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볶이용 가래떡을 제조할 시 떡의 수분,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인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떡의 품질특성을 확인해보았다. 떡의 수분함량은 쌀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11934
2012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561-565(5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떡볶이용 가래떡을 제조할 시 떡의 수분,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인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떡의 품질특성을 확인해보았다. 떡의 수분함량은 쌀가...
떡볶이용 가래떡을 제조할 시 떡의 수분,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인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떡의 품질특성을 확인해보았다. 떡의 수분함량은 쌀가루 대비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기계적인 조직감에서 경도, 씹힘성 및 응집성은 가래떡 제조에 수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탄력성과 부착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수분흡수율과 고형물 용출량을 측정한 결과 쌀가루대비 수분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은 증가하고 고형분 용출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촉촉함은 수분함량이 가장 많이 첨가된 가래떡이 가장 높았고 경도와 탄력성은 쌀가루 대비 수분첨가 비율이 1:0.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쌀가루대비 수분첨가 비율이 1:0.3, 1:0.4 및 1:0.5인 가래떡 군에서 각각 5.75, 6.92 및 3.67로 1:0.4 처리군에서 가장 높았다. 쌀가루 대비 수분첨가 비율이 1:0.4일 때 가래떡의 촉촉함, 경도, 부착성, 탄력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조화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식감이 우수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ies of Topokki Garaedduk by different moisture ratios (rice flour : water=1:0.3, 1:0.4, 1:0.5). Topokki Garaedduk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moisture,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The 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ies of Topokki Garaedduk by different moisture ratios (rice flour : water=1:0.3, 1:0.4, 1:0.5). Topokki Garaedduk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moisture,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The moisture content of Topokki Garaedduk was increased. The hard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of Topokki Garaedduk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moisture ratios, however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Water absorption of Topokki Garaedduk was increased and solid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creasing moisture ratio. A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moistness of Topokki Garaedduk increased, while hard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ratio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opokki Garaedduk at the 1:0.4 ratio of rice flour : water scored highest at 6.92 among the samples (p<0.0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nsory moistness and moistur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R<SUP>2</SUP>=0.91). As a result of this study, Topokki Garaedduk with an additional 40% moisture content (rice flour : water=1:0.4) had the most suitable quality proper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수정, "황기 농축액을 첨가한 절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66-271, 2008
2 신승미, "홍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586-592, 2009
3 김래영, "제분방법 및 수침시간을 달리한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076-1083, 2009
4 이준경, "인삼분말을 첨가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426-434, 2011
5 채경연, "율무가루 첨가량이 절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770-776, 2007
6 강호진, "압출성형 횟수를 달리한 떡볶이 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612-1616, 2011
7 이경희, "수분 첨가량을 달리한 백복령 가루 첨가 절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82-293, 2008
8 김옥선, "수도권 지역의 연력에 따른 전통 떡류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444-452, 2004
9 Yoon SJ,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15 : 589-590, 1999
10 Lee CH,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gelatinized rice flour" 10 : 101-106, 1995
1 황수정, "황기 농축액을 첨가한 절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66-271, 2008
2 신승미, "홍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586-592, 2009
3 김래영, "제분방법 및 수침시간을 달리한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076-1083, 2009
4 이준경, "인삼분말을 첨가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426-434, 2011
5 채경연, "율무가루 첨가량이 절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770-776, 2007
6 강호진, "압출성형 횟수를 달리한 떡볶이 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612-1616, 2011
7 이경희, "수분 첨가량을 달리한 백복령 가루 첨가 절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282-293, 2008
8 김옥선, "수도권 지역의 연력에 따른 전통 떡류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444-452, 2004
9 Yoon SJ,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15 : 589-590, 1999
10 Lee CH,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gelatinized rice flour" 10 : 101-106, 1995
11 Lee JY, "A study on the effect of addition of dietary fibers on quality of julpyun" 10 : 267-276, 1994
1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Food policy" 40-, 2012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장 첨가식이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다이옥신계 TCDD(2,3,7,8-Tetrachlorodibenzo-p-dioxin)에 노출된 흰쥐의 지질대사 및 면역관련 인자에 대하여 키토산 올리고머의 분자량별 섭취효과
마우스 피부암에 대한 장뇌삼과 인삼의 특이적 항암 효능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에탄올 추출물의 면역억제 마우스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
Architecture and KS3 Maths: Finding the Golden Ratio in Durham Cathedral
Teachers TV Teachers TVRatios and Proportions
Teachers TV Teachers TVWhiteboard Numeracy: Ratio & Proportion
Teachers TV Teachers TVResources: Relevance and Quality
Teachers TV Teachers TVWhat is High Quality Dance?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