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외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체계 비교분석을 통한 우선순위 토양오염물질 선정을 위한 평가인자 도출 = Assessment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Soil Contamina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30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exposure to soil pollutants. The current SQS in Korea contain only sixteen substances, and it is scheduled to expand the number of substances.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 system is very effective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for the future SQS in terms of their toxicity and exposure potential. In this study, several CRS systems were extensively compared to propose the assessment factors that required for the screening of soil pollutants The CRS system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HEMS-1 (Chemical Hazard Evaluation for Management Strategies), SCRAM (Scoring and Ranking Assessment Model), EURAM (Eu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ARET (Accelerated Reduction/Elimination of Toxics), CRS-Korea, and other systems. The additional assessment factors of CRS suitable for soil pollutants were suggested. We suggest soil adsorption factor as an appropriate factor of CRS system to consider chemical transport from soil to groundwater. Other factors such as soil emission rate and cases of accident of soil pollutants were included. These results were reflected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in Korea, as a part of the project entitled 'Setting the Priority of Soil Contaminants'.
      번역하기

      from the exposure to soil pollutants. The current SQS in Korea contain only sixteen substances, and it is scheduled to expand the number of substances.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 system is very effective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for th...

      from the exposure to soil pollutants. The current SQS in Korea contain only sixteen substances, and it is scheduled to expand the number of substances.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 system is very effective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for the future SQS in terms of their toxicity and exposure potential. In this study, several CRS systems were extensively compared to propose the assessment factors that required for the screening of soil pollutants The CRS system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HEMS-1 (Chemical Hazard Evaluation for Management Strategies), SCRAM (Scoring and Ranking Assessment Model), EURAM (Eu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ARET (Accelerated Reduction/Elimination of Toxics), CRS-Korea, and other systems. The additional assessment factors of CRS suitable for soil pollutants were suggested. We suggest soil adsorption factor as an appropriate factor of CRS system to consider chemical transport from soil to groundwater. Other factors such as soil emission rate and cases of accident of soil pollutants were included. These results were reflected to screen the priority chemicals in Korea, as a part of the project entitled 'Setting the Priority of Soil Contamin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에는 매우 다양한 유해화학물질이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화학물질이 개발되고 다시 환경 중으로 유출되 고 있다. 화학물질의 관리나 규제를 위해서는 우선관리대상 오염물질(Priority Contaminants)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 를 위한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방법론으로는 우선순위선정(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기법이 대표적이다. CRS기법에는 개발목적에 따라 다양한 평가인자들이 적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토양매체에서의 우선순위물질 선정시 필요한 인자를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CRS기법을 비교분석하여 토양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인자를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CRS는 국외에서 개발된 CHEMS-1, EURAM, SCRAM, ARET와 국내에서 개발된 CRS-Korea 및 그 외 기타 관련연구들이다. 기존에 개발된 CRS에 적용된 평가인자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노출과 독성을 고려하여 우선순 위물질을 선정하는데, 주로 화학물질의 잔류성, 생물축적성, 배출량 등을 공통적인 노출인자로 적용하고 있었고 독성 인자로는 인체와 환경독성을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매체의 우선순위물질선정을 위하여 이러한 CRS기법 들이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인자들 이외에 토양매체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토양배출량, 토양오염 사고사건사 례, 선진국의 규제국가수 등을 평가인자로 제안하였으며, 지하수매체와의 연계성을 위하여 지하수이동성 인자를 새 로이 추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CRS기법을 비교분석하여 토양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시 고려되어야할 평가인자를 제안한 연구로 토양에 대한 CRS기법개발을 위한 기반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환경에는 매우 다양한 유해화학물질이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화학물질이 개발되고 다시 환경 중으로 유출되 고 있다. 화학물질의 관리나 규제를 위해서는 우선관리대상 오염물질(Prio...

