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FBI의 방첩정책 연구 = A Study on Counterintelligence Policies of the U.S. FB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unterintelligence(CI) policies of the U.S. FB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CI activity that protects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and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of CI against foreign countries through analysis of the U.S. CI policies.
      U.S. CI activities have historically been used as a national means to eliminate or minimize national security threats of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100 years, the U.S. CI policies have been pursuing the legitimacy and efficiency of CI while reasonably meeting the two values of national security and civil liberty.
      The CI policies of the U.S. changed dramatically around the death of E. Hoover, the FBI director, and underwent a reform period again after 9/11.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is study divided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I policies of the U.S. into the formative period (Hoover era), the recession period (Post Hover), and the reform period (after 9/11).
      Today, foreign intelligence entities(FIEs) disguised as various identities threaten national security and undermine national interests by using advanced technology and cyber equipment. Sou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fails to punish FIEs for espionage or intelligence activities due to legislative deficiency.
      Despite being late, it is time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so-called ‘Basic Law on CI’, which is necessary to eliminate or minimize the security threat of adversaries, and to establish the ‘Crime of foreign espionage’. In the conclusion,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I tasks in South Korea will be presented. "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ounterintelligence(CI) policies of the U.S. FB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CI activity that protects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and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of CI against 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unterintelligence(CI) policies of the U.S. FB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CI activity that protects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and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of CI against foreign countries through analysis of the U.S. CI policies.
      U.S. CI activities have historically been used as a national means to eliminate or minimize national security threats of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100 years, the U.S. CI policies have been pursuing the legitimacy and efficiency of CI while reasonably meeting the two values of national security and civil liberty.
      The CI policies of the U.S. changed dramatically around the death of E. Hoover, the FBI director, and underwent a reform period again after 9/11.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is study divided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I policies of the U.S. into the formative period (Hoover era), the recession period (Post Hover), and the reform period (after 9/11).
      Today, foreign intelligence entities(FIEs) disguised as various identities threaten national security and undermine national interests by using advanced technology and cyber equipment. Sou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fails to punish FIEs for espionage or intelligence activities due to legislative deficiency.
      Despite being late, it is time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so-called ‘Basic Law on CI’, which is necessary to eliminate or minimize the security threat of adversaries, and to establish the ‘Crime of foreign espionage’. In the conclusion,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I tasks in South Korea will be presented.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 FBI의 방첩정책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안보와 국익을 수호하는 방첩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미국 방첩정책의 분석을 통해 외국방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미국의 방첩활동은 역사적으로 미국의 안보위협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 국가적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미국의 방첩정책은 지난 100년 동안 국가안보와 시민자유라는 양대 가치를 합리적으로 충족시키면서 방첩의 정당성과 효율성을 추구해 왔다.
      미국은 FBI국장이었던 후버의 사망을 전후하여 방첩정책이 크게 변화했다. 그리고 9/11테러 이후 재차 개혁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시대적 특징을 고려하여 방첩정책의 발전과정을 방첩정책 형성기(후버시대), 방첩정책 침체기(포스트후버), 방첩정책 개혁기(9/11테러이후)로 나누어 분석했다.
      오늘날 다양한 신분으로 위장한 외국정보주체(FIEs)는 첨단기술 및 사이버장비를 이용하여 안보를 위협하고 국익을 저해하고 있다. 한국은 입법 불비로 외국정보주체의 스파이활동이나 정보활동을 처벌하지 못하는 유일한 국가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적대세력의 안보위협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가칭 ‘방첩관련 기본법’제정을 논의하고, ‘외국스파이의 죄’를 신설할 시점이다. 결론엣는 우리나라 방첩업무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이 제시될 것이다. "
      번역하기

      "이 연구는 미국 FBI의 방첩정책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안보와 국익을 수호하는 방첩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미국 방첩정책의 분석을 통해 외국방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

      "이 연구는 미국 FBI의 방첩정책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안보와 국익을 수호하는 방첩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미국 방첩정책의 분석을 통해 외국방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미국의 방첩활동은 역사적으로 미국의 안보위협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 국가적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미국의 방첩정책은 지난 100년 동안 국가안보와 시민자유라는 양대 가치를 합리적으로 충족시키면서 방첩의 정당성과 효율성을 추구해 왔다.
      미국은 FBI국장이었던 후버의 사망을 전후하여 방첩정책이 크게 변화했다. 그리고 9/11테러 이후 재차 개혁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시대적 특징을 고려하여 방첩정책의 발전과정을 방첩정책 형성기(후버시대), 방첩정책 침체기(포스트후버), 방첩정책 개혁기(9/11테러이후)로 나누어 분석했다.
      오늘날 다양한 신분으로 위장한 외국정보주체(FIEs)는 첨단기술 및 사이버장비를 이용하여 안보를 위협하고 국익을 저해하고 있다. 한국은 입법 불비로 외국정보주체의 스파이활동이나 정보활동을 처벌하지 못하는 유일한 국가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적대세력의 안보위협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가칭 ‘방첩관련 기본법’제정을 논의하고, ‘외국스파이의 죄’를 신설할 시점이다. 결론엣는 우리나라 방첩업무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이 제시될 것이다.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웅, "현대국가정보학" 박영사 2016

