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차원 입체영상 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d space shown in the 3D stereoscopic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3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는 항상 공간 속에 존재한다. 인간은 어떤 순간이든공간과의 연계에 유기적으로 반응하고 이를 바탕으로구체적인 공간요소들을 지각하고 재구성하여 공간과의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게 된다.
      입체영상은 시청자들의 생활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올것으로 예상된다. 평면이 아닌 입체감을 가지고 인간의오감을 자극하는 입체영상의 출현은 감각의 확장을 통해 인간의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공간은 3차원의 현실을 2차원의 평면 영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공간은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변환된다. 입체영상에 대한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입체영상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기초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3차원의 현실을재현한 입체영상 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을 살펴보고자한다.
      번역하기

      우리는 항상 공간 속에 존재한다. 인간은 어떤 순간이든공간과의 연계에 유기적으로 반응하고 이를 바탕으로구체적인 공간요소들을 지각하고 재구성하여 공간과의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

      우리는 항상 공간 속에 존재한다. 인간은 어떤 순간이든공간과의 연계에 유기적으로 반응하고 이를 바탕으로구체적인 공간요소들을 지각하고 재구성하여 공간과의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게 된다.
      입체영상은 시청자들의 생활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올것으로 예상된다. 평면이 아닌 입체감을 가지고 인간의오감을 자극하는 입체영상의 출현은 감각의 확장을 통해 인간의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공간은 3차원의 현실을 2차원의 평면 영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공간은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변환된다. 입체영상에 대한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입체영상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기초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3차원의 현실을재현한 입체영상 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을 살펴보고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oster, Mark, "제2미디어시대" 민음사 1998

      2 박경세, "입체TV 방송기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 최동신, "입체+공간+커뮤니케이션" 안그라픽스 2006

      4 김상환,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해체론 시대의 철학과 문화" 민음사 2000

      5 Arnheim, Rudolph,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3

      6 조광제, "디지털적인 호환시대에서의 실재성, in: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2005

      7 Negroponte, N,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 1997

      8 Manovich, Lev,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1

      9 Helsel, Sandra, "가상현실과 사이버스페이스" 세종대학교 출판부 2004

      10 Grau, Oliver, "MediaArtHistories" MIT Press 2007

      1 Poster, Mark, "제2미디어시대" 민음사 1998

      2 박경세, "입체TV 방송기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3 최동신, "입체+공간+커뮤니케이션" 안그라픽스 2006

      4 김상환,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해체론 시대의 철학과 문화" 민음사 2000

      5 Arnheim, Rudolph,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3

      6 조광제, "디지털적인 호환시대에서의 실재성, in: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2005

      7 Negroponte, N,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 1997

      8 Manovich, Lev,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1

      9 Helsel, Sandra, "가상현실과 사이버스페이스" 세종대학교 출판부 2004

      10 Grau, Oliver, "MediaArtHistories" MIT Press 2007

      11 Preece, J, "Human-Computer Interaction: Concepts and Design" Addison-Wesley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