      환경에는 매우 다양한 유해화학물질이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화학물질이 개발되고 다시 환경 중으로 유출되 고 있다. 화학물질의 관리나 규제를 위해서는 우선관리대상 오염물질(Priority Contaminants)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 를 위한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방법론으로는 우선순위선정(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기법이 대표적이다. CRS기법에는 개발목적에 따라 다양한 평가인자들이 적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토양매체에서의 우선순위물질 선정시 필요한 인자를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CRS기법을 비교분석하여 토양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인자를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CRS는 국외에서 개발된 CHEMS-1, EURAM, SCRAM, ARET와 국내에서 개발된 CRS-Korea 및 그 외 기타 관련연구들이다. 기존에 개발된 CRS에 적용된 평가인자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노출과 독성을 고려하여 우선순 위물질을 선정하는데, 주로 화학물질의 잔류성, 생물축적성, 배출량 등을 공통적인 노출인자로 적용하고 있었고 독성 인자로는 인체와 환경독성을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매체의 우선순위물질선정을 위하여 이러한 CRS기법 들이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인자들 이외에 토양매체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토양배출량, 토양오염 사고사건사 례, 선진국의 규제국가수 등을 평가인자로 제안하였으며, 지하수매체와의 연계성을 위하여 지하수이동성 인자를 새 로이 추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CRS기법을 비교분석하여 토양에서의 유해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시 고려되어야할 평가인자를 제안한 연구로 토양에 대한 CRS기법개발을 위한 기반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C (Environment Cananda), The ARET substance selection process and guidelines 1994

      2 김예신, "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 기법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환경독성학회 18 (18): 183-192, 2003

      3 박화성, "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 기법(CRS-Korea)의 개발과 적용" 한국환경독성학회 20 (20): 109-121, 2005

      4 환경부, "폐수배출허용기준 적용대상물질 확대지정을 위한연구" 2001

      5 환경부, "토양보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05

      6 환경부, "위해우려물질 선정 및 평가 연구" 2003

      7 국립환경과학원, "우선관리대상 토양오염물질 선정 연구" 2007

      8 안윤주, "수계 유출가능성이 있는 유해화학물질 분류화" 한국물환경학회 24 (24): 247-259, 2008

      9 환경부, "물환경종합평가기법 개발 조사연구(III)-인체 및 수생태계 위해성평가체계 구축" 2006

      10 Mitchell, R.R., "SCRAM: a scoring and ranking system for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substances for the north American Great lakes-resulting chemical scores and rankings" 8 : 537-557, 2002

      1 EC (Environment Cananda), The ARET substance selection process and guidelines 1994

      2 김예신, "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 기법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환경독성학회 18 (18): 183-192, 2003

      3 박화성, "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 기법(CRS-Korea)의 개발과 적용" 한국환경독성학회 20 (20): 109-121, 2005

      4 환경부, "폐수배출허용기준 적용대상물질 확대지정을 위한연구" 2001

      5 환경부, "토양보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05

      6 환경부, "위해우려물질 선정 및 평가 연구" 2003

      7 국립환경과학원, "우선관리대상 토양오염물질 선정 연구" 2007

      8 안윤주, "수계 유출가능성이 있는 유해화학물질 분류화" 한국물환경학회 24 (24): 247-259, 2008

      9 환경부, "물환경종합평가기법 개발 조사연구(III)-인체 및 수생태계 위해성평가체계 구축" 2006

      10 Mitchell, R.R., "SCRAM: a scoring and ranking system for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substances for the north American Great lakes-resulting chemical scores and rankings" 8 : 537-557, 2002

      11 Snyder, E.M., "SCRAM: A scoring and ranking system for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substances for the North American Great lake. Part . Bioaccumulation potential and persistence" 7 : 116-121, 2000

      12 Hanset, B.G., "Priority setting for existing chemicals: Eu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18 : 772-779, 1999

      13 Ali, B, "Multistakeholder collaboration outcomes in environmental voluntary initiatives: The case of A.R.E.T. initative" 2001

      14 Snyder, E.M., "Mitchell, R.R., and Bush, D.M., 2000a, SCRAM: A scoring and ranking system for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substances for the North American Great lake. Part . Structure of the scoring and ranking system" 7 : 51-61, 2000

      15 Davis, G.A., "Comparative evaluation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methodologies"

      16 US EPA, "Chemical hazard evaluation for management strategies: A method for ranking and scoring chemicals by potential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s"

      17 Snyder, E.M., "Acute and subchronic or chronic toxicity. Environment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7 : 176-184,

      18 Swanson, M.B., "A screening method for ranking and scoring chemicals by potential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 16 : 372-383,

      19 최승필, "2005, 개선된 화학물질 우선순위 선정 기법 (CRS-Korea II)과 그 활용을 통한 지역별 유독물 우선순위의 도출" 20 (20): 311-325,

      20 ATSDR, "2005 CERCLA Priority List of Hazardous Substances That Will Be The Subject of Toxicological Profiles and Support Document, Division of Toxicology" Washington DC., USA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