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개화기 여성 가사에 나타난 여성 의식 고찰 = On Female Consciousness Shown in Yǒsǒng Gasa in the Period of Enlight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5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ǒsǒng Gasa includes diverse female voices from the Confucian society. Yǒsǒng Gasa advocates for the masculine rule in general; however female writers sometimes express their own voices. Readers need to discern how female voices are expressed diff...

      Yǒsǒng Gasa includes diverse female voices from the Confucian society. Yǒsǒng Gasa advocates for the masculine rule in general; however female writers sometimes express their own voices.
      Readers need to discern how female voices are expressed differently from male voices and how female voices are spoken in their own ways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 focus on the work called Kǒngke-sara writte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his transitional period has a task of modernization (namely Westernization) and recognizes the changing female status.
      Women should be educated and enlightened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atmosphere. However, although women began to acknowledge this atmospher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ir inferior social position let them unable to transform the social system.
      Women posit themselves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and reveal their confusions and complexities as floating subjects, which uncovers in my close reading of Kǒngkae-sara. Women’s attempts to set up female identity begin to show up in Kyǒngkaesara and followed by new novels (shinsosǒl) that describe the changed female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가사는 지배양식인 남성가사를 모방하는 것에서 여성들의 서사로 내면화, 융성시키는 과정에서 시대 사회적인 변화를 담지하고 다른 문학 갈래와도 영향을 주고 받으며 여성적인 소통...

      여성가사는 지배양식인 남성가사를 모방하는 것에서 여성들의 서사로 내면화, 융성시키는 과정에서 시대 사회적인 변화를 담지하고 다른 문학 갈래와도 영향을 주고 받으며 여성적인 소통의 장으로서의 독자성을 키워나갔다. 일레인 쇼왈터Elain Showalter는 「그들만의 문학A Literature of Their Own」(1977)에서 지배전통의 지배적 양식을 모방하고 내면화시키던 단계를 거쳐 여성들만의 문학공간을 창출해나가는 여성적 자기서사의 특징을 주목한 바 있다. 여성 가사는 바로 이러한 여성적 자기서사의 구현물로서 생각될 수 있다. 특히 낭독과 필사로 이어지는 향유 방식과 전승의 과정은 다기한 변이체들을 낳으며 고정된 텍스트 분석의 틀을 벗어나 있다. 이러한 면모는 여성 텍스트의 외연을 넓혀주는 동시에 텍스트 자체의 다중적인 목소리들에 주목하게 한다.
      특히 계녀가류 여성가사는 유교적 자장하에서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목소리들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여성들의 관계적인 성향을 분명히 담지한 텍스트의 확장과 소통의 방식은 때로 남성적인 윤리규범의 계도를 위한 방편이 되기도 했지만 그 속에서도 여성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만들어냈다. 이 지점에서 지배적인 목소리와 침묵하고 있는 목소리 혹은 불투명하게 드러나는 목소리들을 감지해낼 필요가 있다. 특히 시대가 요구하는 지점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통해 여성적 정체성을 모색해내는 과정은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여성 가사는 개화기라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또다른 변모를 보이는데, 형식적인 쇠퇴 혹은 소멸의 측면 보다는 그 시대적 소명을 담아내는 지점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조선의 전면적인 재구성을 요구하는 시대 속에서 조선적 윤리의식을 계도하였던 계녀가류 여성 가사의 시대인식의 면면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지점들을 <경계사라>라는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개화기는 문명개화를 시대적 과제로 삼으며 그 중심에 여성을 두었다. 따라서 계몽의 대상은 여성이었으며 쏟아지는 여성담론들은 또하나의 여성 지침서들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지점에서 계녀가류 여성가사와 개화계몽류 여성 가사가 내용적 형식적 측면에서,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여성에게 익숙한 양식으로 전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만나고 있다. 다만 여성의 자각은 주지의 사실이었으나 실제 여성의 삶은 급격히 변화될 수 없는 것이었다. 결국 여성들은 전통과 근대의 경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점들을 <경계사라>와 다른 여성가사들을 통해 방증해보고자 했다. 이 시기 여성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정체성 모색의 과정은 신소설의 면면들, 이후 근대 여성 소설의 면면과도 이어지는 것으로 이는 차후의 과제로서 남겨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애, "「<복선화음가>연구" 효성여대 11 : 183-214, 1980

      2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94

      3 최숙경, "한국 여성사: 고대~조선시대" 이화여대출판부 1993

      4 서영숙, "한국 여성 가사 연구" 국학자료원 11-16, 1996

      5 서영숙, "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 역락 2003

      6 신은경, "조선조 여성텍스트에 대한 페미니즘적 조명시고(1)" 2 : 572-, 1991

      7 김성례, "여성의 자기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고려원 15-, 1994

      8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수진, "신여성현상의 세계적 차원과 사회적 차이 -영국, 일본, 그리고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185-230, 2006

      10 서영숙,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서술구조와 의미: <김씨계녀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연구회 9 : 213-236, 1994

      1 이선애, "「<복선화음가>연구" 효성여대 11 : 183-214, 1980

      2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94

      3 최숙경, "한국 여성사: 고대~조선시대" 이화여대출판부 1993

      4 서영숙, "한국 여성 가사 연구" 국학자료원 11-16, 1996

      5 서영숙, "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 역락 2003

      6 신은경, "조선조 여성텍스트에 대한 페미니즘적 조명시고(1)" 2 : 572-, 1991

      7 김성례, "여성의 자기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고려원 15-, 1994

      8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수진, "신여성현상의 세계적 차원과 사회적 차이 -영국, 일본, 그리고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185-230, 2006

      10 서영숙,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서술구조와 의미: <김씨계녀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연구회 9 : 213-236, 1994

      11 캐롤 길리건, "다른 목소리로" 동녘 1997

      12 이정옥, "내방가사의 향유자연구" 서문, 박이정 11-50, 1999

      13 나정순, "내방가사의 문학성과 여성인식" 10 : 273-298, 1995

      14 리타펠스키,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998

      15 강명관, "근대계몽기시가자료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0

      16 백순철, "규방가사와 근대성의 문제" 한국고전연구학회 9 : 39-67, 2003

      17 권영철, "규방가사 연구" 이우출판사 72-74, 1980

      18 이재수, "규방가사 연구" 형설출판사 1976

      19 권영철, "규방가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20 이정옥, "계녀가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교육관" 18 : 231-250, 1990

      21 송재연, "계녀가사의 구성양상과 서술특성 : 남성·여성 화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2 장덕순, "계녀가사 시론" 3 : 10-12, 1953

      23 양지혜, "계녀가류 규방가사의 형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4 전미경, "개화기 규방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시대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6 (6): 85-108, 2001

      25 고순희, "개화기 가사를 통해 본 여성담론의 전개양상과 특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201-230, 2005

      26 조동일, "개화 구국기의 애국시가, In 국근대문학사론, In 한국근대문학사론" 한길사 135-173, 1982

      27 조선영, "가사문학과 유학 사상" 태학사 2002

      28 朴然鎬, "朝鮮後期 敎訓歌辭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29 노규호, "朝鮮 後期 敎本性 歌辭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8

      30 Elizabeth D, "Harvey. Ventriloquized voice: Feminist Theory and English Renaissance Texts" London: Routledge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