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힌두 종교문헌의 역사적 전개와 그 종교사적 의의 =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indu Religious Scriptures and Their Meanings in the Hindu Religious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44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힌두교의 전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문헌들을 중심으로 힌두교의 시대별 종교형태와 사상 그리고 의례의 특성을 파악하고 힌두 문헌의 종교사적 의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힌두교사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고 전기 힌두교의 문헌으로 힌두 종교문헌의 근원 텍스트라 할 수 있는 『베다』 (구체적으로는 『리그베다』의 상히따와 『브라흐마나』 그리고 『우빠니샤드』를, 후기 힌두교의 주요 문헌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유신론이 등장하기 시작하는 『마하바라따』 (『바가바드기따』 포함)와 『리마야나』, 현 힌두교 이해에 핵심적이며 종파적 성격을 띠는 『뿌라나』 그리고 여신신앙과 관련되는 『딴뜨라』 문헌을 다루고 있다. 이 문헌들을 중심으로 힌두교의 전개과정을 고찰하면서 종교형태, 사상 그리고 의례체계의 변화, 특히 사제 및 상층 카스트 중심의 종교에서 대중종교로 변모하는 측면과 두 종교적 흐름의 융합 측면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전개시키고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힌두교는 인도 외부에서 유입된 아리야인들의 종교와 토착 부족민들의 다양한 신앙들이 서서히 융합되면서 형성 및 전개되었고 신앙형태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종교문헌들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졌다. 둘째, 이러한 융합과정은 상충되는 요소들이 극한 대립이나 분리가 아니라 상호 공존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힌두교와 그 종교문헌의 역사적 전개가 극단적 세속화나 탈속화 경향, 극단적 의례주의와 관념론 등 양극단을 피하고 양자를 균형 있게 종합할 수 있는 중도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넷째, 사제와 상층 카스트 중심의 엘리트 종교에서 탈피하여 전체 대중을 끌어안는 대중화, 개방화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끝으로 힌두 종교문헌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받고 연구가 덜 된 『뿌라나』와 『딴뜨라』 두 문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뿌라나』는 힌두 종교시의 전개에서 중요한 종교적 변화와 융합을 보여주고 『딴뜨라』 는 정통과는 다르나 힌두 종교사를 통해 면면히 이어져온 종교적 흐름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힌두교의 전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문헌들을 중심으로 힌두교의 시대별 종교형태와 사상 그리고 의례의 특성을 파악하고 힌두 문헌의 종교사적 의의를 분석하는 ...

