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대일 수출에 관한 연구 -의류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Japanese Import Market and Korea’s Exports to Japan -Focusing on the Cases Concerning Apparel Industry Cre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6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finding suggestions for expansion of export that is surfacing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Korea’s economic growth by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mport market and Korea’s exports to Japan.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import market, there is an extensive reliance on particular countries for certain items. There is also a consist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rts from the Asian region.
      Second, the analyses of Korea’s exports to Japan as well as overall exports to other areas of the world and the imported items in Japan show that Korea should strategically place more interest in the items like clothing, semiconductors, communication devices,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and automobile parts in order to expand export to Japan.
      Third, the analysis of the clothing industr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Until 2014 the largest export market for the Korean apparel industry had been Japan, however, in 2015 Japan ranked third after Vietnam and China. Noteworthy is the fact that sports wear is receiving positive consumer response with its good price performance and seeing increase in its export to Japan. As there is a growing development in the specialized apparel retail businesses that own a number of stores nationwide, those seeking to explore the Japanese market need to find ways of working together with these busines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finding suggestions for expansion of export that is surfacing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Korea’s economic growth by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mport market and Korea’s exports to Japan. A 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finding suggestions for expansion of export that is surfacing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Korea’s economic growth by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mport market and Korea’s exports to Japan.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import market, there is an extensive reliance on particular countries for certain items. There is also a consist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rts from the Asian region.
      Second, the analyses of Korea’s exports to Japan as well as overall exports to other areas of the world and the imported items in Japan show that Korea should strategically place more interest in the items like clothing, semiconductors, communication devices,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and automobile parts in order to expand export to Japan.
      Third, the analysis of the clothing industr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Until 2014 the largest export market for the Korean apparel industry had been Japan, however, in 2015 Japan ranked third after Vietnam and China. Noteworthy is the fact that sports wear is receiving positive consumer response with its good price performance and seeing increase in its export to Japan. As there is a growing development in the specialized apparel retail businesses that own a number of stores nationwide, those seeking to explore the Japanese market need to find ways of working together with these busine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수입구조와 한국의 대일 수출 특성을 규명하여 한국 경제의 성장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수출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수입구조 특성과 관련해서는 품목별로 특정 지역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더불어 아시아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대일 수출 및 대세계 수출과 일본의 수입품목을 분석한 결과, 의류, 반도체, 통신기기, 의약품, 자동차부품 등의 품목이 대일 수출 확대를 위해 한국이 관심을 가지고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품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류 분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14년까지 한국산 의류의 최대 수출 지역은 일본이었으나 2015년에 베트남과 중국에 이어 3위로 하락했다. 다만 최근 가격 대비 성능에 대한 일본 소비자의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한국산 운동복의 대일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국적으로 많은 점포를 운영하면서 협상력을 키우고 있는 전문 의류소매업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어, 일본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이들 업체와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수입구조와 한국의 대일 수출 특성을 규명하여 한국 경제의 성장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수출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수입구조와 한국의 대일 수출 특성을 규명하여 한국 경제의 성장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수출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수입구조 특성과 관련해서는 품목별로 특정 지역에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더불어 아시아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대일 수출 및 대세계 수출과 일본의 수입품목을 분석한 결과, 의류, 반도체, 통신기기, 의약품, 자동차부품 등의 품목이 대일 수출 확대를 위해 한국이 관심을 가지고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품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류 분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14년까지 한국산 의류의 최대 수출 지역은 일본이었으나 2015년에 베트남과 중국에 이어 3위로 하락했다. 다만 최근 가격 대비 성능에 대한 일본 소비자의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한국산 운동복의 대일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국적으로 많은 점포를 운영하면서 협상력을 키우고 있는 전문 의류소매업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어, 일본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이들 업체와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기웅, "한일관계와 역사갈등의 구성주의적 이해"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171-191, 2014

      2 오태헌, "한국의 대일수출 증가요인에 관한 연구 -자동차부품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경상학회 54 : 57-79, 2014

      3 국중호, "한국의 대일 수출업종분석과 수출확대방안"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2012

      4 임성훈, "표준 무역학원론" 학현사 2015

      5 최남석, "최근 한일 양국 간 무역투자 패턴의 변화와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2015

      6 관세청, "최근 5년간 의류 수출 동향"

      7 홍하은, "집단적 기억의 정치적 관리-한일 갈등 이슈를 둘러싼 미디어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7) : 235-276, 2014

      8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9 이우광, "대일 무역역조 개선 지속화 방안"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2012

      10 日本繊維産業連盟, "輸入繊維製品の品質ガイドライン"

      1 양기웅, "한일관계와 역사갈등의 구성주의적 이해"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171-191, 2014

      2 오태헌, "한국의 대일수출 증가요인에 관한 연구 -자동차부품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경상학회 54 : 57-79, 2014

      3 국중호, "한국의 대일 수출업종분석과 수출확대방안"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2012

      4 임성훈, "표준 무역학원론" 학현사 2015

      5 최남석, "최근 한일 양국 간 무역투자 패턴의 변화와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2015

      6 관세청, "최근 5년간 의류 수출 동향"

      7 홍하은, "집단적 기억의 정치적 관리-한일 갈등 이슈를 둘러싼 미디어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7) : 235-276, 2014

      8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9 이우광, "대일 무역역조 개선 지속화 방안"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2012

      10 日本繊維産業連盟, "輸入繊維製品の品質ガイドライン"

      11 財務省, "貿易統計"

      12 東洋経済新報社, "業界地図2016年版"

      13 "日本貿易会"

      14 矢野経済研究所, "国内アパレル市場に関する調査結果2015" 2016

      15 経済産業省製造産業局, "アパレル・サプライチェン研究会報告書"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3 0.7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