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길은 양란기에 대내외적으로 조성된 국가의 위기에 직면하여 정치적 실천을 통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학문을 개척하고 정치론을 제시한 정론가였다. 그는 대내적으로 반정(反正)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43768
2018
-
900
KCI등재
학술저널
23-52(3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명길은 양란기에 대내외적으로 조성된 국가의 위기에 직면하여 정치적 실천을 통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학문을 개척하고 정치론을 제시한 정론가였다. 그는 대내적으로 반정(反正)으...
최명길은 양란기에 대내외적으로 조성된 국가의 위기에 직면하여 정치적 실천을 통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학문을 개척하고 정치론을 제시한 정론가였다. 그는 대내적으로 반정(反正)으로 출발하여 불안하기 짝이 없었던 인조(仁祖) 정권을 반석 위에 올려놓아 이후 조선왕조 국가가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형성하고, 취약한 인조의 왕권을 확립하였으며, 대외적으로 만주족의 성장으로 급변하는 동북아시아 정세 속에서 국가를 유지 보존하여 민을 보호하려 하였다.
이러한 그의 정치적 사상적 실천은 당시의 주류 지배층의 입장과는 다른 것이었다. 당시의 주류 지배층을 지배한 학문은 주자학(朱子學)이었는데, 이들은 수기(修己)와 도덕을 내세우면서 주자학(朱子學)에 입각한 명분과 의리를 정론(正論)으로 간주하고 이것을 벗어난 일체의 학문과 정치적 실천에 반대하였다. 이들은 만약 도덕과 의리를 저버린다면 국가가 망하는 것도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극단적 주장을 서슴지 않았다. 이들의 이러한 주장은 당시의 정세와는 동떨어진 주관적이고 비현실적인 주장이었으며, 동시에 치자로서의 책임을 방기한 무책임한 주장이었다.
청의 침략으로 빚어진 삼전도의 치욕은 바로 이러한 주류 지배층의 사상적 한계가 초래한 필연적인 결과였다.
최명길이 이들의 비현실적이고 무책임한 주장을 철저하게 논파할 수 있었던 것은 유자(儒者) 로서의 책임의식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는 국가를 유지·보존하지 않으면 민(民)이 곤경에 처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치자(治者)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스스로의 수양에만 매몰되어 의리와 명분을 내세우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를 유지·보존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유학의 본령이기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cheon(遲川) Choi-myeonggil(崔鳴吉) was a political theorist who pioneered the scholarship and political theory that could overcome the crisis through the political practice in the face of the crisis of the nation that was built both inside and ...
Jicheon(遲川) Choi-myeonggil(崔鳴吉) was a political theorist who pioneered the scholarship and political theory that could overcome the crisis through the political practice in the face of the crisis of the nation that was built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during the wars with Japan(1592) and Manchu(1636). He tried to estabilish King Injo(仁祖) s legitimacy and protect his nation and people against the Qing(淸) dynasty’s pressure.
But his polit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stream at the time. The ideology which ruled the ruling class at that time was the doctrine of Chu-tzu (朱子學). These ruling classes considered Chu-tzu s idea as the only truth, and opposed any other political opinions. They did not hesitate to extrapolate that if they abandoned morals and loyalty, they could afford to suffer the collapse of the state. These claims were subjective, unrealistic, and also irresponsible arguments. The disgrace of Samjeundo(三田 渡), which was created by the invasion of Qing Dynasty, was the inevitable result of the ideological limitations of this mainstream ruling class.
