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압류의 처분금지효와 관습상 법정지상권 = 대법원 전원합의체 2012. 10. 18. 선고 2010다52140 판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6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매에 있어 압류등기가 행해지면 부동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효력이 공시되고, 그 후의 부동산 소유자에의한 처분행위는 압류채권자 및 경락인에게 대항할 수 없어 그에 대한 관계에서 효...

      경매에 있어 압류등기가 행해지면 부동산에 대한 처분제한의 효력이 공시되고, 그 후의 부동산 소유자에의한 처분행위는 압류채권자 및 경락인에게 대항할 수 없어 그에 대한 관계에서 효력을 잃게 되므로, 위압류 또는 가압류에 대항할 수 없는 처분행위를 원인으로 한 등기는 직권말소된다. 따라서 가압류의 처분금지효에 의해 경락인에 대한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소유권을 상실하는 승계인이 있는 경우, 관습상 법정지상권의 성립요건으로서 건물소유자와 토지소유자의 동일성은 가압류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실제로 부동산강제경매절차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인들도 가압류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자신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므로, 假押留時가 아닌 競落時를 기준으로 관습상 법정지상권을 인정할 경우 토지소유자에게는 불측의 손해를 초래하고, 건물소유자에게는 망외의 이익을 안겨주는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대상판결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관여 대법관 전원일치의 전원합의체 판결로서 假押留時說을 취하고, 이와 달리 競落時說을 취한 1990년 판결을 폐기한 것은 매우 타당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njunctive effect on the real estate gets announced in public once the seizure register gets exercised in terms of auction and the action of disposal by the real estate owner afterwards becomes nullified in the relationship with a seizure credi...

      As the injunctive effect on the real estate gets announced in public once the seizure register gets exercised in terms of auction and the action of disposal by the real estate owner afterwards becomes nullified in the relationship with a seizure creditor or a successful bidder, the register performed by the cause of disposal action that cannot confront with the seizure or provisional seizure, becomes cancelled in virtue of a registration officers office. Accordingly, in case of being a singular successor who relatively loses property in a relationship toward the successful bidder due to the injunctive effect of provisional seizure, the identity with building owner and land owner as the precondition of establishing legal superficies according to the custom must be decided based on the time of provisional seizure.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0Da52140 delivered on October 18, 2012 has great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has settled inconsistency in existing precedent cases with such purpo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序言
      • Ⅱ. 사안의 개요 및 소송의 경과
      • Ⅲ. 종래의 대법원판례에 대한 검토
      • 요약
      • Abstract
      • Ⅰ. 序言
      • Ⅱ. 사안의 개요 및 소송의 경과
      • Ⅲ. 종래의 대법원판례에 대한 검토
      • Ⅳ. 대상판결 및 관련 문제에 대한 검토
      • Ⅴ. 結語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수정, "지상권의 개정방안" 한국민사법학회 60 : 59-96, 2012

      2 최수정, "지상권의 개정방안" (60) : 76-83,

      3 신용호, "부동산강제경매로 인하여 건물의 소유를 위한 관습상 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위해서 토지와 그 지상 건물이 동일인에게 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기준시점" 민사실무연구회 21 : 655-, 2012

      4 부상준, "부동산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 10 : 1-38, 2013

      5 이무상, "부동산 가압류의 처분제한적 효력" 법학연구소 31 (31): 191-217, 2007

      6 황진효, "민법 제366조 소정의 법정지상권의 성립요건 -건물의 재건축과 소유자의 동일성 문제를 중심으로-" 부산판례연구회 13 : 252주79-, 2002

      7 "민법 제305조 제1항, 민법 제366조"

      8 "대법원 전원합의체 1962. 12. 24. 선고 4294민재항675 판결"

      9 "대법원 1999. 11. 23. 선고 99다52602 판결"

      10 김병두, "구분소유적 공유의 성립 - 대법원 2012. 4. 26. 선고2010다6611판결 -" 한국민사법학회 61 : 249-296, 2012

      1 최수정, "지상권의 개정방안" 한국민사법학회 60 : 59-96, 2012

      2 최수정, "지상권의 개정방안" (60) : 76-83,

      3 신용호, "부동산강제경매로 인하여 건물의 소유를 위한 관습상 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위해서 토지와 그 지상 건물이 동일인에게 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기준시점" 민사실무연구회 21 : 655-, 2012

      4 부상준, "부동산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 10 : 1-38, 2013

      5 이무상, "부동산 가압류의 처분제한적 효력" 법학연구소 31 (31): 191-217, 2007

      6 황진효, "민법 제366조 소정의 법정지상권의 성립요건 -건물의 재건축과 소유자의 동일성 문제를 중심으로-" 부산판례연구회 13 : 252주79-, 2002

      7 "민법 제305조 제1항, 민법 제366조"

      8 "대법원 전원합의체 1962. 12. 24. 선고 4294민재항675 판결"

      9 "대법원 1999. 11. 23. 선고 99다52602 판결"

      10 김병두, "구분소유적 공유의 성립 - 대법원 2012. 4. 26. 선고2010다6611판결 -" 한국민사법학회 61 : 249-296, 2012

      11 김병두, "구분소유적 공유의 법적 구조에 관한 일고찰" 법학연구소 18 (18): 189-232, 2010

      12 김병두, "구분소유적 공유의 법리 소고 -명의신탁을 중심으로-" 1 (1): 1-31, 2008

      13 최창렬, "구분소유적 공유법리의 재고" 한국재산법학회 22 (22): 35-74, 2006

      14 신국미,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법적 성 질 -판례이론의 비판적 고찰-" 31 (31): 43-64, 2009

      15 최문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와법정지상권, In 민법판례해설Ⅱ[물권법]" 경세원 150-, 1992

      16 박영규, "구분소유권적 공유 이론 비판" 서울시립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12 : 51-78, 2004

      17 전대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에 관한 학설과판례의 동향" 10 : 57-110, 2013

      18 지대운,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

      19 권재문,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인정근거와 필요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법사학회 (37) : 99-127, 2008

      20 권재문,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인정근거와 필요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37) : 117-122,

      21 강신웅,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인정근거와 필요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37) : 115-,

      22 권재문,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인정근거와 필요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37) : 107-113, 1916

      23 배병일,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인정근거와 필요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37) : 105-,

      24 이진기,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문제" 한국비교사법학회 18 (18): 773-814, 2011

      25 장창민,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에 관한 일고" 법학연구소 24 (24): 283-307, 2012

      26 배병일, "관습법상 법정지상권과 가압류" 한국법학원 (129) : 79-115, 2012

      27 김범진, "강제경매로 인한 관습상 법정지상권 성립여부 판단시점"

      28 이재석,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배당관계에 미치는 영향" 53 : 345-462, 2011

      29 송인권, "가압류의 처분금지 효력에 관한 몇 가지 문제" 법조협회 55 (55): 64-94, 2006

      30 이태영, "가압류의 상대적 효력" 안암법학회 통 (통): 83-110, 2007

      31 정성윤, "가압류와 압류의 효력 -처분금지효와 개별상대효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0 (30): 251-274, 2013

      32 강신웅, "慣習法上 法定地上權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31) : 97-118, 2008

      33 김재형, "2012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민법(상)"

      34 "1990년 판결은, 乙에게 Y의 토지 지분이 양도된 시점에 건물소유자 Y가 취득한 B 건물의 소유를 위한 관습상 법정지상권이, 그 후 甲의 토지 가압류에 기한 강제경매절차에서도 여전히 존속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