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및 수학 자기효능감의 종단적 변화를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시기까지의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수목적 고등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59610
2017
-
373
KCI등재
학술저널
425-44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및 수학 자기효능감의 종단적 변화를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시기까지의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수목적 고등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및 수학 자기효능감의 종단적 변화를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시기까지의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수목적 고등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데이터 중 2,79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율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 Measure ANOVA)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특수목적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집단이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집단에 비해서 영어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중학교 1학년 때부터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 특목고에 재학 중인 집단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일반고에 재학 중인 집단과의 초기값 차이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학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도 특목고에 재학 중인 집단이 일반고에 재학 중인 집단에 비해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수학 자기효능감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환경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변화와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 of self-efficacy on English and Mathematics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ly-purposed high schools using 2,799 panel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 of self-efficacy on English and Mathematics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ly-purposed high schools using 2,799 panel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Data were analyzed by the Repeated Measure ANOVA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over time. We found that the levels of self-efficacy on English of students in specially-purposed high school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however, the level of self-efficacy on English of students in specially-purposed high schools consistently decreased over time and as
a result, its difference from that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tended to significantly decrease over time. Also, the levels of self-efficacy on Mathematics in specially-purposed high schools wer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rate over time of self-efficacy levels on Mathematics between students in two types of schoo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초등학생의 인지된 운동능력과 학교체육수업만족,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 구조모형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