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일투쟁기 의열단 이춘암(李春岩)의 「정보학 개론」 연구 = A Study on Yi Chun-Am's 'Introduction of Intelligence Studies' as the First Korean Intelligence Textbook of 'Chosun Revolutionary Military Political Academy' of Uiyeoldan in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extbook 'Introduction of Intelligence Studies'. That was published in the 'Chosun Revolutionary Military Political Academ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troduction to Intelligence Studies' is meaningful as the first textbook in modern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science. That contained the main contents of the intelligence theory as the need and meaning of the national information and the concepts and ways of intelligence, covert action, and counterintelligence. This could redefine the origin and legitimacy of the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way of training for anti-Japanese struggle at the time.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author of the textbook, Lee Chun-am's real name, Lee Beom-seok. We confirm that Lee's real name is Lee Bum-seok and that he is a person of the same name as Lee Beom-seok, nickname Chul-gi.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extbook 'Introduction of Intelligence Studies'. That was published in the 'Chosun Revolutionary Military Political Academ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troduction to I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highligh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extbook 'Introduction of Intelligence Studies'. That was published in the 'Chosun Revolutionary Military Political Academ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troduction to Intelligence Studies' is meaningful as the first textbook in modern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science. That contained the main contents of the intelligence theory as the need and meaning of the national information and the concepts and ways of intelligence, covert action, and counterintelligence. This could redefine the origin and legitimacy of the Korea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way of training for anti-Japanese struggle at the time. The othe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author of the textbook, Lee Chun-am's real name, Lee Beom-seok. We confirm that Lee's real name is Lee Bum-seok and that he is a person of the same name as Lee Beom-seok, nickname Chul-g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교재 ‘정보학 개론’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저자 이춘암의 본명 이범석을 확인하는 것이다. ‘정보학 개론’은 정보의 수요와 의미 그리고 첩보, 공작, 방첩의 개념을 기준으로 평가할 때, 현대 한국 국가정보학 최초의 이론서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춘암의 민족혁명당 ‘특무공작 요항’은 ‘정보학 개론’의 특무공작 내용을 보다 풍부하게 해준다. 그리고 이춘암의 본명은 이범석이며, 철기 이범석과 동명이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 국가정보 활동 및 기구의 기원과 정통성을 재정립하고, 당시 항일투쟁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교재 ‘정보학 개론’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저자 이춘암의 본명 이범석을 확인하는 것이다. ‘정보학 개론’은 정보의 수...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교재 ‘정보학 개론’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저자 이춘암의 본명 이범석을 확인하는 것이다. ‘정보학 개론’은 정보의 수요와 의미 그리고 첩보, 공작, 방첩의 개념을 기준으로 평가할 때, 현대 한국 국가정보학 최초의 이론서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춘암의 민족혁명당 ‘특무공작 요항’은 ‘정보학 개론’의 특무공작 내용을 보다 풍부하게 해준다. 그리고 이춘암의 본명은 이범석이며, 철기 이범석과 동명이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 국가정보 활동 및 기구의 기원과 정통성을 재정립하고, 당시 항일투쟁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훤장경보국장완((萱場警保局長宛) 보고적록(報告摘錄) 1936년 8월 15일부 재상해(在上海) 북촌내무서기관(北村內務書記官) 발신"

      2 전웅, "현대 국가정보학" 박영사 2015

      3 김종범, "해방전후의 조선진상 제2집 : 독립운동과 정당급 인물" 돌베개 1984

      4 브루스 커밍스,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2001

      5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6 대한민국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국방부 1968

      7 이종수, "한국적 국가정보이론의 수립과 창안 연구사료집 1권 : 일제시대항일정보활동" 법현 2019

      8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 : 중국편" 국회도서관 1976

      9 강만길,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10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전봉남 경찰 신문조서"

      1 "훤장경보국장완((萱場警保局長宛) 보고적록(報告摘錄) 1936년 8월 15일부 재상해(在上海) 북촌내무서기관(北村內務書記官) 발신"

      2 전웅, "현대 국가정보학" 박영사 2015

      3 김종범, "해방전후의 조선진상 제2집 : 독립운동과 정당급 인물" 돌베개 1984

      4 브루스 커밍스,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2001

      5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6 대한민국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국방부 1968

