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명순, "협력을 통한 유아교사교육자의 수업개선 경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27, 2017
2 한혜정, "한국 교사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자서전적 방법의 이론적 기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21-40, 2009
3 한재영, "한 사범대학 과학 교육 조교수의 삶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36 (36): 1-13, 2012
4 이동성,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31, 2016
5 이동성, "한 교사교육자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31-67, 2011
6 권재원, "학교라는 이름의 괴물" 북멘토 2014
7 최재혁, "탐색, 갈등, 도전, 그리고 변화 - 물리교과교육 수업을 위한 한 교사교육자의 셀프스터디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39-756, 2016
8 정성아, "쿠레레(Currere) 방법에서의 교육의 원리" 한국교육사상학회 (20) : 171-198, 2006
9 박남기, "초등교육 미래 비전에 비추어본 초등교원 양성 교육 개편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325-348, 2011
10 엄수정, "장애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기하는 새로운 교사교육의 필요성: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나’의 이야기에 대한 성찰적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39-168, 2017
1 이명순, "협력을 통한 유아교사교육자의 수업개선 경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27, 2017
2 한혜정, "한국 교사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자서전적 방법의 이론적 기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21-40, 2009
3 한재영, "한 사범대학 과학 교육 조교수의 삶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36 (36): 1-13, 2012
4 이동성,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31, 2016
5 이동성, "한 교사교육자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31-67, 2011
6 권재원, "학교라는 이름의 괴물" 북멘토 2014
7 최재혁, "탐색, 갈등, 도전, 그리고 변화 - 물리교과교육 수업을 위한 한 교사교육자의 셀프스터디 -"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39-756, 2016
8 정성아, "쿠레레(Currere) 방법에서의 교육의 원리" 한국교육사상학회 (20) : 171-198, 2006
9 박남기, "초등교육 미래 비전에 비추어본 초등교원 양성 교육 개편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325-348, 2011
10 엄수정, "장애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기하는 새로운 교사교육의 필요성: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나’의 이야기에 대한 성찰적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39-168, 2017
11 한혜정, "자아성찰과 교수방법으로서의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17-132, 2005
12 성열관, "자서전적 글쓰기: 한 교육과정 교수의 죄책감, 자기검열, 그리고 헌신"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181-209, 2005
13 박순경, "자기주도성의 교육과정 이론적 기초로서의 ‘쿠레레’에 대한 一考" 19 (19): 159-173, 2001
14 김병수, "자기 연구를 통한 교사 교육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구 - 국어 수업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3 (23): 303-322, 2017
15 신은경,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초임 한국어 교사교육자의 PCK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6 : 27-52, 2017
16 박영은,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초임 교사교육자의 교수 경험 성찰"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21-243, 2014
17 Pinar, W.,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 이론" 아카데미프레스 2013
18 염지숙, "신임교수의 일과 삶: 교수되기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135-160, 2003
19 김영천, "생애사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49-81, 2004
20 황규호, "새 정부의 교원교육 정책 현안 과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307-330, 2017
21 최희진, "대학체육교육자의 삶과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59-79, 2007
22 김아영, "대학에서의 교수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초심자와 경험자의 차이" 안암교육학회 19 (19): 139-163, 2013
23 염지숙,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수경험에 대한 성찰"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43-260, 2007
24 박영숙,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65-188, 2018
25 황윤한, "교육대학 교수의 영어전용(EMI) 강의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19-144, 2016
26 윤병희, "교육과정학의 정립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시론" 35 (35): 161-183, 1994
27 소경희,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7
28 한혜정, "교육과정연구의 질적 연구에서 '자서전적 방법'이 가지는 의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71-86, 2006
29 정성식, "교육과정에 돌직구를 던져라" 에듀니티 2014
30 Walker, D. F., "교육과정과목적" 교육과학사 2004
31 정정훈, "교육과정 탐구주제로서의 자기배려(self - care): 쿠레레(currere)를 통한 자기이해(self - understanding)" 교육연구소 21 (21): 257-281, 2015
32 박순경, "교육과정 탐구 주제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 한국교육학회 41 (41): 75-92, 2003
33 Pinar, W. F.,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원미사 2001
34 정범모, "교육과정" 풍국학원 1954
35 함영기, "교육 사유" 바로세움 2014
36 정미경,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요구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87-306, 2011
37 Pinar, W., "What is Curriculum Theory?" Lawrew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4
38 Pinar, W. F., "Toward a poor curriculum" Kendall/Hunt Pub. Co 2006
39 Bakhtin, M. M., "Toward a philosophy of the act"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3
40 Zeichner, K., "The new scholarship in teacher education" 28 (28): 4-15, 1999
41 Bobbitt, F., "The Curriculum" Houghton Mifflin 1918
42 Connelly, F. M.,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Teachers college press 1988
43 Samaras, P. A., "Self-study teacher research: Improving your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inquiry" SAGE Publications, Inc 2011
44 이흔정, "Pinar의 쿠레레(Currere) 교육과정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14 (14): 64-93, 2002
45 Morin, E., "On complexity" Hampton Press, Inc 2008
46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57): 1-22, 1987
47 Connelly, F. M.,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Lawrence Erlbaum 477-487, 2006
48 Bullough, R. V., Jr., "Guidelines for quality in autobiographical forms of self-study research" 30 (30): 13-21, 2011
49 Clandinin, D. J., "Composing lives in transition: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early school leavers" Emerald 2013
50 Chang, H. W., "Autoethnography as method" Left Coast Press, Inc 2008
51 Pinar, W., "Autobiography, politics and sexuality: Essays in curriculum theory 1972-1992" Peter Lang 19-27, 1975
52 Reed-Danahay, D., "Anthropologists, Education, and Autoethnography" 38 : 28-4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