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2 김정연, "특수교육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의사소통행동 촉진을 위한 AAC 양식 비교"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27-247, 2014
3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4 김영숙, "정신지체아의 언어발달에 따른 의사소통촉진에 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93-112, 2003
5 전병운,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 실태와 교사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31-60, 2014
6 장혜성, "우리나라 AAC 적용을 위한 미국 장애학생의 AAC 지원방법과 효과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3 (33): 55-82, 2017
7 전병운,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이 비구어 정신지체 아동의 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2 (12): 46-62, 2008
8 김미하, "도구 및 몸짓을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정신지체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59-176, 2006
9 윤정,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 분석: 미래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55-185, 2016
10 Yoo, K. W.,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k Young Sa 2012
1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2 김정연, "특수교육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의사소통행동 촉진을 위한 AAC 양식 비교"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27-247, 2014
3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4 김영숙, "정신지체아의 언어발달에 따른 의사소통촉진에 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93-112, 2003
5 전병운,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 실태와 교사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31-60, 2014
6 장혜성, "우리나라 AAC 적용을 위한 미국 장애학생의 AAC 지원방법과 효과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3 (33): 55-82, 2017
7 전병운,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이 비구어 정신지체 아동의 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2 (12): 46-62, 2008
8 김미하, "도구 및 몸짓을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정신지체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59-176, 2006
9 윤정,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 분석: 미래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55-185, 2016
10 Yoo, K. W.,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k Young Sa 2012
11 Lim, J. H.,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lesson using AAC utilization plan on the level of independent communi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2): 173-194, 2014
12 Glaser, B.,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13 Lee, Y. K., "The Effect of Lexical Choice Path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ased on Tablet PC on the Accuracy and Preference of AAC Lexical 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0 (20): 344-353, 2015
14 Sin, Y. B., "Script-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ol training exercises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6 (6): 355-373, 2001
15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Press Release,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redit pla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5
16 Kim, Y. C.,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ⅠBricoleur" Academy Press 2012
17 Stoll, 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7 (7): 221-258, 2006
18 Han, K. I.,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AAC Aid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2): 71-97, 2014
19 Cho, H. S., "Five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g Ji Sa 2010
20 Wacker, D. P., "Exemplary practices for beginning communicators: Implications for AAC"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97-122, 2002
21 Cho, H. I., "Effects of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ation using video self-modeling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middle school mental retarded children" 10 (10): 193-217, 2003
22 Han, E. S.,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Using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on Problem Behavior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 (3): 17-41, 2016
23 Ministry of Education,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24 Sigafoos, J., "Challenging behavi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3
25 Sin, G. S., "Case study method" Han Kyung Sa 2016
26 Park, E. H., "Basic vocabulary survey for complementary /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 Cerebral pals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13 (13): 1-15, 1996
27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2013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ct on Guarantee and Suppor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Rights"
29 함미애, "AAC 활용 수업에 대한중도·중복 지체장애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63-93, 2016
30 Han, S. K., "AAC in job environment for transition youth" 2 (2): 99-117, 2014
31 Kwon, J. H., "A Case Study on School Formalism: Focusing on schoo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31 (31): 175-19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