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활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의사소통기술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 기반적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8563
-
2013년
Korean
유아 ; validation ; music activity ; communication skills ; assessment ; infant ; 음악활동 ; 의사소통기술 ; 평가도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활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의사소통기술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 기반적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
본 연구는 음악활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의사소통기술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 기반적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총 358명의 유아가 참여하였으며 연구기간은 총 13개월이었다. 자료분석은 참여자 정보제공을 위해 빈도분석, 교사관찰가능성 분석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문항의 신뢰도를 위해 문항내적일치도 신뢰도 검증, 문항변별력을 위해 상하집단 간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내적일치도 분석, 구인타당도 검증은 본 평가도구의 총점과 하위요인 총점간의 상관정도를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공인타당도 검증은 본 평가도구와 표준화된 검사도구간의 상관정도를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발달적 변화 검증은 연령별로 각 유아 평균점수 비교하는 집단 간 F검증, 성별 간 검증은 성별에 따라 점수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집단 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련문헌 고찰 및 국내 평가도구를 분석,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음악활동에서 관찰할 수 있는 언어이해력 48개의 문항, 언어표현력 62개의 문항, 총 110개의 문항이 개발되었다. 둘째, 문항양호도 검증과 검사양호도 검증을 통해 109문항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의 문항양호도 검증 결과 교사관찰가능성 점수, 전문가 내용타당도 점수, 문항각각의 신뢰도 점수가 높게 산출되었다. 또한 하나의 문항을 제외하고 문항별 상하집단 간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 문항의 변별도가 높게 산출되었다. 검사 양호도 검증 결과 검사도구의 신뢰성이 확보되었으며 유아의 의사소통이라는 구인을 측정하는 구인타당성과 공인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또한 본 평가도구는 의사소통기술의 발달을 측정하는 도구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여자유아가 남자유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의사소통기술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음악활동에서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을 평가할 수 있다는 평가체계의 기틀을 제공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ng scale that provides an adequacy of items and an adequacy of testing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s' communication skills that were observed during music activities. For the research, items were devel...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ng scale that provides an adequacy of items and an adequacy of testing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s' communication skills that were observed during music activities.
For the research,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correlating literature and, with the developed items, the infants' communication skills was asses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358 children were aged from four to six years old. research period is 13 months. The data was analyzed by face validity, content validity, item discrimination, and items reliability, test reliability.
As a result, A rating scale was made up 2 sub-scales(receptive language, expressive language) 110 items through a literature reviewing and instruments. A panel of experts in infant education and speech therapy, music therapy examined the contents validity. The preliminary 109 items was administered in a series of three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Over all face validity, content validity, item discrimination, and items reliability, test reliability, factors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were high levels.
It was shown that the rating scale in music activities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s' communication skills is reliable rating systems for the assessments of infant communica
How to Improve You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Speaking, Vocabulary and Grammar
한서대학교 Shaneil DipasupilEngineering Diploma: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Special Schools: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Hair and Beauty Diploma: Communication Skills
Teachers TV Teachers TV기독교유아아동이해
안양대학교 유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