      7 이종수, "한국적 국가정보이론의 수립과 창안 연구사료집 1권 : 일제시대항일정보활동" 법현 2019

      8 국회도서관, "한국민족운동사료 : 중국편" 국회도서관 1976

      9 강만길,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10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전봉남 경찰 신문조서"

      11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전봉남 검사 신문조서(2회)"

      12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전봉남 검사 신문조서"

      13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이초생 경찰 의견서"

      14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이초생 검사 신문조서(2회)"

      15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신병환 경찰 신문조서"

      16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신병환 검사 신문조서(2회)"

      17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서응호 경찰 의견서"

      18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서응호 경찰 신문조서"

      19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서응호 검사 신문조서"

      20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백찬기 경찰 신문조서(4회)"

      21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김공신 경찰 의견서"

      22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피의자 김공신 경찰 신문조서(3회)"

      23 국민방첩연구소, "체카와 게페우" 갑자문화사 1984

      24 강만길, "증보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2003

      25 한상도, "중국혁명 속의 한국독립운동" 집문당 2006

      26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졸업생 등 검거에 관한 건, 경찰정보철拱, 지검비 제520호"

      27 "조선혁명간부학교(군관학교) 졸업자 송국에 관한 건, 강고 제2048호, 경찰정보 부본"

      28 "조선민족혁명당원 이초생 일본 경찰 신문조서"

      29 김정현, "제1・2차 國共合作期의 한・중 연대활동 -黃埔軍官學校 인맥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46) : 121-158, 2012

      30 장화, "일제 침략기 한국인의 중국 군관학교 교육과 그 의의" 인문학연구원 54 : 231-256, 2012

      31 "이주석(이범석 동생)외 1명, 해주지법에서 징역 2년형 구형"

      32 "이주석 형제에게 각 2년형을 언도, 군관학교 교관 이범석 친동생으로 입학 수속 하다가 피착"

      33 안이돌, "의열단·민족혁명당의 조직 개요"

      34 이범석, "우둥불" 삼육출판사 1994

      35 길화식, "북한 공안기관의 사회통제 기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36 "민족혁명당원 이초생의 송국에 관한 건"

      37 유시준, "대한민국임시정부법령집" 국가보훈처 1999

      38 "남경군관 관계 2명에 2년역, 동지 규합하다가 잡힌 사건, 해주법원에서 이주석, 이현석 2명"

      39 "낙양군관학교 졸업생 체포에 관한 건"

      40 장민영, "김학철 선생 탄신 100주년 특별 련재 - 항전별곡17" 인민넷

      41 한상도, "김원봉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운영(1932~35)과 그 입교생" 15 (15): 4158-4194, 1989

      42 "김공신에 대한 치안유지법 위반 피의사건 증인 이원록 경찰 신문조서"

      43 송상도, "기려수필(騎驢隨筆)" 국사편찬위원회 1955

      44 최평길, "국가정보학 : 정보력은 국가경재력" 박영사 2012

      45 한국국가정보학회, "국가정보학" 박영사 2013

      46 정순태, "국가정보론" 삼보출판사 1971

      47 金正明, "朝鮮獨立運動2 : 民族主義運動編" 原書房 1967

      48 "在上海 일본총영사관 경찰부 第2課調제5호 요수배(要手配) 불령선인(不逞鮮人) 명부(名簿)"

      49 배숙희, "中國 雲南陸軍講武堂與韓籍學員-以『同學錄』的分析爲中心" 중국사학회 (56) : 237-257, 2008

      50 Hogen Koo, "State and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51 Lloyd Eastman, "Seeds of Destruction: North China in War and Revolution, 1937-1949"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4

      52 National Records Center, "RG94, USAMGIK special Reports, Biographic Reports on the Cabinet of the Republic"

      53 Henderson, Gregory,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54 Lloyd Eastman, "Fascism in Kuomingtang China" 49 : 1-31, 1972

      55 김영범, "1930년대 의열단의 항일청년투사 양성에 관한 연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 :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99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