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8년 국가수준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 An Analysis of the 2018 National Assessment of the Korean Writing Ability of Adul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인구 분포 통계를 활용한 2단계 층화 표본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였다.
      영역별 평균 원 점수는 쓰기 영역이 121.61(250점 만점)을 보였다. 조사 대상 국민의 평균적인 쓰기 능력은 2수준에 해당하며, 특히 2수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9.6%여서 전반적인 쓰기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는 2013년과 2018년의 조사도구 간 동등화를 바탕으로 연도별 국어능력의 결과를 상호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동백분위 동등화(equipercentile equating)의 방식을 통해 2013년과 2018년 국어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18년도의 쓰기 영역 평균 점수는 2013년도 쓰기 영역 평균 점수 120.2와 비교하였을 때 약 1점 정도 상승하였다. 전체적인 평균은 2013년과 유사한 수준이나 3, 4수준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반면 1수준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 국민의 국어능력 중 쓰기 능력은 상하위 수준 집단 간 편차가 다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 지역, 직업군별로는 육체노동, 학력군별로는 고졸 미만에 우선적으로 정책적·교육적 대처가 요구되나, 그밖의 모든 집단에서도 2수준 이하의 비율이 60% 이상이므로 특정 집단이 아닌 대국민 쓰기 교육과 구체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쓰기 학습 기회 및 쓰기 능력 수준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둘째, 쓰기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통해 생애에 걸쳐 쓰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려. 셋째, 실제성이 확보된 조사 도구 및 최선의 수행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사 방법의 마련. 넷째, 피험자 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토대 확보 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2018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ults, focusing on writing 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The results showed tha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2018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ults, focusing on writing 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writing score was 121.61 in 2018, about one point higher than in 2013. This performance is generally very poor.
      In the 2018 survey, the cut-off score of the 2013 study was applied, but the score of the division was newly formulated through the equalization of the survey tools, and each grade was classified into levels 4, 3, 2, and 1. In addition, except for the variables newly introduced in 2018,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variables set in 2013, namely sex, age, regional scale, education, and occupation. In 2018, the ratio of level 1 increased(+9.4%p), so the order of ratio of levels 2, 1, 3, and 4, compared to the ratio of levels 2, 3, 1, and 4 in writing in 2013. The overall average was similar to that of 2013 but the ratios of levels 3, 4 increased slightly, and 1 increased greatly,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light variation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Korean adults.
      Whe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variable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writing skills,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30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In terms of region size,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 urban area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rural areas. The ranking by occupation showed that the scores of mental worker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manual workers. Then, the ranking by education showed that university graduates ha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men and those of women.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o improve writing ability among the general public,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riting should be en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and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writing skills throughout their lifetime. Third,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subject variables should be closely analyzed to inform policy-ma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인의 역량, 학습과 일: 국제성인역량조사(PIAAAC)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2 김성숙, "학문 목적 기초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라연, "총체적 쓰기 평가와 분석적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이중언어학회 (35) : 103-126, 2007

      4 Bawarshi, A. S., "장르 : 역사·이론·연구·교육" 경진출판 2015

      5 박영목, "작문 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99 : 1-29, 1999

      6 박영민,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상관 및 성별·학년별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8) : 175-202, 2009

      7 서수현,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8 권태현, "쓰기 채점 방식에 따른 국어교사의 채점 신뢰도 비교 연구 -고등학생의 비평문 채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28 (28): 113-134, 2012

      9 이수진, "쓰기 직접 평가를 위한 텍스트 분석 평가의 실행 방안" 한국작문학회 (13) : 142-166, 2011

      10 가은아, "쓰기 발달의 양상과 특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인의 역량, 학습과 일: 국제성인역량조사(PIAAAC)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2 김성숙, "학문 목적 기초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라연, "총체적 쓰기 평가와 분석적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이중언어학회 (35) : 103-126, 2007

      4 Bawarshi, A. S., "장르 : 역사·이론·연구·교육" 경진출판 2015

      5 박영목, "작문 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99 : 1-29, 1999

      6 박영민,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상관 및 성별·학년별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8) : 175-202, 2009

      7 서수현,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8 권태현, "쓰기 채점 방식에 따른 국어교사의 채점 신뢰도 비교 연구 -고등학생의 비평문 채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28 (28): 113-134, 2012

      9 이수진, "쓰기 직접 평가를 위한 텍스트 분석 평가의 실행 방안" 한국작문학회 (13) : 142-166, 2011

      10 가은아, "쓰기 발달의 양상과 특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11 金正子, "쓰기 評價 方法 연구 : 評價基準의 設定과 그 適用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12 지은림, "사회과 보고서 수행평가를 위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의 비교" 12 (12): 11-24, 1999

      13 성태제, "문항 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998

      14 장성민,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작문 영역 평가의 타당성 검토 - 선다형 점수와 수행형 점수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29) : 163-209, 2016

      15 정희모, "대학생 글에 대한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의 결과 비교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9) : 251-273, 2009

      16 노창수, "글짓기 영역의 기능평가론" 61 : 37-64, 1987

      17 남민우,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의 국제 비교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9) : 1-36, 2011

      18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2017

      19 박영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쓰기’ 평가 이론의 정립" 한국어교육학회 (134) : 87-112, 2011

      20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21 교육부, "간추린 교육통계" 교육부 2018

      22 Hout, B., "The Literature of direct writing assessment: Major concerns and prevailing trends" 60 (60): 237-263, 1990

      23 Yancey, K. B., "Looking back as we look forward : Historicizing writing assessment" 50 (50): 483-503, 1999

      24 Purves, A. C., "In search of an internationally valid scheme for scoring compositions" 35 (35): 426-438, 1984

      25 Bereiter, C., "Cognitive Process in Writing" LEA 1980

      26 Weigle, S. C., "Assessing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7 Wolcott, W., "An Overview of Writing Assessment" NCTE 1998

      28 민병곤,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8

      29 주용완, "2017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요약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30 김종철, "2013년 국민의 국어 능력 평가" 국립국어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