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산업의 발전은 중앙정부의 육성 노력뿐만 아니라 각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지역별 특성 반영 및 집중 육성 분야 선정을 통해 별도의 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부터 가속화되는 양상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신산업의 발전은 중앙정부의 육성 노력뿐만 아니라 각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지역별 특성 반영 및 집중 육성 분야 선정을 통해 별도의 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부터 가속화되는 양상이...
중국 신산업의 발전은 중앙정부의 육성 노력뿐만 아니라 각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지역별 특성 반영 및 집중 육성 분야 선정을 통해 별도의 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부터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특히 베이징 중심의 징진지 지역과 장강 삼각주, 주강 삼각주는 중국의 3대 핵심 거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 지역별로도 특화 정책들이 적극 마련되어 추진되고 있다.
중국제조 2025, 인터넷 플러스 정책에 힘입어 IT 기업 클러스터였던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등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신산업 기업들도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신산업 분야 기업들은 베이징, 상하이, 선전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의 3대 경제권에 주로 위치해 있으며, 동 3대 경제권은 중국 신산업 분야의 빠른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의 3대 경제권별로 특화된 산업을 비교 분석하고 대중 진출방안 및 한중 협력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신산업 급성장에 대응하여 중국의 신산업 수준 및 지역별 신산업 구조를 3대 경제권별로 구분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특징을 도출하며, 지역경제권의 차별적 경쟁력 진단과 경쟁력의 원천을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인 연구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경쟁력 분석을 통한 경제권의 성장 가능성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대응과 한중 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 신산업 성장의 중심지역으로 평가되는 중국의 3대 경제권으로 일반화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국의 3대 경제권은 ‘징진지(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지역’, ‘장강 삼각주(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지역’, ‘주강 삼각주(광둥성, 홍콩) 지역’으로 통칭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베이징 경제권’, ‘상하이 경제권’, ‘선전 경제권’으로 약식 기술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