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The Case Study of Area Studies in Honam Area,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일상문화연구회, "한국인의 일상문화, 자기성찰의 사회학" 한울 1996

      2 헌트, 린,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새물결 1993

      3 제임슨, 프레드릭, "포스트 모더니즘과 소비. in: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0

      4 김경일, "전후 미국에서 지역연구의 성립과 발전" 5 (5): 1996

      5 마페졸리르,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 2000

      6 김주관, "인류학의 자료와 지역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미국 남서부 아타바스칸어 사용 부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1 (1): 2006

      7 최협, "인류학과 지역연구" 나남 1997

      8 멈포드, 루이스, "역사 속의 도시: 그 기원, 변형과 전망" 명보사 1990

      9 레비-스트로스, 클로드, "야생의 사고" 한길사 2003

      10 애커치, 로저, "밤의 문화사" 돌베개 2008

      1 일상문화연구회, "한국인의 일상문화, 자기성찰의 사회학" 한울 1996

      2 헌트, 린,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새물결 1993

      3 제임슨, 프레드릭, "포스트 모더니즘과 소비. in: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0

      4 김경일, "전후 미국에서 지역연구의 성립과 발전" 5 (5): 1996

      5 마페졸리르,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 2000

      6 김주관, "인류학의 자료와 지역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미국 남서부 아타바스칸어 사용 부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1 (1): 2006

      7 최협, "인류학과 지역연구" 나남 1997

      8 멈포드, 루이스, "역사 속의 도시: 그 기원, 변형과 전망" 명보사 1990

      9 레비-스트로스, 클로드, "야생의 사고" 한길사 2003

      10 애커치, 로저, "밤의 문화사" 돌베개 2008

      11 기어츠, 클리퍼드, "문화의 해석" 까치 1998

      12 김광억, "문화의 다학문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13 송도영, "문화산업의 구조와 일상적 문화소비 양식. in: 한국인의 소비와 여가생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4 버크, 피터, "문화사란 무엇인가" 새물결 2005

      15 헌트, 린,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소나무 1996

      16 조한욱,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책세상 2000

      17 베네볼로, 레오나르도, "도시의 역사" 세진사 1989

      18 홍석준, "도서부 동남아시아의 종족성 연구를 위한 시론: 종족성과 근대성, 그리고 문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in: 동남아의 사회와 문화" 오름 1997

      19 샤툭, 로저, "금지된 지식" 텍스트 2009

      20 단턴, 로버트, "고양이 대학살" 문학과지성사 1996

      21 "고상두, 지역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연세춘추, 2005년 9월 22일자"

      22 조경만, "갯벌과 인간 생활에 대한 개념화 현상 고찰 -영산강 유역, 서남해 연안, 도서지역 사례-" 도서문화연구원 (33) : 103-139, 2009

      23 홍석준, "‘도서·해양 문화’ 연구와 인류학" 도서문화연구원 (33) : 141-168, 2009

      24 Taussig, M., "The Devil and Commodity Fetishism in South America" North Carolina University Press 1980

      25 Cohen, A., "Symbolic Construction of Community" Tavistock 1985

      26 Turner, V., "Symbolic Action in Human Society. in: Drama, Fields and Metaphors" Cornell University Press 1974

      27 Geertz, C., "Religious Development in Morocco and Indonesia. in: Islam Observ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28 Sahlins, M., "Islands of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29 Thomas, K., "History and Anthropology" 24 : 3-24, 1963

      30 Merkx, G., "Foreign Area Studies: Back to the Future?" 2-, 1995

      31 "Evans-Pritchard, E., Essays in Social Anthropology, London, 1962"

      32 Rosaldo, R., "Culture and the Truth" University Press 1985

      33 Marcus, George, "Anthropology as Cultural Critiqu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4 Asad, T., "Anthropology and the Colonial Encounter" Ithaca 1973

      35 긴즈부르그, 카를로, "16세기와 17세기의 마법과 농경 의식. in: 마녀와 베난단티의 밤의 전투" 길 1999

      36 긴즈부르그, 카를로,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in: 치즈와 구더기" 문학과지성사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