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류재봉, "호칭과 지칭예절" 예영커뮤니케이션 14-25, 1997
2 이미숙,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텍스트’ 연구" 한국일본학회 (105) : 109-124, 2015
3 洪珉杓, "한일친족호칭의 대조적 고찰" 한국일본어학회 1 : 277-292, 1999
4 소강춘, "한국, 조선, 중국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특징에 대한국어정보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53) : 181-206, 2004
5 김성철,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75-95, 2005
6 이미숙, "한ㆍ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 대조" 한국일본학회 (102) : 13-33, 2015
7 강병주, "한·일어 호칭어 대조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8 한영옥, "한·일 호칭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2006
9 北島隹代子, "한·일 양어의 호칭에 관한 연구 : 「호칭의 확대사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0 동아출판사 편집부, "프라임 일한사전" 동아출판사 2011
1 류재봉, "호칭과 지칭예절" 예영커뮤니케이션 14-25, 1997
2 이미숙,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텍스트’ 연구" 한국일본학회 (105) : 109-124, 2015
3 洪珉杓, "한일친족호칭의 대조적 고찰" 한국일본어학회 1 : 277-292, 1999
4 소강춘, "한국, 조선, 중국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특징에 대한국어정보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53) : 181-206, 2004
5 김성철,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75-95, 2005
6 이미숙, "한ㆍ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분포 대조" 한국일본학회 (102) : 13-33, 2015
7 강병주, "한·일어 호칭어 대조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8 한영옥, "한·일 호칭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2006
9 北島隹代子, "한·일 양어의 호칭에 관한 연구 : 「호칭의 확대사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0 동아출판사 편집부, "프라임 일한사전" 동아출판사 2011
1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동아출판사 2000
12 권현진, "일본어의 가족호칭 사용 변화에 대한 연구- 일본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대화체 문장을 중심으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62 (62): 1-22, 2007
13 연세대학교 대언어정보개발연구소,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2
14 고예진, "애니 베어드(Annie Luaurie Baird)의 저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이해양상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33) : 9-33, 2012
15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73-214, 1994
16 李庸悳, "韓·日 兩言語의 相對呼稱에 관한 硏究" 한국일본학회 57 : 223-240, 2003
17 林炫情, "日韓兩言語の呼称に関する對照硏究-社會言語學的見地から" 廣島大學院 2002
18 小池生夫他, "応用言語学事典" 研究社 2003
19 新村出編, "広辞苑 第三版" 岩波書店 1987
20 石原千秋, "国語教科書の思想" ちくま新書 7-15, 2014
21 福嶋隆史, "国語が子どもをダメにする" 中公新書ラクレ 2012
22 国立国語研究所, "分類語彙表" 国立国語研究所 1964
23 김복순, "‘딸의 서사’에 나타난 타자의 이중성 23"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3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