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2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 건강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일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및 대인관계 건강에 대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IBMSPSS/WIN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평균 5–6시간미만이 63.1%로 우리나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인 4.3시간보다 더 많아 스마트폰을 과다사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t=2.350, p=.019), 학년에서(F=3.313, p=.02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 건강은 성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37, p=.020).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 건강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157, p=.011),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건강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581, p<.001). 외로움과 대인관계 건강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인관계영향을 미치는 최종 회귀모형은 스마트폰 중독(t=2.753, p=.006), 의사소통 능력(t=11.714, p<.001), 스마트폰 구입동기 (t=2.125, p=.035)로 구성되었으며 36.6%의 설명력을 보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 및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는 관련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 건강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 건강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일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및 대인관계 건강에 대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IBMSPSS/WIN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평균 5–6시간미만이 63.1%로 우리나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인 4.3시간보다 더 많아 스마트폰을 과다사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t=2.350, p=.019), 학년에서(F=3.313, p=.02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 건강은 성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37, p=.020).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 건강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157, p=.011),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건강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581, p<.001). 외로움과 대인관계 건강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인관계영향을 미치는 최종 회귀모형은 스마트폰 중독(t=2.753, p=.006), 의사소통 능력(t=11.714, p<.001), 스마트폰 구입동기 (t=2.125, p=.035)로 구성되었으며 36.6%의 설명력을 보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 및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는 관련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Between 15 and 31 May 2016, 263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on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health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ques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t = 2.350, p = 0.019) and educational grade (F = 3.313, p = 0.021). With regard to human relationship health, the scores for 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females (t = 2.337, p = 0.020).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human relationship health resul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r = ?0.157, p = 0.011). In contrast, communication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health resul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0.581, p < 0.001). However, loneliness and human relationship health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final multiple regression model explaining human relationship health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t = 2.753, p = 0.006), communication ability (t = 11.714, p < 0.001), and motivation for smartphone purchase (t = 2.125, p = 0.035) as independent factors. The final model explained 36.6% of the total variance.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ship health, solutions for smartphone addiction and low communication skills are required. Th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on which to develop a human relationship health intervention progra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Between 15 and 31 May 2016, 263 subjects completed a ques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Between 15 and 31 May 2016, 263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on smartphone addiction, communication ability, loneliness, and health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ques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t = 2.350, p = 0.019) and educational grade (F = 3.313, p = 0.021). With regard to human relationship health, the scores for 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females (t = 2.337, p = 0.020).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human relationship health resul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r = ?0.157, p = 0.011). In contrast, communication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health resul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0.581, p < 0.001). However, loneliness and human relationship health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final multiple regression model explaining human relationship health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t = 2.753, p = 0.006), communication ability (t = 11.714, p < 0.001), and motivation for smartphone purchase (t = 2.125, p = 0.035) as independent factors. The final model explained 36.6% of the total variance.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ship health, solutions for smartphone addiction and low communication skills are required. Th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on which to develop a human relationship health intervention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 5.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 비교" 교육연구소 34 (34): 269-289, 2013

      2 여지영, "초기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 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47-69, 2014

      3 이수진,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87-598, 2013

      4 오현희, "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35-57, 2014

      5 박찬정, "시간관과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추상적 사고와 성장 마인드세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21-32, 2013

      6 최현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005-1015, 2012

      7 하성보, "스마트폰의 이용형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고찰 :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89-99, 2011

      8 서보경,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05-317, 2014

      9 김남선,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7 (37): 72-83, 2012

      10 장희정,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사용수준에 따른 자기통제력, 정신건강, 대인관계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46-154, 2015

      1 김은주,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 비교" 교육연구소 34 (34): 269-289, 2013

      2 여지영, "초기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 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47-69, 2014

      3 이수진,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87-598, 2013

      4 오현희, "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35-57, 2014

      5 박찬정, "시간관과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추상적 사고와 성장 마인드세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21-32, 2013

      6 최현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1005-1015, 2012

      7 하성보, "스마트폰의 이용형태와 이용환경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고찰 :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89-99, 2011

      8 서보경,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05-317, 2014

      9 김남선,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7 (37): 72-83, 2012

      10 장희정,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사용수준에 따른 자기통제력, 정신건강, 대인관계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46-154, 2015

      11 조규영,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632-1640, 2014

      12 노석준, "고등학생의 환경 및 개인심리요인, 스마트폰 이용동기,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659-691, 2013

      13 이윤신,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29-240, 2014

      14 Daniel W. Russell,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Informa UK Limited 66 (66): 20-40, 1996

      15 H. K.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by the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2016

      16 Andrew Lepp,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use, physical and sedentary activity,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a sample of U.S. college students" Springer Nature 10 (10): 79-, 2013

      17 S. Schie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18 E. Y. Choi,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skills group on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Kosin University 2004

      19 Y. K. Kim,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hanges in Human Networks – Focusing on Twitter" 26 : 165-184, 2011

      20 S. M. Moon,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 training program" 19 : 195-204, 1980

      21 Y. B. Cheon, "Smartphone addiction and prevent problem in teenagers" 14 (14): 125-139, 2013

      22 Maya Samaha,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Elsevier BV 57 : 321-325, 2016

      23 S. Elizabeth, "Lonely South Korean teens text imaginary friends through smartphone app"

      24 B. M. Casey, "Link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Smart Phone Addiction, Face-to-Face Communication, Present Absence and Social Capital"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2

      25 O. S. Kim,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27 (27): 871-879, 1997

      26 Lapointe, Liette, "Is Smartphone usage truly smart?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IT addictive behaviors" 2013

      27 "Glossary of special education"

      28 LESLIE NAVRAN,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Wiley-Blackwell 6 (6): 173-184, 1967

      29 S. H. Choi, "Asian economies article. Feel lonely because smartphones"

      30 S. K, Chu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Soongsil University 1994

      3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Internet Addiction Surve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