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은 밀라노프로젝트 추진 이후 섬유사업체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제조업체수의 26.9%를 차지하고 있는 주종산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섬유산업은 점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대구·경북지역은 밀라노프로젝트 추진 이후 섬유사업체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제조업체수의 26.9%를 차지하고 있는 주종산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섬유산업은 점점 ...
대구·경북지역은 밀라노프로젝트 추진 이후 섬유사업체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제조업체수의 26.9%를 차지하고 있는 주종산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섬유산업은 점점 사양화되어 그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으며, 후발국가들에게 선도적인 위치를 내어주어야 할 실정에 와 있다.
이는 지역의 섬유산업이 전형적인 중소기업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연구개발 투자의 부족 및 선도기업의 부재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섬유공업 시설이 특정시설에 편중되어 있어서 호경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불경기시에는 특정 시설에의 편중이 지역섬유산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제 중국의 WTO가입과 더불어, 2005년 MFA (다자간섬유협정 Multi-Fiber Arrangement)의 단계적인 폐지가 이루어지면 이로 인한 섬유류 교역자유화에 따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의 섬유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히 연구개발 투자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탈바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포스트 밀라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에 온 역량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남녀고등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 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