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Haematococcus pluvialis로부터 Haematococcus 추출물 제조 공정에서 효소 처리가 추출 효율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5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수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astaxanthin을 함유한 H. pluvialis 균체로부터 작용기작이 상이한 exo형과 endo형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식품용 haematococcus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Alcalase (endo형)와 Flavourzyme (exo형)을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로는 Viscozyme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endo형과 exo형을 병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astaxanthin 함량을 증가시켰다. Viscozyme과 함께 2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1차로 처리한 후 Viscozyme을 2차로 사용하는 2단계 가수분해 방법이 적절하였다. 이 조건에서 astaxanthin 함량은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320% (529 μ g/g → 2,256 μ g/g)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DPPH법으로 조사한 항산화 활성은 astaxanthin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차로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처리한 후 2차로 Viscozyme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번역하기

      우수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astaxanthin을 함유한 H. pluvialis 균체로부터 작용기작이 상이한 exo형과 endo형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식품용 haematococcus 추출물을 효...

      우수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astaxanthin을 함유한 H. pluvialis 균체로부터 작용기작이 상이한 exo형과 endo형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식품용 haematococcus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Alcalase (endo형)와 Flavourzyme (exo형)을 복합 다당류 분해 효소로는 Viscozyme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endo형과 exo형을 병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astaxanthin 함량을 증가시켰다. Viscozyme과 함께 2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1차로 처리한 후 Viscozyme을 2차로 사용하는 2단계 가수분해 방법이 적절하였다. 이 조건에서 astaxanthin 함량은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320% (529 μ g/g → 2,256 μ g/g)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DPPH법으로 조사한 항산화 활성은 astaxanthin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차로 Alcalase와 Flavourzyme을 병용하여 처리한 후 2차로 Viscozyme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food-grade heamatococcus extract was developed based on stepwise enzymatic hydrolysis. In the first step, Haematococcus pluvialis cells hydrolysis carried out with commercially available exopeptidase(Flavourzyme) and endopeptidase (Alcalase), resulted in increased astaxanthin content. In the second step, proteolytic hydrolyzed H. pluvialis cells treated with hetero-polysaccharides hydrolytic enzyme (Viscozyme). By two-stage treatments using Alcalase and Flavourzyme and Viscozyme, the highest astaxanthin content was obtained. The astaxanthin content was remarkably enhanced by 320% (529 μ g/g → 2,256 μ g/g) than that of the non-treated extract. And the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 metho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staxanthin content in haematococcus extract prepared by enzymatic hydrolysis.
      번역하기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food-grade heamatococcus extract was developed based on stepwise enzymatic hydrolysis. In the first step, Haematococcus pluvialis cells hydrolysis carried out with commercially available exopeptidase(Flavourzyme) and ...

      An efficient production method of food-grade heamatococcus extract was developed based on stepwise enzymatic hydrolysis. In the first step, Haematococcus pluvialis cells hydrolysis carried out with commercially available exopeptidase(Flavourzyme) and endopeptidase (Alcalase), resulted in increased astaxanthin content. In the second step, proteolytic hydrolyzed H. pluvialis cells treated with hetero-polysaccharides hydrolytic enzyme (Viscozyme). By two-stage treatments using Alcalase and Flavourzyme and Viscozyme, the highest astaxanthin content was obtained. The astaxanthin content was remarkably enhanced by 320% (529 μ g/g → 2,256 μ g/g) than that of the non-treated extract. And the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 metho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staxanthin content in haematococcus extract prepared by enzymatic hydro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만진, "효소 처리에 의한 Astaxanthin의 추출 효율 향상"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247-249, 2008

      2 김소영, "초음파처리를 이용한 Haematococcus pluvialis로부터의 아스타잔틴의 추출 및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363-1368, 2008

      3 Chae, H. J, "Utilization of brewer’s yeast cells for the production of food-grade yeast extract. Part 1: effects of different enzymatic treatments on solid and protein recovery and flavor characteristics" 76 : 253-258, 2001

      4 Kang, C. D, "Selective extraction of free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culture using a tandem organic solvent system" 23 : 866-871, 2007

      5 Kobayashi, M, "Selective extraction of astaxanthin and chlorophyll from the green 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11 : 657-660, 1997

      6 In, M. -J, "Process development for heme-enriched peptide by enzymatic hydrolysis of hemoglobin" 84 : 63-68, 2002

      7 Kobayashi, M,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life cycle of the green 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84 : 94-97, 1997

      8 Guerin, M, "Haematococcus astaxanthin: applications for human health and nutrition" 21 : 210-216, 2003

      9 Machmudah, S, "Extraction of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using supercritical CO2 and ethanol entrainer" 45 : 3652-3657, 2006

      10 Valderrama, J. O, "Extraction of astaxanthin and phycocyanine from microalgae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48 : 827-830, 2003

      1 인만진, "효소 처리에 의한 Astaxanthin의 추출 효율 향상"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247-249, 2008

      2 김소영, "초음파처리를 이용한 Haematococcus pluvialis로부터의 아스타잔틴의 추출 및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363-1368, 2008

      3 Chae, H. J, "Utilization of brewer’s yeast cells for the production of food-grade yeast extract. Part 1: effects of different enzymatic treatments on solid and protein recovery and flavor characteristics" 76 : 253-258, 2001

      4 Kang, C. D, "Selective extraction of free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culture using a tandem organic solvent system" 23 : 866-871, 2007

      5 Kobayashi, M, "Selective extraction of astaxanthin and chlorophyll from the green 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11 : 657-660, 1997

      6 In, M. -J, "Process development for heme-enriched peptide by enzymatic hydrolysis of hemoglobin" 84 : 63-68, 2002

      7 Kobayashi, M,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life cycle of the green 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84 : 94-97, 1997

      8 Guerin, M, "Haematococcus astaxanthin: applications for human health and nutrition" 21 : 210-216, 2003

      9 Machmudah, S, "Extraction of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using supercritical CO2 and ethanol entrainer" 45 : 3652-3657, 2006

      10 Valderrama, J. O, "Extraction of astaxanthin and phycocyanine from microalgae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48 : 827-830, 2003

      11 Man-Jin In, "Enhancing Extraction Yield of Chlorella Extract by Enzyme Treatment"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132-135, 2007

      12 Park, E. -K., "Effects of medium compositions for the growth and the astaxanthin production of Haematococcus pluvialis" 29 : 227-233, 2001

      13 Wang, S. -B, "Cell wall proteomices of the green algae Haematococcus pluvialis(Chlorophyceae)" 4 : 692-708, 2004

      14 Higuera-Ciapara, I, "Astaxanthin: a review of its chemistry and applications" 46 : 185-196, 2006

      15 Jyonouchi, H, "Antitumor activity of astaxanthin and its mode of action" 36 : 59-65, 2000

      16 Schroeder, W. A, "Antioxidant role of carotenoids in Phaffia rhodozyma" 39 : 907-912, 1993

      17 Kobayashi, M, "Antioxidant role of astaxanthin in the green 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48 : 351-356, 1997

      18 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3, 1958

      19 Orosa, M, "Analysis and enhancement of astaxanthin accumulation in Haematococcus pluvialis" 96 : 373-378, 2005

      20 Orosa, M, "Analysis and enhancement of astaxanthin accumulation in Haematococcus pluvialis" 96 : 373-37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