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7년 초, 경상도관찰사 유영립(柳永立, 1537-1599)은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이태형(李泰亨, 1527-?)과 함께 거제도(巨濟島)의 조라포(助羅浦)에서 수행원을 거느리고 모종의 행사를 거행했다. 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9695
2024
Korean
〈조라포남봉관해도(助羅浦南峯觀海圖)〉 ; 유영립(柳永立) ; 이태형(李泰亨) ; 황사우(黃士祐) ; 홍성민(洪聖民) ; 삼포왜란(三浦倭亂) ; 경상우도수군절도사영(慶尙右道水軍節度使營) ; 손죽도(損竹島) ; A View of Jorapo Port from Nambong Peak (助羅浦南峯觀海圖) ; Yu Yeongrip (柳永立) ; Yi Taehyeong(李泰亨) ; Hwang Sau (黃士祐) ; Hong Seongmin (洪聖民) ; Disturbance of the Three Ports (1510) ; Naval Commander Camp of West Gyeongsang Province ; Sonjuk Island (損竹島)
605
학술저널
274-294(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587년 초, 경상도관찰사 유영립(柳永立, 1537-1599)은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이태형(李泰亨, 1527-?)과 함께 거제도(巨濟島)의 조라포(助羅浦)에서 수행원을 거느리고 모종의 행사를 거행했다. 이 ...
1587년 초, 경상도관찰사 유영립(柳永立, 1537-1599)은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이태형(李泰亨, 1527-?)과 함께 거제도(巨濟島)의 조라포(助羅浦)에서 수행원을 거느리고 모종의 행사를 거행했다. 이 행사를 묘사한 그림이 〈조라포남봉관해도(助羅浦南峰觀海圖)〉이다. 이 그림은 경상도 남해안의 방어를 책임진 고위 관원이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5년 전인 1587년에 일본의 쓰시마(對馬島)가 보이는 곳에 가서 조선군의 방비 태세를 점검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임진왜란 이전의 문헌 및 시각 자료가 별로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 그림은 조선 조정이 일본으로부터 오는 가상의 침입에 대한 방어를 위해 지방 행정 단위에서 어떤 대책을 세웠는지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BR/> 그림과 그와 관련된 문헌을 검토한 결과, 〈조라포남봉관해도〉는 1587년 초 경상도관찰사 유영립이 경상 우도병마절도사와 함께 거제도 지역 수군진의 군비 태세를 점검하기 위해 순행하던 중 이루어진 행사를 그린 그림이다. 관찰사 유영립은 경상우도의 군현을 순행하다가 창원의 우병영에 들러서 우병사를 만나고, 그 뒤 거제도의 군비 태세를 점검하기 위해 함께 순행했다. 관찰사와 우병사는 거제도의 수군진을 다니면서 군비태세를 점검하고 가상의 적인 일본의 쓰시마가 가장 잘 보이는 곳인 조라포의 남봉에서 남해를 지키는 결의를 하는 모종의 행사를 한 것이다.<BR/> 이 행사는 깃발이 펄럭이는 방향으로 보아 1587년 초순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는 남해안의 서쪽 지역인 전라도 흥양현(오늘날 전남 고흥군)과 완도군 지역이 왜구에 의해 유린당하던 시기와 겹친다. 군사적인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경상도의 남해안 방어를 책임진 핵심 관원인 관찰사와 우병사가 수행원과 함께 행사를 거행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념하여 그림을 제작해 나누어 가졌던 것이다. 그러므로 〈조라포남봉관해도〉는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해방정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그림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early 1587, Yu Yeongrip (柳永立, 1537–1599),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together with Yi Taehyeong (李泰亨, 1527-?), military commander of West Gyeongsang Province, hosted a gathering of officials and his entourage at Jorapo Port, Ge...
In early 1587, Yu Yeongrip (柳永立, 1537–1599),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together with Yi Taehyeong (李泰亨, 1527-?), military commander of West Gyeongsang Province, hosted a gathering of officials and his entourage at Jorapo Port, Geoje Island. This gathering was depicted in a painting titled A View of Jorapo Port from Nambong Peak (助羅浦南峯觀海圖). This painting suggests that a high-ranking official in charge of defending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 Province visited a viewpoint for Tsushima Island (對馬島), Japan, in 1587, five year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mjin War), with the aim of inspecting the state of Joseon’s military defense. Given the dearth of literature and visual materials surviving from the pre-Imjin War era, this illustration is an invaluable resource for examining how the Joseon government, at the local administrative level, prepared defensive measures against a hypothetical Japanese invasion.<BR/> A review of the painting and the relevant literature reveals that A View of Jorapo Port from Nambong Peak depicted an event that took place in early 1587, when Yu Yeongrip,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traveled with the military commander of West Gyeongsang Province to inspect the military preparedness of the naval fort on Geoje Island. While traveling through the counties of West Gyeongsang Province, Yu met a military commander of the Right Garrison in Changwon, and headed for Geoje Island to inspect defensive conditions there. While inspecting the defensive conditions of the naval fort on the island, the governor and commander hosted an event on Nambong Peak overlooking Jorapo Port for its optimal view of Tsushima Island to reaffirm their resolve to defend the South Sea against the hypothetical enemy of Japan.<BR/> Considering the direction the flag is flying in the painting, this event appears to have taken place in early 1587. This period coincides with raids conducted by Japanese pirates known aswokou that ravaged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ern coast, including Heungyang County (present-day Goheu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and Wando County. Amid escalating military tensions, the event brought together the governor, the military commander, and key officials responsible for defending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 Province to strengthen their resolve along with their entourages, with the aforementioned painting created and distributed to commemorate the event. The significance of A View of Jorapo Port from Nambong Peak, therefore, lies in the fact that it is a representative painting that symbolizes Joseon’s marine defense strategy in the immediate run-up to the Imjin War.
국립중앙박물관 국외전시의 경향 분석: 용산시기를 중심으로
감각과 정보 경험 구조화를 통한 문화취약계층 전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국립중앙박물관 촉지 기반 접근성 콘텐츠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