It was based o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s Confucianist that Choi-Myunggil could thoroughly dispute their unrealistic and irresponsible claims. He saw the reality that if the nation is not maintained or preserved, the people will be in trouble, and the most important duty of the ruler is not to be buried only in his own discipline, but to keep and preserve the nation. And this was the true purpose of the Confucian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尹南漢, "李朝 陽明學의 傳來와 受容의 問題" 1 : 1972
2 "李忠定公章疏"
3 金駿錫, "兩亂期의 國家再造 문제" 韓國史硏究會 101 : 1998
4 김용흠, "한국 중세 국가 연구의 방향과 사회인문학" 국학연구원 (150) : 41-85, 2010
5 심경호, "지천 최명길의 문학과 사상에 관하여" 한국한문학회 (42) : 187-222, 2008
6 정두영, "조선후기 양명학의 수용과 정치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7 배우성,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아카넷 2003
8 한정길, "조선조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3) - 지천 최명길(遲川 崔鳴吉)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52) : 229-269, 2016
9 김용흠,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갈등과 그 정치사상적 함의" 국학연구원 (124) : 273-329, 2004
10 김용흠,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효치론(孝治論)과 변통론" 한국역사연구회 (61) : 213-244, 2006
1 尹南漢, "李朝 陽明學의 傳來와 受容의 問題" 1 : 1972
2 "李忠定公章疏"
3 金駿錫, "兩亂期의 國家再造 문제" 韓國史硏究會 101 : 1998
4 김용흠, "한국 중세 국가 연구의 방향과 사회인문학" 국학연구원 (150) : 41-85, 2010
5 심경호, "지천 최명길의 문학과 사상에 관하여" 한국한문학회 (42) : 187-222, 2008
6 정두영, "조선후기 양명학의 수용과 정치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7 배우성,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아카넷 2003
8 한정길, "조선조 관료 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3) - 지천 최명길(遲川 崔鳴吉)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52) : 229-269, 2016
9 김용흠,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갈등과 그 정치사상적 함의" 국학연구원 (124) : 273-329, 2004
10 김용흠,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효치론(孝治論)과 변통론" 한국역사연구회 (61) : 213-244, 2006
11 황의동, "우계학파 연구" 서광사 2005
12 楊國榮, "양명학 -王陽明에서 熊十力까지" 예문서원 1994
13 김용흠, "양란 후 국가위기 수습과 속대전 편찬" 혜안 2005
14 陳來,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1997
15 김용흠, "선후기 정치와 실학"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 : 2009
16 金容欽, "韓國實學의 새로운 摸索" 景仁文化社 2001
17 鄭在薰, "霞谷 鄭齊斗의 陽明學 受容과 經世思想"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9 : 1993
18 "遲川集"
19 "遲川先生續集"
20 김용흠, "遲川 崔鳴吉의 責務意識과 官制變通論" 조선시대사학회 (37) : 5-33, 2006
21 李在喆, "遲川 崔鳴吉의 經世觀과 官制變通論" 1 : 1992
22 金泰永, "遲川 崔鳴吉의 現實 變通論" 道山學硏究院 9 : 2003
23 원재린, "遲川 崔明吉의 학문관과 정치운영론" 한국사상사학회 (29) : 113-138, 2007
24 "資治通鑑綱目"
25 "燃藜室記述"
26 "淸陰集"
27 金駿錫, "東洋三國의王權과官僚制" 國學資料院 1998
28 金駿錫, "朝鮮後期 黨爭의 綜合的 檢討"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2
29 金玉根, "朝鮮後期 經濟史硏究" 瑞文堂 1977
30 金駿錫, "朝鮮後期 政治思想史 硏究" 혜안 2003
31 金容欽, "朝鮮後期 政治史 硏究 -仁祖代 政治論의 分化와 變通論" 혜안 2006
32 "月沙集"
33 李綺南, "擇窩許善道先生停年紀念韓國史學論叢" 一潮閣 1992
34 김용흠, "延平 李貴의 政治論과 學問觀" 한국사상사학회 (29) : 73-112, 2007
35 金潤坤, "大同法의 施行을 둘러싼 贊反 兩論과 그 背景"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8 : 1971
36 金甲千, "仁祖朝 정치의 ‘適實’ 지향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37 "仁祖實錄"
38 김용흠, "仁祖反正의 名分과 政權의 正統性 論爭" 호남사학회 27 : 2006
39 吳洙彰, "仁祖代 政治勢力의 動向"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3 : 1985
40 金容欽, "仁祖代 前半 정치적 갈등과 朋黨論- 李貴와 金의 대립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0) : 75-101, 2006
41 김용흠, "仁祖代 元宗 追崇 論爭과 王權論" 연세대학교 史學硏究會 27 : 2006
42 傅樂成, "中國通史(下)" 知永社 1998
43 張立文, "中國哲學範疇發展史 (人道篇)"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5
44 김용흠, "丙子胡亂期의 主和·斥和 論爭" 국학연구원 (135) : 91-131, 2006
45 柳在城, "丙子胡亂史"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1986
46 한명기, "丙子胡亂 패전의 정치적 파장-청의 조선 압박과 仁祖의 대응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19) : 53-93, 2003
47 김용흠, "丁卯胡亂과 主和·斥和 論爭" 한국사상사학회 (26) : 159-199, 2006
48 김용흠, "[기획: 연구의 쟁점] 조선의 정치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탕평론·탕평책·탕평정치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549-569, 2016
49 徐連達, "Q중국통사" 청년사 1989
50 심경호, "17세기 초반 지성사의 한 단면 -지천 최명길과 월사·상촌·계곡·택당-" 우리한문학회 18 (18): 337-365, 2008
51 조성을, "17세기 전반 서인관료의 사상" 역사비평사 8 : 1992
52 김용흠, "17세기 공론과 당쟁, 그리고 탕평론" 조선시대사학회 (71) : 29-66, 2014
53 김용흠, "17세기 前半 經世論의 두 경향" 역사문화연구소 (24) : 179-210, 2006
지천 선생의 삶과 업적 전달 방법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의 몸과 체화(體化) -유교 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9 | 1.72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