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가 세계철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흔히들 말하는 바 대로 칸트의 철학은 서양 철학사의 중앙에 위치한 가장 큰 저수지이다.가끔 칸트 이전의 철학은 모두 칸트로 흘러 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90653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칸트가 세계철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흔히들 말하는 바 대로 칸트의 철학은 서양 철학사의 중앙에 위치한 가장 큰 저수지이다.가끔 칸트 이전의 철학은 모두 칸트로 흘러 들...
칸트가 세계철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흔히들 말하는 바 대로 칸트의 철학은 서양 철학사의 중앙에 위치한 가장 큰 저수지이다.가끔 칸트 이전의 철학은 모두 칸트로 흘러 들어갔고 칸트 이후의 철학은 모두 칸트로부터 흘러 나왔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약간 과장되어 있긴 하지만 부정하기는 힘든 평가라고 할 수 있다.한 마디로 칸트는 철학의 전 영역에 대해 탁월한 업적을 남긴 최초의 프로철학자로서 철학 사상의 한 시대를 연 위대한 철학자이기 때문이다.
실천 이성 비판 은 칸트의 저작 중에서도 계몽주의의 완성자이며 철학적 모더니티(modernity)를 성숙시킨 칸트 철학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는 책이다.구체적으로는 칸트 윤리학의 내용이 집약되어 있는 책이다.물론 칸트 윤리학은 윤리 형이상학 기초 에서도 상세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실천 이성 비판 은 도덕 철학의 철학적 정당화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책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실천 이성 비판 의 주요 개념들을 디지털화하여 토픽 맵(TopicMap)을 만들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진 것이다.이를 위해 우선 중요 개념들의 내용을 분석하고,다른 개념과의 연관 관계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연구 기간의 제약 때문에 만족스러울 정도로 완결된 분석에는 이르지는 못하였으나 실천 이성 비판 의 핵심적인 개념들을 최대한 포괄하고자 최대한 노력하였다.그러나 아직 중요하지만 다루지 못한 개념이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인데,그런 개념들은 토픽맵 작업을 하면서 추가적으로 보충해 나갈 것이다.그리고 무엇보다도 토픽 맵을 위한 기초 작업이 되다보니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인 해석을 표출하는 것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자제하고 가능하면 원 텍스트의 골격을 충실히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였다.따라서 이 책은 기존의 해석들을 폭넓게 고려하면서 연구자의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를 논증적으로 제시하는 일반적인 연구서와는 성격이 다르다.연구자 자신의 관점과 해석에 기반 한 연구 결과는 이 연구의 다음 단계로서 일정 기간 이후에 정리된 형태로 제시할 계획이다.
각 개념에 대한 원전의 내용을 충실히 정리하는 것을 일차적인 과제로 삼았지만,가능하면 실천 이성 비판 의 중요 개념들이 칸트의 실천 철학에서 어떻게 확장되고 연계되는지를 윤곽이나마 드러내 보이려고 시도는 하였다.그 이유는 최근 우리 학계에서의 칸트에 대한 연구가 너무 순수 이성 비판 과 이론 철학에 필요 이상으로 기울어져 있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고, 실천 이성 비판 도 순수 이성 비판 과의 연결이나 대비를 밝히는데 너무 큰 비중을 두었다는 판단 때문이다.그러나 실천 이성 비판 은 칸트가 자신의 실천 철학의 디딤돌을 확보한 작업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후 진행된 실천 철학과의 연계가 좀더 깊이 천착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연구자의 생각이다.그래서 본격적인 작업은 아니지만 몇 몇 개념에 대해 서는 사회 철학,역사 철학에 어떻게 연결되고 확장되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추가하였다.
이 연구에 실려있는 실천 이성 비판 에서의 인용은 모두 백종현 선생님 허락 하에 선생님의 번역본에서 가져온 것임을 이 기회에 밝혀 둔다. 실천 이성 비판 에서의 인용은 편의상 원전초판본(Originalausgabe)의 면 수만 밝혔으며, 순수 이성 비판 은 재판의 면 수만 밝혔다.그리고 그 외의 다른 저작들의 면 수는 학술원판의 권 수와 면 수를 밝혔다는 점도 참고로 밝혀둔다.
국문 초록 (Abstract)
주초록은 본 단행본의 머리말 중 일부 내용을 입력한 것입니다.
주초록은 본 단행본의 머리말 중 일부 내용을 입력한 것입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
제1부 실천 이성 비판 저자의 생애와 전체 개관 ···························1
1.칸트의 생애 ·························································································1
2.책의 개관 ·····························································································3
제2부 개념 체계도 ···················································································9
1.원전의 목차 ·························································································9
2.개념 체계도 ·······················································································10
3.연관 관계도 ·······················································································18
제3부 주요 개념 분석 ············································································20
<1> 실천 이성 ······················································································20
<2> 도덕 법칙 ······················································································30
<3> 자유 ·······························································································60
<4> 최고선 ···························································································86
<5> 실천 이성의 요청 ·········································································99
참고문헌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