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한일어대조분석" 명지출판사 1988
2 김진애, "한일양국어의 경어의 비교" 한국일본학회 28 (28): 1992
3 조준학, "한국인의 언어의식" 서울대언어연구소 17 : 1981
4 홍민표, "한국인과 일본인의 경어의식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41 (41): 193-212, 2002
5 김기봉, "팩션으로서의 역사"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0 : 2006
6 임선미, "중국어와 한국어의 경어표현 대비연구"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41 : 2007
7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72
8 유민주, "대장금 제1,2권" 은행나무출판사 2003
9 유민주, "大長今" 人民大學出版社 2005
10 황지연, "《大長今》문화단어의 고찰" 중국연구소 39 : 2007
1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한일어대조분석" 명지출판사 1988
2 김진애, "한일양국어의 경어의 비교" 한국일본학회 28 (28): 1992
3 조준학, "한국인의 언어의식" 서울대언어연구소 17 : 1981
4 홍민표, "한국인과 일본인의 경어의식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41 (41): 193-212, 2002
5 김기봉, "팩션으로서의 역사"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60 : 2006
6 임선미, "중국어와 한국어의 경어표현 대비연구"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41 : 2007
7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72
8 유민주, "대장금 제1,2권" 은행나무출판사 2003
9 유민주, "大長今" 人民大學出版社 2005
10 황지연, "《大長今》문화단어의 고찰" 중국연구소 39 : 2007
11 조정래, "〈대장금〉의 서사적 특성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1 (1): 333-358, 2007
12 Koller,Werner, "The Concept of Equivalance and the Object of Translation Studies" 7 (7):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