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스토킹의 위험요소와 현행법 개정의 필요성 = Risk Factors of Online-stalking and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6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은 온・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생활이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일상에서 함께 공존한다. 오프라인에서 대화와 만남, 일상에서의 쇼핑과 금융거래, 업무처리 등의 사회적 관계망이 온라인 공간에서도 동일하고 폭넓게 확보・적용되고 있다. 온라인에서의 활동은 간편성과 편리성, 신속성의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현대인들에게 매우 익숙하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사회적 활동은 긍정적인 면에서 실용적 경험을 하고 있는 반면, 다양한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유출될 위험성, 이를 악용한 각종 일탈행위가 발생하고 이러한 일탈 행위는 범죄로 진화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스토킹과 관련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중심으로 위험요소와 현행법 개정이 필요한 행위유형에 대하여 제시한다. 현실에서 발생하는 스토킹은 행위의 행태가 객관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스토킹은 이와 다르게 평가 대상의 범위가 차이가 있다. 자칫 단순한 불편행위로 취급될 수도 있는 행태가 피해 당사자에게는 공포와 불안・트라우마를 겪게 하고 각종 온라인의 활동제약에 따른 불합리한 상황에 처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스토킹의 피해자 관점, 범죄적 관점에서의 위험요소를 살펴보고 온라인 스토킹의 성립요소를 설정하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현행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은 온・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생활이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일상에서 함께 공존한다. 오프라인에서 대화와 만남, 일상에서의 쇼핑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은 온・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생활이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일상에서 함께 공존한다. 오프라인에서 대화와 만남, 일상에서의 쇼핑과 금융거래, 업무처리 등의 사회적 관계망이 온라인 공간에서도 동일하고 폭넓게 확보・적용되고 있다. 온라인에서의 활동은 간편성과 편리성, 신속성의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현대인들에게 매우 익숙하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사회적 활동은 긍정적인 면에서 실용적 경험을 하고 있는 반면, 다양한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유출될 위험성, 이를 악용한 각종 일탈행위가 발생하고 이러한 일탈 행위는 범죄로 진화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스토킹과 관련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중심으로 위험요소와 현행법 개정이 필요한 행위유형에 대하여 제시한다. 현실에서 발생하는 스토킹은 행위의 행태가 객관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스토킹은 이와 다르게 평가 대상의 범위가 차이가 있다. 자칫 단순한 불편행위로 취급될 수도 있는 행태가 피해 당사자에게는 공포와 불안・트라우마를 겪게 하고 각종 온라인의 활동제약에 따른 불합리한 상황에 처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스토킹의 피해자 관점, 범죄적 관점에서의 위험요소를 살펴보고 온라인 스토킹의 성립요소를 설정하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현행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정, "「스토킹처벌법」상 스토킹 행위 유형에 ‘온라인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를 포함시키는 내용의 입법개선 필요성 연구" 법무부 28-55, 2021

      2 김은주, "온라인 스토킹의 실태 및 대응방안" 국회여성가족위원회 135-138, 2021

      3 송민진 ; 박현정, "스토킹의 현주소와 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9 (9): 141-170, 2021

      4 곽영길 ; 임유석 ; 송상욱, "스토킹의 특징에 관한 연구 -미국·일본·한국의 스토킹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7 (7): 47-76, 2011

      5 정현미, "스토킹범죄 규제를 위한 입법방향" 젠더법학연구소 12 (12): 235-264, 2020

      6 이성기, "스토킹 행위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구성요건과 처벌규정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42 (42): 279-302, 2018

      7 김현아,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안에 관한 연구" 젠더법학연구소 7 (7): 109-137, 2015

      8 허경미, "미국의 스토킹 피해자에 대한 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5 (5): 157-183, 2010

      9 박무원, "미국의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형사적 규제 상황"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239-268, 2011

      10 박설민, "랜선 속 당신을 쫓는 검은 그림자, ‘사이버 스토킹’"

      1 박현정, "「스토킹처벌법」상 스토킹 행위 유형에 ‘온라인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를 포함시키는 내용의 입법개선 필요성 연구" 법무부 28-55, 2021

      2 김은주, "온라인 스토킹의 실태 및 대응방안" 국회여성가족위원회 135-138, 2021

      3 송민진 ; 박현정, "스토킹의 현주소와 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9 (9): 141-170, 2021

      4 곽영길 ; 임유석 ; 송상욱, "스토킹의 특징에 관한 연구 -미국·일본·한국의 스토킹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학회 7 (7): 47-76, 2011

      5 정현미, "스토킹범죄 규제를 위한 입법방향" 젠더법학연구소 12 (12): 235-264, 2020

      6 이성기, "스토킹 행위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구성요건과 처벌규정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42 (42): 279-302, 2018

      7 김현아,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안에 관한 연구" 젠더법학연구소 7 (7): 109-137, 2015

      8 허경미, "미국의 스토킹 피해자에 대한 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5 (5): 157-183, 2010

      9 박무원, "미국의 사이버스토킹에 대한 형사적 규제 상황"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239-268, 2011

      10 박설민, "랜선 속 당신을 쫓는 검은 그림자, ‘사이버 스토킹’"

      11 이수환, "등촌동 살인사건 무엇? 이혼 후 GPS 추적, 전처 찾아가 살해"

      12 이수환, "등촌동 살인사건 무엇? 이혼 후 GPS 추적, 전처 찾아가 살해"

      13 藤田尚, "スト一カ一犯罪の実態と将来の問題一スト一か規制法成立後の現状と問題点について" 中央大学 (36) : 203-, 2007

      14 Short, E., "The impact of cyber stalking: the lived experience - A thematic analysis" 12 : 133-137, 2014

      15 Katrina Baum, "Stalking Victimization in the United States" Bureau of Justices Statistics 4-, 2009

      16 김준호, "'전화 끊지마’ 통화 기록만 100여개...살인으로 끝난 10년 단골의 스토킹"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