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수식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현대중국어와 한국어는 유사한 부분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부분도 있다. 특히 동사나 동사구를 수식할 때 한국어는 부사어가 서술어 앞에 위치하여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3717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장의 수식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현대중국어와 한국어는 유사한 부분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부분도 있다. 특히 동사나 동사구를 수식할 때 한국어는 부사어가 서술어 앞에 위치하여 ‘수...
문장의 수식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현대중국어와 한국어는 유사한 부분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부분도 있다. 특히 동사나 동사구를 수식할 때 한국어는 부사어가 서술어 앞에 위치하여 ‘수식어+중심어’ 구조를 보이며 중국어의 경우는 서술어를 중심으로 앞뒤의 상관관계에 따라 ‘수식어+중심어’, ‘중심어+보어’의 두 가지의 형식으로 구현된다.
‘慢’은 ‘느리다’, ‘나태하다’, ‘태만하다’, ‘예의 없다’, ‘냉담하다’ 등 의미를 갖고 있는 단음절 형용사이다. ‘慢慢儿地走’, ‘慢慢儿地说’, ‘慢慢儿地吃’ 등과 같이 중첩하여 ‘地’를 수반하면 서술어를 수식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음절로 형태 변화 없이 쓰일 경우 ‘慢走’와 ‘慢说’는 의미상의 변화가 생기며 ‘慢吃’는 문법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어와는 다르게 ‘走得很慢’, ‘说得很慢’, ‘吃得很慢’과 같이 보어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제한적이지 않다.
그리고 또 ‘곧다’, ‘똑바르다’, ‘수직의’, ‘똑바로 선’, ‘뻣뻣하다’, ‘굳다’, ‘꼿꼿하다’등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는 ‘直’는 형태 변화 없이 ‘直说’, ‘直立’, ‘直视’등 고정 격식의 어휘가 존재하는 반면에 ‘*直直地说’, ‘*直直地视’와 같이 중첩하여 부사어로 쓰일 수 없다. 그러나 ‘直直地立在那里’는 문장이 성립한다. 그렇다면 단음절 형용사가 동작을 수식하는 경우에 결합하는 동사와의 상관관계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형용사 자체가 함의하고 있는 의미에 기인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기존의 형용사 분류에 관한 연구동향은 크게 성질형용사와 상태형용사로 양분하며 최근 상의 개념이 포함되고 동태성을 지닌 변화형용사를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문장 안에서 부사어 형식과 보어 형식으로 표현되는 것의 대비를 통하여 의미적인 차이를 나열하는 연구가 있으나 대상으로 삼은 형용사가 전면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사어로 쓰일 수 있는 형용사와 쓰일 수 없는 단음절 형용사를 변별해내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이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형용사용법사전>에 실린 294개의 단음절 형용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각각의 글자 안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소를 세 가지씩 추출하여 완전 귀납의 방법으로 데이터화 할 것이다.
의미소를 추출하는 과정은 <한자원류자전>, <갑골문사전>, <한자어원사전>등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여 한 글자 한 글자에 내재되어 있는 중국인의 두뇌세계를 투영한다.
의미소 추출의 예를 들면 ‘直’는 갑골문()은 ‘從目從丨(標杆)’으로 本義는 ‘눈으로 긴 막대를 보며 곧은 정도를 측정하다’이다. 금문()에 이르러 자형이 다소 복잡해졌는데 갑골문의 자형에 ‘ㄴ’이 추가되어 ‘量을 측정하다’의 의미가 더해졌다. 고문()은 ‘從木’으로 보아 ‘標杆’을 의미하는 ‘木’이 자형에 드러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소전()은 금문의 의미를 그대로 계승하였으며 ‘目’이 정형화된 것을 알 수 있다. <說文解字>는 ‘ㄴ部’에 ‘直, 正見也’로 풀이한 것으로 보아 ‘直’의 本義는 ‘눈으로 정면의 긴 막대를 보며 곧은 정도를 측정하다’이며 引申義는 ‘단정하다’, ‘굽지 않다’, ‘수직의’, ‘한자의 세로획’, ‘곧게 펴다’, ‘공정하다’, ‘정확하다’ 등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따라서 자형에서 {신체, 방향, 태도} 의미소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추출한 882개(294개의 단음절 형용사는 하나의 형용사가 다수의 의미항목을 가지는 경우에도 각각의 의미 항목의 수를 모두 고려하였으므로 882개의 의미소의 수는 실제로 적을 수 있다.)의 의미소를 귀납하여 부사어로 쓰이는 단음절 형용사의 경향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형용사의 분류체계를 만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