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淸文鑑類 만주어 사전의 성립과 전파, 그리고 동아시아적 변용 = The Compilation, Diffusion, and Adaptation of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in 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7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established in China had diffused to East Asian countries, and to give a general overview of how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had been adapted in such a process. So f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established in China had diffused to East Asian countries, and to give a general overview of how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had been adapted in such a process. So far,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that have part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Manju dictionaries Cheongmungam in China, Japan, and Korea respectively, but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has expanded the scope to the whole East Asia to review the variations comprehensively.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HMB) was compiled as a monolingual dictionary for learning Manchu language, but it has been reconstructed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each country. The aspects of the adaptations can be compared according to some points such as the transformation of microstructure for various purposes, the understanding definitions written by Manchu script through Literary Chinese, and the method of writing foreign languages. The reason why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had developed in different ways may be because not only East Asian countries had different lexicographic traditions, bu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which methods were effective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variations shown in the adaptations of HMB in East Asian countries are specific examples of how a culture can be diffused, accepted, and transfo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국에서 성립된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에서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겪은 변용의 양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

      본고는 중국에서 성립된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에서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겪은 변용의 양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중국, 일본, 한국의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각기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 개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더러 있었으나, 그 범위를 동아시아 전체로 확장하여 포괄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없었다. 『御製淸文鑑』은 만주어의 학습을 위한 단일언어 사전으로 편찬되었으나, 각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재구성되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동아시아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의 변용 양상은 목적에 따른 미시 구조의 변용, 한문을 통한 만문 原釋의 이해, 서로 다른 언어의 교차 표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이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동아시아 각국이 서로 다른 사전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각국의 이해가 차이를 보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御製淸文鑑』이 동아시아 각국에서 보인 서로 다른 변용의 양상은 하나의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고 수용되며 발전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구체적인 실례가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근,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2 성백인, "청조의 청문감 편찬" 국립국어연구원 9 (9): 145-157, 1999

      3 金貞秀, "청어 노걸대의 한글 전사법과 그 혼란에 대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4

      4 김양진, "조선 지식인들의 淸代 滿洲語 수용 연구" 한국실학학회 (30) : 381-440, 2015

      5 성백인, "정조대의 한글 문헌" 문헌과해석사 243-267, 2000

      6 松岡雄太, "일본의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의 수용과 양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 99-104, 2019

      7 정광, "역학서의 세계 : 조선 사역원의 외국어 교재 연구" 박문사 2017

      8 성백인, "역학서에 나타난 훈민정음 사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 : 21-63, 1984

      9 김주원,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 만주어 몽골어 문헌에 대하여" 한국알타이학회 (22) : 1-28, 2012

      10 정제문, "만주어와 몽골어 어휘의 유사성에 대하여 - 《御製滿珠蒙古漢字三合切音淸文鑑》수록 어휘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1) : 261-280, 2015

      1 이병근,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2 성백인, "청조의 청문감 편찬" 국립국어연구원 9 (9): 145-157, 1999

      3 金貞秀, "청어 노걸대의 한글 전사법과 그 혼란에 대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4

      4 김양진, "조선 지식인들의 淸代 滿洲語 수용 연구" 한국실학학회 (30) : 381-440, 2015

      5 성백인, "정조대의 한글 문헌" 문헌과해석사 243-267, 2000

      6 松岡雄太, "일본의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의 수용과 양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 99-104, 2019

      7 정광, "역학서의 세계 : 조선 사역원의 외국어 교재 연구" 박문사 2017

      8 성백인, "역학서에 나타난 훈민정음 사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 : 21-63, 1984

      9 김주원,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 만주어 몽골어 문헌에 대하여" 한국알타이학회 (22) : 1-28, 2012

      10 정제문, "만주어와 몽골어 어휘의 유사성에 대하여 - 《御製滿珠蒙古漢字三合切音淸文鑑》수록 어휘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1) : 261-280, 2015

      11 김양진, "만주어사전 『어제청문감』(1780)의 사전학적, 언어학적 의의" 한국사전학회 (24) : 33-66, 2014

      12 정제문, "만주어 사전『御製淸文鑑』(1708년 序)의 연구 ―그 뜻풀이에 주목하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117-143, 2008

      13 上原 久, "高橋景保の研究" 講談社 1977

      14 閔泳珪, "韓漢淸文鑑" 延禧大學校 東方硏究所 1-13, 1956

      15 上原 久, "長崎通事の満州語学" 11 : 13-24, 1971

      16 성백인, "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智識産業社 867-887, 1983

      17 연규동, "近代國語 語彙集 연구 : 類解類 譯學書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8 成百仁, "現存 司譯院 淸學書와 그 硏究" 한국알타이학회 4 : 1-20, 1994

      19 高東昊, "漢淸文鑑의 構成에 대한 分析的 考察: 變改 樣相을 中心으로" 231 : 1-24, 2014

      20 今西春秋, "漢淸文鑑解說" 朝鮮學會 12 : 59-96, 1958

      21 羽田 亨, "清文鑑和解·滿語纂編解說" 1 (1): 547-552, 1936

      22 今西春秋, "淸文鑑 : 単体から5体まで" (39·40) : 121-163, 1966

      23 春花, "淸代滿蒙文詞典硏究" 遼寧民族出版社 2008

      24 新村 出, "東方言語史叢考" 岩波書店 1927

      25 김유범, "東亞細亞와 『淸文鑑』의 世界" 107-115, 2018

      26 成百仁, "延世大學校 國學硏究所 影印 《漢淸文鑑》 一" 弘文閣 1-17, 1998

      27 成百仁, "初期 滿洲語 辭典들에 대하여"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219-258, 1986

      28 朴恩用, "初刊 《漢淸文鑑》에 대하여" 효성여자대학교 8 : 145-156, 1971

      29 春花, "中国清文鉴类满语词典的变迁过程"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 41-53, 2019

      30 池上二良, "ふたたび満洲語の諺文文献について" 朝鮮學會 26 : 94-100, 1962

      31 松岡雄太, "『翻訳満語纂編』と『清文鑑和解』の編纂過程" 17 : 60-80, 2013

      32 오민석, "『漢淸文鑑』의 異本과 關聯된 몇 問題 -木版本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45) : 233-270, 2020

      33 최형원, "『御製五體淸文鑑』에 나타난 馬名 考察 ― 만주어와 몽골어를 중심으로 ―" 중앙아시아학회 17 (17): 89-122, 2012

      34 오민석, "『同文類解』 滿洲語 한글 表記의 轉字的 性格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5 (45): 113-149, 2017

      35 최계영, "《漢淸文鑑》의 사전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2016

      36 최계영, "≪漢淸文鑑≫ 滿文 詮釋의 변개 양상"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3) : 81-110, 2015

      37 성백인, "≪御製淸文鑑≫의 版本 硏究" 한국알타이학회 (18) : 31-58, 2008

      38 小倉進平, "(增訂)朝鮮語學史" 刀江書院 194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87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