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유럽의 고령사회 현상과 노년 교육 프로그램을 프랑스 Brest시를 중심으로 관찰하고, 그것이 우리나라 고령화 사회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검토해 보는 데 있다. 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49416
2012
Korean
300
KCI등재
학술저널
3-3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유럽의 고령사회 현상과 노년 교육 프로그램을 프랑스 Brest시를 중심으로 관찰하고, 그것이 우리나라 고령화 사회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검토해 보는 데 있다. 프...
이 논문의 목적은 유럽의 고령사회 현상과 노년 교육 프로그램을 프랑스 Brest시를 중심으로 관찰하고, 그것이 우리나라 고령화 사회를 위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검토해 보는 데 있다. 프랑스는 세계에서 가장 완만한 고령화의 진전속도를 보이고, 생애과정에서 제3의 인생(The Third Age)으로서 노년의 삶을 중요한 국가 사회정책으로 선택하고 있다. 프랑스 노년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은 전문직 은퇴자들의 자발적인 조직과 클럽활동의 활성화, 그리고 노노(老-老) 상생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프랑스가'노인에 의한 교육'을 통해 세대공동체 교육을 실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노인조직 활동과 비교된다. 프랑스는 역사적으로 평생교육의 진원지이며, 대학과 노인단체 등의 유기적 연계와 제도적 시스템을 통해 성공적이고 생산적인 노년기를 펼치고 있다. 우리는 프랑스의 각 도시를 중심으로 결성된 은퇴자협회의 자율적 조직과 프로그램, 노인 재가시설 양로원에서의 노년교육 프로그램 등을 참고하여야 한다. 프랑스의 사례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노인 세대들의 클럽활동을 권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조직 정비를 통해 노노(老-老) 상생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과 정부의 역할을 신장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U3A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고, 세계의 노인세대와 교류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노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개할 수 있는 노년교육 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독일 통일헌법 제정상의 교훈을 통한 한반도 통일헌법 구상
방송광고와 관련한 청소년보호법제: 독일의 법제도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