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해 한국독립당 기관지 ≪진광(震光)≫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1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0년 1월 중국 상해에서 결성된 한국독립당(한독당)은 안창호 중심의 기독교 및 흥사단계 인사들과 이동녕, 이시영 등을 중심으로 하는 대종교인들이 연대하여 만든 정당으로 대한민국임시...

      1930년 1월 중국 상해에서 결성된 한국독립당(한독당)은 안창호 중심의 기독교 및 흥사단계 인사들과 이동녕, 이시영 등을 중심으로 하는 대종교인들이 연대하여 만든 정당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지, 옹호하는 입장을 가진 민족주의 정당이다.
      한독당은 〈당의〉와 〈당강〉을 통해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혁명적 수단, 즉 무력으로 일제를 타도하고, 국토와 주권을 광복하여 삼균주의에 입각한 신민주국을 건설하며, 안으로는 국민생활의 평등생활을 보장하고, 밖으로는 민족과 나라간의 수평적 협력관계를 통해 세계평화에 이바지하자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독당은 기관지인 ≪진광≫을 국한문판과 중문판으로 발행하였고, 이를 통해 혁명운동 과정의 자료 수집과 민족운동의 진수를 흡수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과거의 잘못을 성찰하고 독립군을 편성하며, 우방과의 연대를 통해 일제와 싸울 수 있도록 당인을 양성하고, 제국주의와 자본주의를 부정하며, 민족 전체의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이룰 수 있는 나라를 건설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6호의 ≪진광≫은 상당수가 『소앙선생문집』에 수록되어 있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국한문판은 독립전쟁과 관련한 조직문제와 민족문제 등을 수록하였고, 중문판에는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홍보, 선전하는 내용들이 실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진광≫은 조소앙이 제시한 “삼균주의” 이념이 충실히 반영된 것으로, 조소앙은 이를 통해 독립전쟁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한중연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진광≫에 수록된 「한국역년의사활동요목」와 「역년의사월년표」는 1905년부터 1934년까지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독립투사의 항쟁일지를 기록한 것으로, 한독당이 지향하는 독립전쟁의 방식이 무장투쟁에 있음을 밝힌 소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한독당은 기관지 ≪진광≫을 통해 독립전쟁에 대한 다양한 활동과 투쟁 방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중국인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KIP"),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in January 1930, w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solidarity among the Christian and Young Korean Academy figures, centered on An Chang-ho, and figures from Dangunism, centered on ...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KIP"),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in January 1930, w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solidarity among the Christian and Young Korean Academy figures, centered on An Chang-ho, and figures from Dangunism, centered on Yi Dong-nyeong and Yi Siyeong. It operated as a nationalist party that supported and advocat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IP, through party policy and party platforms, adopted revolutionary measures, which forcefully overthrew Japanese rule, to save the country gripped by a crisis, recover the territory and sovereignty, and establish Democratic Republicanism based on the Three Equalitarianism. It aimed to guarantee the equal life of the people at home and devote to world peace by eq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oples and nations abroad.
      The Party published the paper entitled "Jin Gwang" in both Korean-Chinese and Chinese character versions. It intend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 history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and embrace the essence of the nationalistic movement. Along with this, the party sought to come to terms with the failures of the past so as to protest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 organize the independence army, develop the members to fight against Japan through solidarity with the allies, deny imperialism and capitalism, and establish a country in which equality in politics, economics, and education can be achieved for all of the people.
      The majority of Issue No. 6 of Jin Gwang, which has been passed onto today, was placed in The Anthology by Jo So-ang, of which the Korean-Chinese character version described the issu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the people with respect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Chinese version delivered content regarding the promotion of excellence in the Korean version.
      Jin Gwang fully reflected the idea of Three Equalitarianism proposed by Jo So-ang, who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sought strengthene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the Particulars of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atriotic Martyrs and The Chronicle of the Korean Patriotic Martyrs maintained records of the protests by the independence activists who had engaged in armed struggles against Japan from 1905 to 1934. They constitute the historical materials to demonstrate that the armed struggles were what KIP had sought out as the method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KIP suggested various activities and struggle strategies regar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Jin Gwang, which was also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promoting Korean excellence in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상해 한국독립당 결성과 ≪震光≫ 발간
      • 3. ≪震光≫ 내용 분석과 현실 인식
      • 4. ≪震光≫에 수록된 「韓國歷年義士活動要目」과 「歷年義士月曆表」의 의미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상해 한국독립당 결성과 ≪震光≫ 발간
      • 3. ≪震光≫ 내용 분석과 현실 인식
      • 4. ≪震光≫에 수록된 「韓國歷年義士活動要目」과 「歷年義士月曆表」의 의미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흥사단 100년사위원회, "흥사단 100년사" 흥사단 2013

      2 박성순, "항일투쟁기 한국독립당의 『震光』 발간과 한중 연대" 동양학연구원 (61) : 103-122, 2015

      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46" 국사편찬위원회 2001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8 조범래, "한국독립당연구" 선인 2011

      9 노경채, "한국독립당 연구" 신서원 1996

      10 이시종, "한국국민당 기관지 『한민』에 나타난 독립전쟁론 연구" 바른역사학술원 (7) : 115-152, 2020

      1 흥사단 100년사위원회, "흥사단 100년사" 흥사단 2013

      2 박성순, "항일투쟁기 한국독립당의 『震光』 발간과 한중 연대" 동양학연구원 (61) : 103-122, 2015

      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46" 국사편찬위원회 2001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조소앙편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8 조범래, "한국독립당연구" 선인 2011

      9 노경채, "한국독립당 연구" 신서원 1996

      10 이시종, "한국국민당 기관지 『한민』에 나타난 독립전쟁론 연구" 바른역사학술원 (7) : 115-152, 2020

      11 김영범, "한국광복군 간행 ‘광복’의 독립운동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 : 1987

      12 이재령, "중일전쟁시기 『韓國靑年』(1940~1941)의 정세인식과 대응"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2) : 171-205, 2018

      13 한시준, "중국관내 독립운동과 신문잡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2 : 1998

      14 (사)조소앙선생기념사업회, "조소앙선생 문고"

      15 조소앙, "유방집" 한국고전번역원 2019

      16 최혜경, "우천 조완구의 민족의식과 대종교의 구국활동" 경주사학회 8 : 1999

      17 조소앙, "소앙집" 한국고전번역원 2019

      18 삼균학회, "소앙선생문집" 횃불사 1979

      1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8" 국사편찬위원회 2006

      20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7" 국사편찬위원회 2009

      21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4" 국사편찬위원회 2009

      22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3" 국사편찬위원회 2009

      23 오영섭,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의 단군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7) : 179-218, 2006

      24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 1 - 상해시기"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25 황선익,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운동자 예우와 순국선열 기념" 역사와교육학회 (32) : 9-33, 2021

      26 박명진, "대종교독립운동사" 국학연구소 8 : 2003

      27 김용진, "1930년대 한국독립당의 특무활동 -康秉學의 상해사변 일본군초혼제 투탄의거(1934)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4) : 141-179,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