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피히테에 있어서 실천적 자기의식과 욕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0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실천적 자기의식과 욕망의 관계를 피히테의 초기 실천철학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자아에 대한 실천적 자아의 우위가 우선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 논문은 실천적 자기의식과 욕망의 관계를 피히테의 초기 실천철학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자아에 대한 실천적 자아의 우위가 우선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이론철학이 실천철학에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실천철학이 확장된다는 것을 뜻한다. 실천적 자아는 노력을 통해 규정되고, 경험적 자아는 신체를 통해 구정된다. 이 양쪽의 자아는 근원적 제한 속에 존재한다. 유한한 이성적 존재자로서의 요구된 욕망은 이 양쪽 자아에 욕구 능력을 부여하는 것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이러한 피히테의 관점은 욕망을 결핍으로 보는 관념론이 아니라 실재론을 통헤 파악되어야만 한다. 실재론에 의하면 욕망은 그 자체가 아니라 자신의 발생을 통해서만 규정된 발생론적 방법을 통해 설명된다. 현상계에서 구체적 주관성을 지닌 주체는 욕망을 노력과 충동을 통해 실현한다. 거기에는 이성보다 감성 혹은 감정이 중요시된다. 자아의 현상을 통해 규정된 개채성은 상호주관성에 의해 사회, 법, 국가와 같은 인륜성의 근거가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self-consciousness and de sire, with a focus on the practical philosophy in Fichte's early writings. These, inevitably, pre supposes the superiority of the practcal I (self) over the th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self-consciousness and de
      sire, with a focus on the practical philosophy in Fichte's early writings. These, inevitably, pre
      supposes the superiority of the practcal I (self) over the theorretical I. This means that theoret
      ical philosophy can move towards practical philosophy, thereby enabling the expansion of the latter. The practical I is determined by striving(efffort) while the empirical I is determined by the body. I's in dese two domains exist only in otiginal restrictions. The desire that arises in a hu
      mman being who has a finite reasonable existence is nothing more than endowing desirable
      ability to these two domains along with desire. This viewpoint of Fichte schould be understo
      od along the lines of realism and not of idealism, which considers desire to a condition of sh
      ortage. Realism does not explain desire in its own right but interrprets it as something that em
      erges only when determined by its generation by means of the genetic methode. A subject liv
      ing in this phenomenal world with concrete subjectivity realizes desire through striving and n
      stinct. In this realm, sensitivity and emotion are considers more Important than reason. The in
      dividuality determined by the Manifestation of the I build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