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字能力과 學業成就度와의 相關性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16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자능력과 학업능력 사이의 상관은 오랫동안 한문교육자뿐만 아니라 인지과학자, 신경과학자 등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 사이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밝히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의 상관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교생들의 學業成就와 관련되는 인지능력들을 검사하였다. 우선 言語知能으로서 言語理解力, 어휘력 등을 측정하고, 아울러 單語 認識 能力으로서 形態素 認識力을 검사하고, 한자발음, 한자의미, 한자 활용 등을 측정하는 일반 한자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視覺的 技術을 측정하였다. 視覺的 技術은 한자 읽기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 결과, 고교생의 학업 성취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것은 形態素 認識力이었고, 이어서 言語知能, 視覺的 技術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자능력은 學業成就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形態素 認識力, 어휘력, 視覺的 技術과 비교하였을 때는 설명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자 능력이 학업성취에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형태소 인식력, 시각적 기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여되어 있을 가능성을 가리킨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자어 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을 지시하며, 아울러 한자 능력의 검사 방법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번역하기

      한자능력과 학업능력 사이의 상관은 오랫동안 한문교육자뿐만 아니라 인지과학자, 신경과학자 등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 사이의 관계를 과학적...

      한자능력과 학업능력 사이의 상관은 오랫동안 한문교육자뿐만 아니라 인지과학자, 신경과학자 등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 사이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밝히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의 상관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교생들의 學業成就와 관련되는 인지능력들을 검사하였다. 우선 言語知能으로서 言語理解力, 어휘력 등을 측정하고, 아울러 單語 認識 能力으로서 形態素 認識力을 검사하고, 한자발음, 한자의미, 한자 활용 등을 측정하는 일반 한자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視覺的 技術을 측정하였다. 視覺的 技術은 한자 읽기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 결과, 고교생의 학업 성취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것은 形態素 認識力이었고, 이어서 言語知能, 視覺的 技術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자능력은 學業成就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形態素 認識力, 어휘력, 視覺的 技術과 비교하였을 때는 설명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자 능력이 학업성취에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형태소 인식력, 시각적 기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여되어 있을 가능성을 가리킨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자어 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을 지시하며, 아울러 한자 능력의 검사 방법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a that the abilities to read and write Chinese (Han) characters improve school achievemen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a variety of scholars such as Chinese (Han) character educators,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scientist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the issue using scientific methods in Korea.
      We thu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s and school achievement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ive tests were used. We first measured the students’ abilities to pronounce, understand, and use Chinese (Han) characters. The verbal intelligence was also measured with both vocabula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sub-tests from K-WISC-III. We also measured the student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their copying skills with difficult Chinese (Han) and Korean characters. The mid-term scores for Korean language, Mathematics, Practical English, and Economics were obtained and used as each student’s school achie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the best variable to account for the variance of the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And then verbal intelligence, especially vocabulary, and copying skills were also found to account for the significant amounts of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However,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s accounted for only a small portion of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We suggest that the poor explanatory power might be attributed to indirect connections from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 to school achievement via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skill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 a new direction in Chinese (Han) character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call for the tests of Chinese (Han) character knowledge using the scientific methods.
      번역하기

      The idea that the abilities to read and write Chinese (Han) characters improve school achievemen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a variety of scholars such as Chinese (Han) character educators,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scientists. However, li...

      The idea that the abilities to read and write Chinese (Han) characters improve school achievemen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a variety of scholars such as Chinese (Han) character educators,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scientist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the issue using scientific methods in Korea.
      We thu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s and school achievement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ive tests were used. We first measured the students’ abilities to pronounce, understand, and use Chinese (Han) characters. The verbal intelligence was also measured with both vocabula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sub-tests from K-WISC-III. We also measured the student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their copying skills with difficult Chinese (Han) and Korean characters. The mid-term scores for Korean language, Mathematics, Practical English, and Economics were obtained and used as each student’s school achie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the best variable to account for the variance of the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And then verbal intelligence, especially vocabulary, and copying skills were also found to account for the significant amounts of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However,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s accounted for only a small portion of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We suggest that the poor explanatory power might be attributed to indirect connections from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 to school achievement via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skill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 a new direction in Chinese (Han) character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call for the tests of Chinese (Han) character knowledge using the scientific meth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