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180° 곡관에서 위치별 속도분포특성 및 직관거리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3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사각형 단면 180° 곡관 내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RSM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작동유체, 입구의 공기속도, 관내의 표면조도, 곡률반경 및 수력직경 등의 다양한 유동인자를 변...

      본 연구는 정사각형 단면 180° 곡관 내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RSM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작동유체, 입구의 공기속도, 관내의 표면조도, 곡률반경 및 수력직경 등의 다양한 유동인자를 변경하여 각도 위치별 속도분포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CFD 해석시 경계조건은 공기와 물의 입구온도를 288 K, 293 K로 설정하였고, 입구의 공기속도, 관내의 표면조도, 곡률반경 및 수력직경은 각각 3∼15 m/s, 0∼0.001 mm, 2.5∼4.5D, 70∼100 mm로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작동유체의 유동특성은 유체의 점성력 차이로 속도분포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고, 곡관부 내에서의 최대 속도프로파일은 90° 단면위치에서 X/D=0.8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180° 단면위치에서는 Y/D=0.8 영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내의 표면조도가 낮고, 곡률반경이 클수록 속도변화율은 크게 변하여 나타냈다. 또한 곡관후류의 직관부에서 유동편차가 안정화되는 직관거리는 L/D=30 영역에서 나타내어 유량 계측시 유효한 측정위치로 잘 제시할 수 있었으며, 수력직경에 따라 곡관후류 직관부의 표준편차특성은 동일한 유속일 때 최소의 편차영역은 대체로 직관거리 L/D=15∼30 범위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numerical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for each location of a square-sectional 180° bent duct using a Reynolds Stress Turbulent model. The flow parameters were varied, including the working fluids, inlet velo...

      This study numerical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for each location of a square-sectional 180° bent duct using a Reynolds Stress Turbulent model. The flow parameters were varied, including the working fluids, inlet velocity, surface roughness, radius of curvature, and hydraulic diameter. The boundary conditions f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were inlet temperatures of air and water of 288 K and 293 K, inlet air velocity of 3-15 m/s, inner surface roughness of 0-0.001 mm, radius of curvature of 2.5-4.5 D, and hydraulic diameter of 70-100 mm. The working fluid characteristics were high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viscous force. The maximum velocity profiles in the bent duct were indicated when the 90° section was in the region of X/D=0.8 and the 180° section was in the region of Y/D=0.8. Lower surface roughness and higher radius of curvature resulted in a higher rate of velocity change. Also, an efficient measuring location downstream of the bent duct is suggested since the flow deviations were the most stable when the straight duct length was in the region of L/D=30. The minimum deviations at the same velocit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hydraulic diameter were mostly indicated in the range of L/D=15-30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해석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해석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공희, "회전하는 정사각 단면 U자형 곡관 내부의 유동 발달에 관한 수치적 연구 (II)" 대한기계학회 26 (26): 13-858, 2002

      2 손현철, "정사각단면 곡관덕트에 연결된 직관덕트에서 층류유동의 속도분포" 대한기계학회 28 (28): 1058-1065, 2004

      3 봉태근, "정방형 공기덕트 내부의 유동특성에 원심력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18 (18): 455-460, 2012

      4 고동훈, "U-자형 곡관내의 유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한국전산유체공학회 14 (14): 105-114, 2009

      5 S. M. Chang, "Turbulent flow in a strongly curved U-bend and downstream tangent of square cross-sections" 4 (4): 243-269, 1983

      6 R. W. Johnson, "Turbulent Convecting flow in a square duct with a 180° bend :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University of Manchester 1984

      7 J. S. Maeng, "Three dimensional turbulent flow analysis in a 90° square sectioned duct with strong curvature" 3 (3): 11-25, 1991

      8 C. Carlander, "Installation effects on an ultrasonic flow meter with implications for self diagnostics" 11 : 109-122, 2000

      9 P. Rudolf, "Flow characteristics of curved ducts" 1 : 255-264, 2007

      10 H. G. Lee, "Axial direction velocity and wall shear stress distributions of turbulent steady flow in a curved duct" 25 (25): 131-138, 2001

      1 이공희, "회전하는 정사각 단면 U자형 곡관 내부의 유동 발달에 관한 수치적 연구 (II)" 대한기계학회 26 (26): 13-858, 2002

      2 손현철, "정사각단면 곡관덕트에 연결된 직관덕트에서 층류유동의 속도분포" 대한기계학회 28 (28): 1058-1065, 2004

      3 봉태근, "정방형 공기덕트 내부의 유동특성에 원심력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18 (18): 455-460, 2012

      4 고동훈, "U-자형 곡관내의 유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한국전산유체공학회 14 (14): 105-114, 2009

      5 S. M. Chang, "Turbulent flow in a strongly curved U-bend and downstream tangent of square cross-sections" 4 (4): 243-269, 1983

      6 R. W. Johnson, "Turbulent Convecting flow in a square duct with a 180° bend :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University of Manchester 1984

      7 J. S. Maeng, "Three dimensional turbulent flow analysis in a 90° square sectioned duct with strong curvature" 3 (3): 11-25, 1991

      8 C. Carlander, "Installation effects on an ultrasonic flow meter with implications for self diagnostics" 11 : 109-122, 2000

      9 P. Rudolf, "Flow characteristics of curved ducts" 1 : 255-264, 2007

      10 H. G. Lee, "Axial direction velocity and wall shear stress distributions of turbulent steady flow in a curved duct" 25 (25): 131-138, 2001

      11 G. M. Park,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transitional steady flows in the entrance region of a curved duct" 23 (23): 33-39, 1999

      12 S. J. Yang, "A study of turbulent model on the heat transfer in a square duct a 180° bend" 43-47, 1992

      13 I. H. Lim, "A experimental study on velocity distribution of outlet region in a square duct" 1783-1789, 2002

      14 손현철, "180° 곡관덕트의 출구영역에 연결된 직관덕트에서 층류유동의 속도분포와 2차유동" 대한기계학회 29 (29): 1092-1100,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