      2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7

      3 백승기, "정책학원론" 대영문화사 2010

      4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6

      5 유훈, "정책학원론" 법문사 2002

      6 류지성, "정책학" 대영문화사 2007

      7 송경석, "정보기관의 방첩정책과 방첩실패에 관한 연구: 미국 FBI의 방첩활동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8

      8 고정애, "스파이 파문 뿔난 메르켈, 미국 달라지길 희망한다"

      9 서동구, "방첩의 세계" 박영사 2015

      10 전웅, "방첩개념의 재조명: 목적, 범위, 활동유형을 중심으로" 2 (2): 2009

      1 전웅, "현대국가정보학" 박영사 2016

      2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7

      3 백승기, "정책학원론" 대영문화사 2010

      4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6

      5 유훈, "정책학원론" 법문사 2002

      6 류지성, "정책학" 대영문화사 2007

      7 송경석, "정보기관의 방첩정책과 방첩실패에 관한 연구: 미국 FBI의 방첩활동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8

      8 고정애, "스파이 파문 뿔난 메르켈, 미국 달라지길 희망한다"

      9 서동구, "방첩의 세계" 박영사 2015

      10 전웅, "방첩개념의 재조명: 목적, 범위, 활동유형을 중심으로" 2 (2): 2009

      11 윤민우, "미국 수사기관과 정보기관의 법집행 및 정보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법학연구소 8 (8): 65-106, 2015

      12 백승민, "미국 FBI 제도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2005

      13 김계동, "국가정보 : 비밀에서 정책까지" 명인문화사 2008

      14 전웅, "국가안보와 인간안보"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25-49, 2004

      15 법제처, "국가안보에 관한 외국 입법례" 법제처 1989

      16 FBI Director Webster, "testimony before the Denton Subcommittee of the Senate Judiciary Committee in June of 1982"

      17 "https://www.hsdl.org/?view&did=452462"

      18 "https://www.dni.gov/files/documents/ICD/ICD750.pdf"

      19 "https://www.dni.gov/files/NCSC/documents/Regulations/National_CI_Strategy_2016.pdf"

      20 "https://www.dni.gov/files/NCSC/documents/Regulations/CI_Enhancement_Act_of_2002.pdf"

      21 "https://legcounsel.house.gov/Comps/National%20Security %20Act%20Of%201947.pdf"

      22 "https://hsdl.org/?view&did=466149"

      23 "https://fas.org/irp/ops/ci/cistrategy2007.pdf"

      24 "https://fas.org/irp/offdocs/pdd24.htm"

      25 "https://fas.org/irp/offdocs/pdd/pdd-75.htm"

      26 "https://fas.org/irp/offdocs/eo/eo-13470.htm"

      27 "https://en.wikipedia.org/wiki/USA_Freedom_Act"

      28 "https://en.wikipedia.org/wiki/Patriot_Act"

      29 "https://en.wikipedia.org/wiki/Foreign_Agents_Registration_Act"

      30 "https://en.wikipedia.org/wiki/Espionage_Act_of_1917"

      31 "https://en.wikipedia.org/wiki/Economic_Espionage_Act_of_1996"

      32 "http://www.pnsr.org/wp-content/uploads/2007/12/michelle.pdf"

      33 "http://www.fas.org/irp/offdocs/pdd12.htm"

      34 "http://blog.naver.com/puxlius/140183171988"

      35 "United States v.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Keith) , 407 U.S. 297"

      36 Ameringer, D. Charles, "U.S. Foreign Intelligence: The Secret Side of American History" Lexington Books 1990

      37 Hedley, John, "Twenty Years of Officers in Residence"

      38 Lotrionte, Catherine, "The Missing Piece: Why Intelligence Reform Failed After 9/11" Georgetown University 2008

      39 Olson, James, "Studies of Intelligence" CIA CSI 2001

      40 Freeh, Louis, "On War and Terrorism testimony before the 9/11 Commission tenth public hearing"

      41 "NCIS"

      42 Godson, Roy, "Intelligence Requirements for the 1980s: Domestic Intelligence" Lexington Books 1986

      43 "Intelligence Reform and Terrorism Prevention Act(2004), Public Law 108-458"

      44 Hulnick, Arthur, "Home Time : A New Paradigm for Domestic Intelligence" Taylor & Francis 2009

      45 DOJ, "Fact Sheet, Attorney General’s Guidelines for FBI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s and Foreign Intelligence Collection"

      46 DOJ, "Fact Sheet, Attorney General‘s Guidelines: Detecting and Preventing Terrorist Attacks"

      47 정연희, "FBI 시크릿" Human & Books 2008

      48 Morgan, Richard, "Domestic Intelligence: Monitoring Dissent in America"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0

      49 Godson, Roy, "Dirty Tricks or Trump Cards: U.S. Covert Action & CI" Transaction Publishers 2008

      50 UNODC, "Digest of Terrorist Cases"

      51 "Attorney General‘s Guidelines on General Crimes, Racketeering and Terrorism Investig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99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