하고 각각의 기술다각화 전략의 유형이 R&D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술적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기존의 탐색적 혁신 연구를 확장함으로써 혁신의 구조적 틀을 제시한다. March(1991)가 제안한 탐색적 혁신의 추상적이고 다의적인 성격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 지식과의 결합, 다양한 기술 분야로의 확장이라는 특성을 기반으로 이를 개방형 혁신 전략과 기술다각화 전략으로 구분함으로써 선행연구들에서 다뤄지지 않았거나 모호했던 부분을 보완하면서, 탐색적 혁신에 대한 보다 명확한 구조적 틀을 제시한다. 둘째, 본 논문은 탐색적 혁신 활동과 혁신 성과 사이의 역학을 깊이 파악하기 위해, 혁신의 투입과 산출이 분명한 관계를 보이는 R&D 집약적 기업을 연구 범위로 설정함에 따라 탐색적 혁신 활동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논문은 탐색적 혁신 전략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에 있어, 선행연구에서 활발히 다루지 않았던 R&D 집약적 기업의 자원 규모에 따른 적합한 탐색적 혁신전략의 유형을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탐색적 혁신 전략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내부 혁신역량의 조건부 효과를 다루는 문헌 내 실증적 연구 확장에 기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업의 내부 혁신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탐색적 혁신 프로세스의 역학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데에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탐색적 혁신 전략 수립에 있어 필요한 다각도의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Keywords: 탐색적 혁신, R&D 집약적 기업, 개방형 혁신, 기술다각화, 내부 혁신역량, 흡수역량, 핵심기술역량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mpirically analyze how a firm's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y, which has been found to contribute to deriving innovation through the pursuit of newness while taking uncertainty and risk, affects the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mpirically analyze how a firm's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y, which has been found to contribute to deriving innovation through the pursuit of newness while taking uncertainty and risk, affects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R&D-intensive firms known to drive national and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xploratory innovation, which combines external knowledge and expands to various technological fields, this dissertation expands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presents a structural framework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by dividing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ies into open innovation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Chapter 3 focuses on open innovation strategie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ternal resources through the use of external knowledge and sharing internal knowledge in examining the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ies of R&D-intensive SMEs with limited resources. To this e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2,339 government-supported R&D projects in Korea, and the study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based partners and internal absorptive capac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product innovation,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market-based partners and internal absorptive capac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external knowledge source adoption strategie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partners in establishing innovation strategies and emphasizing complementarity, especially with science-based partners. Chapter 4 focused on the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ies of R&D-intensive large firms that can continuously execute a high percentage of R&D expenditures, focusing on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strategies that recombine, combine, and expand heterogeneous knowled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core technology competencie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using panel data of 516 top R&D investors around the world, noting that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requires a complex and continuous knowledge integration proces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nrelate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strategy show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R&D efficiency. In addition, internal core technology competencies were confirmed to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relate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and R&D efficiency by alleviating the volatility of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unrelate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and R&D efficiency.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us to distinguish between various types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and understand more in-depth the impact of each type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strategy on R&D efficiency, considering that the motivation and strategic goals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can appear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results of two studies, this dissertation has the following academic meanings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presents a structural framework for innovation by expanding existing exploratory innovation research. To address the abstract and multifaceted nature of exploratory innovation proposed by March (1991) by dividing it into open innovation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ining external knowledge and expanding it to various technology fields, complementing areas that were not covered or ambiguous in previous studies, it presents a clearer structural framework for exploratory innovation. Second, this dissertation provid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by setting R&D-intensive firms with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input and output as the scope of research. Accordingly, this paper contributes to deeply understanding the dynamics between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this dissertation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presents,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the type of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y appropriate for the resource size of R&D-intensive firms, which was not actively covered in previous research. Finally,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empirical research in literature that deals with the conditional effects of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that have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providing in-depth insight into the dynamics of the exploratory innovation proces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firm's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criteria for various judgments necessary for establishing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ies.
Keywords: Exploratory innovation, R&D intensive firm, Open innovation,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Absorptive capacities, Core technology competenc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