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는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필사본 천주가사집의 출현 배경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을 통해 19세기 후반 한국 가톨릭 교회와 우리 사회와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필사본 천주가사집의 출현 배경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을 통해 19세기 후반 한국 가톨릭 교회와 우리 사회와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
본 고는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필사본 천주가사집의 출현 배경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을 통해 19세기 후반 한국 가톨릭 교회와 우리 사회와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는 논의이다.
17세기 이후 유입된 천주교 사상은 18세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는 과정에서 적지 않게 우리의 문화로 대표되는 사회상이나 민속 등과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보편 교회의 시각을 넘어 우리의 문맥 안에서 이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본 고의 대상이 되는 천주가사나 연로위령 기도), 옹기의문양의 외적 형태나 한국 가톨릭 신심의 다양함 등은 그 구체적인 예가된다. 이 중 본 고에서는 천주가사의 연장선상으로 필사본 천주가사집을 대상으로 한국 교회와 사회, 나아가 시대적 관련성을 추적하였다.
현전하는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총 53종으로, 여타의 단일 작품의 필사본에 비해 그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그만큼 천주가사의 수용이 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 필사 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이 32종이며, 그 가운데 종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제작되었다는 점은 이 시기 우리 사회의 변화가 천주교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점에 착안하여 그 출현의 배경과 의의를 각각 문화사, 교회사적 관점에서 추적하였다.
천주가사의 출현은 우리 문화적 풍토에서 가사라는 대중적인 문학 갈래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17세기 이후 지속되어진 변화에 따라 19세기에는 각종 필사본과 상업적 유통을 위한 방각본이 간행되는 등 문화적 욕구의 발현이 일반화되었는데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출현하게 된다. 한편 교회 내에서는 신교의 자유를 맞이하여 피폐된 교회의 재건을 위한 교리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천주가사는 근대 문학이나 근대 음악을 형성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였으며, 여기서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근대로의 전환에서 재생산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외래 문화를 한국적 양식속에 수용함으로써 우리 문화 담당층의 주체적 역량을 담아내고 있었다는 점이다. 박해를 견디는 자기 강화의 방법이자 신자들 사이의 결집력을 높이던 천주가사와 필사본 천주가사집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기점으로 점차 소멸된다. 이는 크게는 서구 지향의 급격한 사회 변화와 관련이 있다. 한편 자국의 문화에 대한 우월감으로 한국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파리외방전교회를 비롯한, 교회 지도층의 무관심에도 기인한다. 천주가사에 대한 당시 지도층의 언급이 없는 이유나, 활발한 출판 활동에도 불구하고 간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천주가사는 천주교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 지극히 한국적이면서도 동시에 천주교 교리를 담고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 속에서 나타난 한국어로 된 교리서로, 한국인이면서 가톨릭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도전받는, 위기의 시대에 이를 해결해 줄 토착화 신학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culus storico substrato sensuique productionis scriptorum Chungiugasanorum operam dat, studio culturae Chungiugasanae relatae. Usque ad praesens tempus LII genera manu scriptorum transmissa sunt, quorum tantummodo XXXII productionis tempus proponi...
Articulus storico substrato sensuique productionis scriptorum Chungiugasanorum operam dat, studio culturae Chungiugasanae relatae. Usque ad praesens tempus LII genera manu scriptorum transmissa sunt, quorum tantummodo XXXII productionis tempus proponi potest. Haec XXXII genera scriptorum XIX saeculo exeunte vel XX saeculo ineunte condita sunt. Unde contextum storicum et sensum huius scripti quoad culturam vitamque ecclesialem statuere possumus.
Productio scriptorum Chungiugasanorum contextu culturali Coreano fieri potuit, praesertim litteraria forma ;Gasa; appellata. Huius generis litteraria ratio a XVII saeculo usque ad XIX saeculum orta et propter culturalem placitum diffusa est; quamobrem multa manu scripta producta sunt, quorum exemplaria commercii causa multiplicata sunt. Et Chungiugasana scripta hoc contextu orta sunt. Eodem tempore Coreanae Ecclesiae nuper religiosam libertatem adeptae atque post martyrum spatium nova structuratione egenti libris ad catechesim opus esse inciperat.
Scripta Chungiugasana maximi momenti ad institutionem hodiernae litteraturae musicaeque fuerunt. Insuper in his scriptis supra ordinem Coreanae culturae dominium documentari potest, ita ut extraneae culturalis formae in Coreana cultura acceptatio formas particulares originalesque produxit, quibus similes formae difficile in storia universalis Ecclesiae inveniri possunt. Scripta Chungiugasana ratio fuerunt qua primi Coreani christifideles propter persecutionem firmari temptaverant, ad invicem hoc angustiarum tempore coniuncti. Sed horum scriptorum momentum a XX saeculo infeliciter imminutum est. Haec res ob propensionem ad occidentalizationem eiusque consequentiam probabiliter tribuenda est. Forsitan tamen processus hic ob mentem missionariorum gallica origine ortus est, qui superiorem culturam possidere putantes culturam Coreanam non recce intelligerunt et ruinam culturalium formarum illis non propriarum effecerunt. Forsitan hoc et propter parvam sollicitudinem auctoritatis Ecclesiae factum est. Revera in huius temporis documentis reliquia culturalis Chungiugasana vitae vel Chungiugasanorum scriptorum absunt, et quamquam litteraria vis magna fuit, Ecclesia tamen illorum scriptorum edendorum minime curavit.
Scripta Chungiugasana testimonia sunt catholicorum Coreanorum fidei Christi adhaesorum, tam originali modo-coreano simul et totaliter fideli doctrinae catechismi catholicae Ecclesiae. Quamobrem Chungiugasanae rei notitia et eius scriptorum editio, Coreana lingua exaratorum et intra Coreanam culturam ortorum, non modo magni sunt momenti tamquam testimonia fidei servatae in aetate confusionis circa propriam identitatem, verum etiam nobis hodie perutiles esse possunt ad quaestionem verae inculturationis intelligendam et ad inculturatam theologiam elaborandam, quae nobis adsit ad nostram Coreanam identitatem adhuc non evidentem comprehendendam.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