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90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考는 『三國遺事』에 수록된 10句體 향가 <원가>를 文證을 통해 해독하고 문학적 의미를 덧붙인 결과물이다. 어학적 해독 결과 중, 주요한 것을 각 句별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1句. ...

      本考는 『三國遺事』에 수록된 10句體 향가 <원가>를 文證을 통해 해독하고 문학적 의미를 덧붙인 결과물이다. 어학적 해독 결과 중, 주요한 것을 각 句별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1句. ‘物叱好支’는 ‘갓 됴?으로 읽힌다. 의미는 ‘物 중에서 가장 좋은’.
      2句. ‘爾屋?’에 대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온 바 있으나, 이는 양주동의 ‘이우러(시들어)’에서 이미 올바로 해독된 곳임을 확인하였다.
      3句. 이곳은 “汝於 / 多齊 / 敎因隱”로 분절된다. ‘多支’은 다히’를 표기한 것으로 현대어로는 ‘함께’로 풀이된다.
      4句. ‘仰頓隱’의 ‘頓(돈)’은 차자 ‘던’이 아닌, 漢字 본연의 쓰임새로서의 ‘頓’이다. ‘조아린’ 즉, ‘절한’의 뜻이다. 말미의 ‘冬’ 또한 借字로 본 견해도 많으나, 문맥상 한자 그대로의 의미 ‘겨울’로 판단된다.
      5句. ‘影支’는 명사가 아닌 용언으로 ‘말갛게 비치-’의 의미. ‘古理因’는 명사 ‘옛날’이 아닌 용언 ‘오래되다’의 의미. ‘之叱’은 해독의 일각에서 보고 있는 ‘가(邊)’의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처격의 ‘잇’이다.
      6句. ‘行尸浪’은 통설 ‘흘러가는 물결’이 아니라, ‘일렁이는 물결’이다. ‘沙矣’는 借字가 아닌 한자 본연의 쓰임새로 쓰인 字로 ‘모래’로 풀이된다. ‘以?如?’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차자표기이다.
      7句. 양주동에서 이미 해독이 완료된 곳이다.
      8句. ‘都之叱’는 ‘모두옛’, ‘逸烏隱’은 ‘잊혀진’, ‘第’는 ‘等第(功에 대한 報償)’의 의미이다.
      이상 1-4句의 해독을 통하여 ?落의 계절을 견디는 常綠의 잣나무, 표정이 변해버린 겨울날의 님(王)의 모습을 뚜렷이 파악해 낼 여지가 생겼으며, 특히 3句의 해독으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원가>와 <정과정>의 문학사적 공통 脈絡 一忠臣戀主之詞一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8句의 해독을 통하여 그간 異見이 심했던 ‘月?淵?浪?沙’에 대한 문학적 풀이를 반성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달빛이 말갛게 비치는 오래된 연못, (나는) 그 아래의 모래로다. 달의 모습이야 바라보나 세상 모두에게 잊혀진 等第여!’로 해독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月 = 王’, ‘淵 = 政治의 場’, ‘浪 = 政爭(或은 王의 萬機)’, ‘沙 = 信忠’임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rpreted <Wonga(怨歌)>,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and considered of its literary mea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half, I could envisage clearly the poetic images such as the ...

      This paper interpreted <Wonga(怨歌)>,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and considered of its literary mea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half, I could envisage clearly the poetic images such as the big cone pine that overcame the season of withering and the king that changed his mind in that season. Especial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hird line, I could find a concrete relation between the two poems of loyalty, <Wonga(怨歌)> and <Jonggwajong (鄭瓜亭)>, which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of. In the mean tim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half, I reconsidered of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wol(月)?yon(淵)?lang(浪)?sa(沙)’, which has provoked many arguments so far. I interpreted this part as follows: 'A pond reflecting the moonlight clearly, the sand under the pond. The sand is staring the moon, but the compensation has been forgotten by everyone in the world!'. Based on this translation, I argued what the poetic terms imply. The moon implies the king, and the sand means the writer, Sin Chung(信忠). The pond implies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waves mean the political conflict.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the newly interpreted phrases in this paper:<br/>
      Line 1: ‘muljilhoji (物叱好支)’ in this line should be interpreted as got dyoh?n(갓 됴흔);, which means the best of a species.<br/>
      Line 2: ‘yiokbok(爾屋?)’ in this lin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However, I verified that the early interpretation by Yang Judong was correct. According to him, this part is interpreted as ;yiul?(이우러);, which means to be withered.<br/>
      Line 3: This line should be divided into four segments: “y??(汝於) / tabok(多支)/ haengje(行齊) / kyoineun(敎因隱)”. Especially ‘tabok(多支)’,the second part of them can be decoded as ‘tahi(다히),, which means together.<br/>
      Line 4: ‘Ton(頓)’ in ‘angdoneun(仰頓隱)’ was not used as a chaja(借字),a sign that indicates the Korean vernacular by borrow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contrary, it functioned as a Chinese character itself in this part. ‘Tong(冬), at the end of the line also has been often considered as a chaja (借字). However, this wor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hinese character too.<br/>
      Line 5: ‘Yongbok(影支)’ is not a noun but a verb, which means to reflect clearly. ‘Koliin(古理因), is not a noun either but a verb, which means to get old ‘Jijil(之叱), has been translated as a border by some scholars. However, I argued that it has only a grammatical function and can be translated as ;at (잇);.<br/>
      Line 6: ‘Haengsirang(行尸浪)’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as flowing water, but in fact it means waving water. ‘Saui(沙矣)’ is not a chajai借字) but functions as a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s sand On the contrary, ‘Yibokyobok(以?如?)’ is a c/각/a(借字) that indicates ‘yida(-이다)’.<br/>
      Line 7: Yang Judong already interpreted this line perfectly.<br/>
      Line 8: I interpreted ‘Tojijil(都之叱)’ in this line as ‘moduyet(모두옛)’. I also argued that ;yilloeun(逸烏隱)’ means to be forgotten, and that ‘je(第)’ has the same connotation as ‘Teungje(等第), that means compensation for effo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對象과 硏究 現況
      • II. 解讀의 實際
      • III. 結論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I. 對象과 硏究 現況
      • II. 解讀의 實際
      • III.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찬, "효성왕대의 시대상과 원가" 어문연구학회 26 : 1995

