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청년기 성인의 정신건강과 구강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ental Health Levels and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 in Some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daily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9, enrolling a total of 402 young adults. We determined that mental health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maladjust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life satisfaction (p<0.001), subjective health status (p<0.001), and trauma (p<0.01). Treating jaw joints exe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maladjustment (p<0.05).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a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men (p<0.05), drinkers (p<0.01), trauma (p<0.01) and jaw joint treatment patients (p<0.001). Mental health levels (p<0.001), oral habits (p<0.001),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p<0.001) are all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oral hygien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of trauma. Furthermore, factors experienced during treatment of the jaw joints also affec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We conclude that it is imperative to improve oral health and malpractice in treating jaw joint disorders, and also develop a program that effectively improves jaw joint health, by combining mental health counseling and daily lifestyle improvem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daily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9, enrolling a total of 402 young adults. We determined that mental health levels of anx...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daily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9, enrolling a total of 402 young adults. We determined that mental health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maladjust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life satisfaction (p<0.001), subjective health status (p<0.001), and trauma (p<0.01). Treating jaw joints exe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maladjustment (p<0.05).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a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men (p<0.05), drinkers (p<0.01), trauma (p<0.01) and jaw joint treatment patients (p<0.001). Mental health levels (p<0.001), oral habits (p<0.001),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p<0.001) are all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oral hygien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of trauma. Furthermore, factors experienced during treatment of the jaw joints also affec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We conclude that it is imperative to improve oral health and malpractice in treating jaw joint disorders, and also develop a program that effectively improves jaw joint health, by combining mental health counseling and daily lifestyle impr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 수준, 평소 구강 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청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4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 영역의 정신건강 수준은 삶의 만족도(p<0.001)와 주관적 건강 상태(p<0.001), 외상 경험(p<0.01)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치료 경험자는 사회적 부적응 영역(p<0.05)의 정신건강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증상은 여성(p<0.05), 음주자(p<0.01), 외상(p<0.01)과 턱관절 치료 경험자(p<0.0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건강 수준(p<0.001), 구강 습관(p<0.001)과 턱관절 증상(p<0.001)은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구강 습관(p<0.001)이 턱관절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상(p<0.05)과 턱관절 치료 경험(p<0.001)도 턱관절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턱관절 증상을 치료 시 구강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신건강 상담치료와 평소 생활습관의 개선 노력을 병행하여 턱관절 건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 수준, 평소 구강 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청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 수준, 평소 구강 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청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4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 영역의 정신건강 수준은 삶의 만족도(p<0.001)와 주관적 건강 상태(p<0.001), 외상 경험(p<0.01)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치료 경험자는 사회적 부적응 영역(p<0.05)의 정신건강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증상은 여성(p<0.05), 음주자(p<0.01), 외상(p<0.01)과 턱관절 치료 경험자(p<0.0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건강 수준(p<0.001), 구강 습관(p<0.001)과 턱관절 증상(p<0.001)은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구강 습관(p<0.001)이 턱관절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상(p<0.05)과 턱관절 치료 경험(p<0.001)도 턱관절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턱관절 증상을 치료 시 구강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신건강 상담치료와 평소 생활습관의 개선 노력을 병행하여 턱관절 건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기호, "한국 초?중?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유병상태와 악안면외상과의 관련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7 (27): 249-264, 2003

      2 최영찬,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및 치료"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5 (25): 319-328, 2009

      3 이정화, "일부지역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9 (9): 9-15, 2009

      4 최혜정,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수준, 평소 생활습관 및 턱관절장애 자각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8 (18): 763-770, 2018

      5 조미숙, "일부 고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턱관절 기능장애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6 (16): 111-120, 2016

      6 최미혜,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 비교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3 (33): 552-563, 2009

      7 한덕웅,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자기 노출, 반복 생각 및 정서 경험이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9-130, 2004

      8 김수경, "성인의 턱관절장애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17 (17): 601-611, 2017

      9 김진욱,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신체적 증상 및 턱관절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919-4926, 2013

      10 홍민희,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 건조감, 턱관절 증상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3 (13): 136-145, 2013

      1 정기호, "한국 초?중?고등학생들의 측두하악장애 유병상태와 악안면외상과의 관련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7 (27): 249-264, 2003

      2 최영찬,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및 치료"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5 (25): 319-328, 2009

      3 이정화, "일부지역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9 (9): 9-15, 2009

      4 최혜정,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수준, 평소 생활습관 및 턱관절장애 자각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8 (18): 763-770, 2018

      5 조미숙, "일부 고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턱관절 기능장애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6 (16): 111-120, 2016

      6 최미혜,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 비교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3 (33): 552-563, 2009

      7 한덕웅,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자기 노출, 반복 생각 및 정서 경험이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9-130, 2004

      8 김수경, "성인의 턱관절장애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17 (17): 601-611, 2017

      9 김진욱,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신체적 증상 및 턱관절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919-4926, 2013

      10 홍민희,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 건조감, 턱관절 증상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3 (13): 136-145, 2013

      11 M. W.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tomatognathic habi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7 (7): 295-310, 2000

      12 S. I. Sh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I" 46 (46): 210-235, 2001

      13 W. K. Soberg,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ysfunction : A clinical study of emotional and occlusal components" 28 (28): 412-422, 1972

      14 C. McNeil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 for evalu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Chicago Quintessene Publishing Co 19-21, 1993

      15 G. A. Zarb,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osteoarthritis" 13 (13): 295-306, 1999

      16 H. F. Wang,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Health of Vocational High School Nursing Students Associated With a Competitive Entrance Exam" 13 (13): 106-116, 2005

      17 오재탁, "RDC/TMD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의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9 (29): 177-185, 2004

      18 R. E. Moulton, "Psychiatric considerations in maxillofacial pain" 51 (51): 408-414, 1995

      19 N. Mobilio, "Prevalence of self-reported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n Italian population" 38 (38): 884-890, 2011

      20 S. M. Hong, "Oral medicine for the dental hygienist" DaehanNarae; Publishing 153-161, 2014

      21 D. M. . Laskin, "Etiology ofthepain dysfunction syndrome" 79 (79): 147-153, 1969

      22 A. P. S. Manfredi, "Environmental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among members of a public university in Brazil" 5 (5): 1074-1078, 2006

      23 H. A. Yoo, "Effect on explantion of pathogenesis and stress management as primary care of TMJ disorder" 28 (28): 358-363, 2002

      24 P. Jeffrey P, "Differential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ther orofacial pain disorders" 55 (55): 105-120, 2011

      25 D. Goldberg, "A User's Guide to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26 I. A.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ankook University 2012

      27 홍민희, "20-30대 일부 성인의 스트레스, 구강악습관 및 턱관절 증상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 14 (14): 739-74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