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일제가 조선을 강점 지배하기 전후에 두차례 실시한 국유지조사의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통감부가 실시한 국유지실지조사와 조선총독부가 실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1230
2014
-
900
KCI등재
학술저널
125-182(5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제가 조선을 강점 지배하기 전후에 두차례 실시한 국유지조사의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통감부가 실시한 국유지실지조사와 조선총독부가 실시...
이 글은 일제가 조선을 강점 지배하기 전후에 두차례 실시한 국유지조사의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통감부가 실시한 국유지실지조사와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토지조사업의 국유지조사와의 상관성이다. 후자를 시행하기 위해 작성한 국유지통지서의 내용은 전자에서 작성한 국유지대장과 국유지도를 그대로 이기 한 것이었다. 그리고 전자에서 결정된 소유권은 후자의 토지조사사업에서도 부정되지 않고 대부분 그대로 인정되었다.
둘째, 두 조사에서 일어난 국ㆍ민유 분쟁은 대부분 중답주가 주도했다. 일제는 국유지 실지조사에서 중답주를 부정하고 국유지의 소유권에 배타적 권리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사실상의 소유자인 중답주가 자기 권리를 빼앗기자 이에 반발하여 분쟁을 일으켰다. 이때 해결되지 못한 분쟁은 토지조사사업의 분쟁지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했다. 김해군과 창원군 토지조사사업의 경우 중답주의 요구는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고 국유로 확정했다. 얼마 안 되는 적은 규모의 토지가 민유로 환급되기도 했지만, 이 토지는 국유지에 혼탈입된 민전이었다.
셋째, 일제의 국유지조사는 수조권에 근거하여 성립한 유토를 배타적 소유권으로 확정하는 작업이었다. 절수사여지는 대부분 국유지로 확정되었다. 국유지실지조사와 국유지조사에서 국유지 설정기준은 동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urpose of the state land survey proceed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first aim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land survey project by the Japanese Residency General and by the Japanese Governm...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urpose of the state land survey proceed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first aim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land survey project by the Japanese Residency General an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The contents of the state land notification writt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ere copied from those of the Japanese Residency General. The state land survey project of the latter almost acknowledged the ownership decided by the former without any question.
The second, the ownership dispute between nation and people was caused by the intermediary land ownership. The Japanese imperialism denied the intermediary land ownership of the state land survey project and granted exclusive right to the state land ownership. The intermediaries, real land owners repelled this action and provoked a dispute. This kind of dispute was caused greatly at the time of the land survey project. However, the land survey project of Changwon-gun and Gimhae-gun didn't accept the demand of intermediaries. At that time, the land changed into individual ownership was mixed with the state ownership.
The third, the aim of the state land survey project by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to change the state land established by the right of taxation into exclusive ownership. Therefore, the land granted by the king was mostly changed into the state la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영순, "한말 일제초기의 토지조사와 지세개정" 영남대출판부 2002
2 최원규, "한말 일제초기 공토 정책과 국유민유 분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119-170, 2012
3 이영호, "한말 일제초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정과 국유·민유의 분기 -경기도 안산 석장둔(石場屯)의 사례-" 한국역사연구회 (77) : 281-319, 2010
4 박진태, "한말 역둔토조사의 역사적 성격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5
5 김용섭, "한국근대농업사연구(하)증보판" 일조각 1988
6 조석곤, "한국근대 토지제도의 형성" 해남 2003
7 최원규, "창원군 토지조사사업에서 소유권 분쟁의 유형과 성격" 한국학연구소 (24) : 87-144, 2011
8 이영훈, "조선후기 경제사회사" 한길사 1988
9 신용하,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지식산업사 1982
10 이영호, "조선토지조사사업에서 국유지의 조사와 활용" 한국역사연구회 (65) : 351-382, 2007
1 배영순, "한말 일제초기의 토지조사와 지세개정" 영남대출판부 2002
2 최원규, "한말 일제초기 공토 정책과 국유민유 분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5) : 119-170, 2012
3 이영호, "한말 일제초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정과 국유·민유의 분기 -경기도 안산 석장둔(石場屯)의 사례-" 한국역사연구회 (77) : 281-319, 2010
4 박진태, "한말 역둔토조사의 역사적 성격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5
5 김용섭, "한국근대농업사연구(하)증보판" 일조각 1988
6 조석곤, "한국근대 토지제도의 형성" 해남 2003
7 최원규, "창원군 토지조사사업에서 소유권 분쟁의 유형과 성격" 한국학연구소 (24) : 87-144, 2011
8 이영훈, "조선후기 경제사회사" 한길사 1988
9 신용하,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지식산업사 1982
10 이영호, "조선토지조사사업에서 국유지의 조사와 활용" 한국역사연구회 (65) : 351-382, 2007
11 조석곤, "조선토지조사사업에 있어서 소유권 조사과정에 관한 연구" 10 : 1986
12 宮嶋博史, "조선토지조사사업사의 연구" 동경대학동양문화연구소 1990
13 최원규, "일제의 창원군 토지조사와 장부" 선인 2011
14 이영호, "일제의 식민지토지정책과 미간지문제" 37 : 2000
15 강정원, "일제의 山林法과 林野調査 연구 : 경남지역 사례" 부산대학교 2014
16 박진태, "일제 통감부 시기의 역둔토 실지조사" 32 : 1997
17 박찬승, "역토 둔토에서의 지주경영의 강화와 항조" 9 : 1983
18 최원규,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 민음사 1995
19 김양식, "근대권력과 토지" 해남 1999
20 도진순, "19세기 궁장토에서의 중답주와 항조" 13 : 1985
21 이영학, "1910년대 경상남도 김해군 국유지실측도와 과세지견취도의 비교" 한국학연구소 (24) : 53-86,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