      2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3 이현희, "향가의 언어학적 해독" 국립국어연구원 6 (6): 1996

      4 남풍현, "향가와『구역인왕경』구결의 ‘之叱’. in: 국어사를 위한 구결연구" 태학사 1999

      5 유창균, "향가비해" 형설출판사 1994

      6 허왕욱, "향가 원가(怨歌)에 대한 역사적 이해" 열상고전연구회 17 : 2003

      7 김성기, "원가의 해석" 집문당 1 : 1992

      8 김종규, "원가의 시사적 배경 및 문학성" 한국시가학회 9 : 2001

      9 박노준, "원가. in: 향가여요연구" 이우출판사 1985

      10 김영수, "원가. in: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1 김승찬, "효성왕대의 시대상과 원가" 어문연구학회 26 : 1995

      2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3 이현희, "향가의 언어학적 해독" 국립국어연구원 6 (6): 1996

      4 남풍현, "향가와『구역인왕경』구결의 ‘之叱’. in: 국어사를 위한 구결연구" 태학사 1999

      5 유창균, "향가비해" 형설출판사 1994

      6 허왕욱, "향가 원가(怨歌)에 대한 역사적 이해" 열상고전연구회 17 : 2003

      7 김성기, "원가의 해석" 집문당 1 : 1992

      8 김종규, "원가의 시사적 배경 및 문학성" 한국시가학회 9 : 2001

      9 박노준, "원가. in: 향가여요연구" 이우출판사 1985

      10 김영수, "원가. in: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11 윤영옥, "신충괘관과 원가. in: 삼국유사의 문예적 가치해명" 새문사 1982

      12 박인희, "신충괘관과 원가 연구" 신라문화연구소 (28) : 2006

      13 김완진, "鄕歌解讀法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14 소창진평, "鄕歌及ぴ吏讀の硏究" 아세아문화사 1974

      15 이기백, "景德王과 斷俗寺・怨歌. in: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16 성기옥, "感動天地鬼神의 논리와 향가의 주술성 문제. in: 고전시가의 이념과 표상" 임하 최진원 박사 정년기념논총 1991

      17 金成基, "怨歌의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2) : 41-60, 2003

      18 고운기, "怨歌와 避隱의 논리" 한양대학교 국어학연구소 28 : 1996

      19 허영순, "怨歌攷" 부산대학교 3 : 1961

      20 윤영옥, "怨歌. in: 鄕歌文學論" 새문사 1986

      21 이종건, "怨歌" 국제어문학회 19 : 1998

      22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 일조각 1965

      23 황패강, "信忠怨樹譚의 神話的 考察. in: 韓國敍事文學硏究" 단국대학교출판부 1990

      24 양희철, "三國遺事鄕歌硏究" 태학사 1997

      25 김진욱, "「 怨歌」形式에 대한 硏究" 한국언어문학회 (53) : 263-282, 2004

      26 김열규, "<怨歌>의 樹木象徵" 국어국문학회 18 : 1957

      27 윤경수, "<怨歌>의 宮廷柏樹象徵과 民間信仰的 考察-生性動因의 모티프를 中心으로" 1 : 1997

      28 이형대, "<怨歌>와 <鄭瓜亭>의 시적 인식과 정서"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8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
      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3 1.54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