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도 ‘캠벨얼리’의 웨이크만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력과 생장특성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5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량일자형 수형과 웨이크만식 수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형으로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전정형 품종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웨이크만식 수형과 개량일...

      개량일자형 수형과 웨이크만식 수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형으로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전정형 품종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웨이크만식 수형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시간과 노동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송이다듬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7.3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12.3/10a 시간이 소요되었다. 봉지씌우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0.1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2 시간/10a가 소요되었다. REBA index를 이용하여 송이다듬기와 봉지씌우기의 노동강도를 확인한 결과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3점,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6점을 나타내었다. 한편, 개량일자형 수형에서는 포도나무 신초들의 절간장과 절간굵기의 강한 생장도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량일자형 수형은 우리나라의 포도과원 생력화에 더욱 편리한 수형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ified T trellis (MT) and Wakeman trellis (WT) were widely used Korean vineyard because they had an advantage for spur pruning type cultivar such as Campbell Early. In this experiment, we compared labor time and intensity for bunch management betwee...

      Modified T trellis (MT) and Wakeman trellis (WT) were widely used Korean vineyard because they had an advantage for spur pruning type cultivar such as Campbell Early. In this experiment, we compared labor time and intensity for bunch management between MT and WT trellis systems in ‘Campbell Early’ grapes. As a result, berry thinning was required 17.3 hours (10a) on the WT trellis but was required 12.3 hours (10a) on the MT trellis. In like manner, bagging was required 10.1 hours (10a) on the WT trellis but was required 8.2 hours (10a) on the MT trellis. On the other hand, labor intensity measured on berry thinning and bagging practices using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index, then WT trellis was scored 13.0, but MT trellis was scored 8.6. Meanwhile, MT trellis reduced vigorous growing of internodes length and width on grapevine shoots. Consequently, MT trellis is more convenience trellis for working ergonomically in Korea vineya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Literature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용희, "환상박피처리에 의한 ‘거봉’ 포도의 과실 품질 및 동해 피해" 한국원예학회 29 (29): 81-86, 2011

      2 이용호, "포도재배 농업인의 근골격계 증상 관련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한국산업보건학회 18 (18): 122-132, 2008

      3 김수진, "포도 ‘캠벨얼리’의 비가림 폭에 따른 과실품질 및 갈색무늬병 발생양상"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4 (24): 113-118, 2015

      4 박서준,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엽수 조절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 (20): 211-215, 2011

      5 정헌식, "에틸렌 흡착제가 MA 포장 생강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8 (28): 82-88, 2010

      6 심성보, "수량 및 과방중 조절에 따른 ‘거봉’ 포도의 품질 및 생육 비교" 한국원예학회 25 (25): 389-393, 2007

      7 정성민, "송이다듬기가 포도 ‘Muscat Bailey A’의 품질과 양조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25-630, 2010

      8 정성민, "석회보르도액 살포가 거봉포도의 노균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9 (19): 529-541, 2011

      9 장은하, "국산 및 수입 적포도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203-208, 2008

      10 김수진, "‘캠벨얼리’ 포도의 지경솎기에 따른 작업 절감 효과 및 과실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8 (28): 290-295, 2015

      1 권용희, "환상박피처리에 의한 ‘거봉’ 포도의 과실 품질 및 동해 피해" 한국원예학회 29 (29): 81-86, 2011

      2 이용호, "포도재배 농업인의 근골격계 증상 관련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한국산업보건학회 18 (18): 122-132, 2008

      3 김수진, "포도 ‘캠벨얼리’의 비가림 폭에 따른 과실품질 및 갈색무늬병 발생양상"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4 (24): 113-118, 2015

      4 박서준,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엽수 조절에 따른 과실 품질변화"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 (20): 211-215, 2011

      5 정헌식, "에틸렌 흡착제가 MA 포장 생강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8 (28): 82-88, 2010

      6 심성보, "수량 및 과방중 조절에 따른 ‘거봉’ 포도의 품질 및 생육 비교" 한국원예학회 25 (25): 389-393, 2007

      7 정성민, "송이다듬기가 포도 ‘Muscat Bailey A’의 품질과 양조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25-630, 2010

      8 정성민, "석회보르도액 살포가 거봉포도의 노균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9 (19): 529-541, 2011

      9 장은하, "국산 및 수입 적포도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203-208, 2008

      10 김수진, "‘캠벨얼리’ 포도의 지경솎기에 따른 작업 절감 효과 및 과실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8 (28): 290-295, 2015

      11 김수진, "‘청수’ 포도의 수형에 따른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 한국원예학회 32 (32): 427-433, 2014

      12 Coombe, B. G, "Viticulture vol. 2 Practices" Winetitles 1998

      13 Ahmedullah, M, "Training and Trellising Grapes for Production in Washington"

      14 Yoon, H. K, "The effect of a training methods on berry color and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34 (34): 138-139, 2016

      15 Smart, R, "Sunlight into wine. a handbook for winegrape canopy management" Winetitles 1992

      16 Choi, J. W, "Study on farm work environment and physical load in Korea-focused on farm work model by crops" 10 : 85-100, 1999

      17 Choi, I.M, "Study ofplanting density of grapevine ‘Campbell Early’ for improvementof fruit quality and control of vine vigor" Natl. Inst.Hort. Herbal Sci 1999

      18 Choi, I. M, "Standardization of rain shelter type for the improvement of grape fruit quality-1. Survey rain shelter types under training systems a measuring of temperature variation with differs rain shelter types" 16 (16): 73-, 1998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 Hignett, S, "Rapid entire bodyassessment (REBA)" 31 : 201-205, 2000

      21 Kim, J. H, "New fruitpruning and training" Osung publising 2003

      22 Jackson, D, "Monographs in cool climate viticulture 1, Pruning and training" Dunmore publishing Ltd 2008

      23 Song, G. C, "Grape breedi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in South Korea" 785 : 97-104, 2008

      2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Fruit and vegetable outlook December"

      25 Pena-Neira, A, "Effects of ripening stages and ofplant vegetative vigor on the phenoliccomposition of grapes(Vitis vinifera L. )cv. Cabernet sauvignon in the Maipo vally(Chile)" 43 : 51-57, 2004

      26 Weaver, R. J, "Effect of trellis height and cross arm width and angle on yield of Thompson seedless grapes" 35 : 94-96, 1984

      27 Mullins, M. G, "Biology of the grapev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시설원예‧식물공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외국어명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KCI등재
      2013-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시설원예‧식물공장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5 0.82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