      이 논문의 목적은 힌두교의 전개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문헌들을 중심으로 힌두교의 시대별 종교형태와 사상 그리고 의례의 특성을 파악하고 힌두 문헌의 종교사적 의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힌두교사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고 전기 힌두교의 문헌으로 힌두 종교문헌의 근원 텍스트라 할 수 있는 『베다』 (구체적으로는 『리그베다』의 상히따와 『브라흐마나』 그리고 『우빠니샤드』를, 후기 힌두교의 주요 문헌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유신론이 등장하기 시작하는 『마하바라따』 (『바가바드기따』 포함)와 『리마야나』, 현 힌두교 이해에 핵심적이며 종파적 성격을 띠는 『뿌라나』 그리고 여신신앙과 관련되는 『딴뜨라』 문헌을 다루고 있다. 이 문헌들을 중심으로 힌두교의 전개과정을 고찰하면서 종교형태, 사상 그리고 의례체계의 변화, 특히 사제 및 상층 카스트 중심의 종교에서 대중종교로 변모하는 측면과 두 종교적 흐름의 융합 측면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전개시키고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힌두교는 인도 외부에서 유입된 아리야인들의 종교와 토착 부족민들의 다양한 신앙들이 서서히 융합되면서 형성 및 전개되었고 신앙형태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종교문헌들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졌다. 둘째, 이러한 융합과정은 상충되는 요소들이 극한 대립이나 분리가 아니라 상호 공존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힌두교와 그 종교문헌의 역사적 전개가 극단적 세속화나 탈속화 경향, 극단적 의례주의와 관념론 등 양극단을 피하고 양자를 균형 있게 종합할 수 있는 중도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넷째, 사제와 상층 카스트 중심의 엘리트 종교에서 탈피하여 전체 대중을 끌어안는 대중화, 개방화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끝으로 힌두 종교문헌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받고 연구가 덜 된 『뿌라나』와 『딴뜨라』 두 문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뿌라나』는 힌두 종교시의 전개에서 중요한 종교적 변화와 융합을 보여주고 『딴뜨라』 는 정통과는 다르나 힌두 종교사를 통해 면면히 이어져온 종교적 흐름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ystems, thoughts and rituals of Hinduism according to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zing of it’s scriptures’ historical development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m in the history of Hinduism. For this, The author divides the history of Hinduism into former and latter terms and analyzes main scriptures in each term. The Veda (Rigveda, Brahmana, Upanishad), which we can say the basic text of Hinduism, is analyzed as the text of former term, Mahabharata, Ramayana, Bhagavadgita, Puisne, Tantra are analyzed as the main texts of latter term. Focussing on these texts, the author presents her views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Hindu religious systems, thoughts and rituals according to historical process. Especially, the author concerns to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Hinduism from the elite religion for priests and higher castes to the popular religion for the mass and the synthesis of these two religious forms.
      The results of this article are like below. The first, Hinduism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with the synthesizing of Aryan religion which came from outside of India and various native religions. And with the changes of religious forms in this process, new religious scriptures were composed continuously. The second, the process of this syncretism had been developed to the direction of not conflicts and splits but coexistence and harmony. The thir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induism and Hindu scriptures went into middle way which could unite the two extremes, like ritualism and idealism and this worldly and other worldly attitudes. The fourth, Hinduism and Hindu scriptures went through the transforming process from the religion of priests and high casts into the popular and open religion for all casts and mass. The last, the author proposes the necessity of more advanced study on Purana and Tantra because these two texts are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of present Hinduism, especially Hinduism for mass but until now they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Purana shows important religious changes and syncretism in the history of Hinduism and Tantra shows another important religious stream in Hinduism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rthodox Hinduism.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ystems, thoughts and rituals of Hinduism according to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zing of it’s scriptures’ historical development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m...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ystems, thoughts and rituals of Hinduism according to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zing of it’s scriptures’ historical development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m in the history of Hinduism. For this, The author divides the history of Hinduism into former and latter terms and analyzes main scriptures in each term. The Veda (Rigveda, Brahmana, Upanishad), which we can say the basic text of Hinduism, is analyzed as the text of former term, Mahabharata, Ramayana, Bhagavadgita, Puisne, Tantra are analyzed as the main texts of latter term. Focussing on these texts, the author presents her views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Hindu religious systems, thoughts and rituals according to historical process. Especially, the author concerns to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Hinduism from the elite religion for priests and higher castes to the popular religion for the mass and the synthesis of these two religious forms.
      The results of this article are like below. The first, Hinduism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with the synthesizing of Aryan religion which came from outside of India and various native religions. And with the changes of religious forms in this process, new religious scriptures were composed continuously. The second, the process of this syncretism had been developed to the direction of not conflicts and splits but coexistence and harmony. The thir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induism and Hindu scriptures went into middle way which could unite the two extremes, like ritualism and idealism and this worldly and other worldly attitudes. The fourth, Hinduism and Hindu scriptures went through the transforming process from the religion of priests and high casts into the popular and open religion for all casts and mass. The last, the author proposes the necessity of more advanced study on Purana and Tantra because these two texts are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of present Hinduism, especially Hinduism for mass but until now they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Purana shows important religious changes and syncretism in the history of Hinduism and Tantra shows another important religious stream in Hinduism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rthodox Hindu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힌두 종교문헌의 역사적 전개와 그 종교사적 의의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힌두 종교문헌의 역사적 전개와 그 종교사적 의의
      • Ⅲ.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경희, "힌두교의 고전적 인간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5

      2 류경희, "힌두 의례의 성격과 의미" 한국종교학회 17 : 1999

      3 류경희, "인도 종교문화와 성"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 : 1997

      4 류경희, "신화와 상징연구에 있어서 의미의 외면적 차원과 내재적 차원의 문제" 서울대학교 1985

      5 Woodroffe, J., "Śakti and Śakta" Ganesh & Company 1987

      6 Debroy, D, "The Shiva Purana, Great Epics of India: Purana 4" Books for All 1991

      7 Basham, A. L,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Hinduism" Oxford Univ. Press 1990

      8 Chatterji, S. A, "The Goddess Kali of Kolkata" UBSPD 2006

      9 Lysebeth, A. V., "Tantra: The Cult of the Feminine" Motilal Banarsidass 2001

      10 Saran, P, "Tantra, Hedonism in Indian Culture" D. K. 1994

      1 류경희, "힌두교의 고전적 인간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5

      2 류경희, "힌두 의례의 성격과 의미" 한국종교학회 17 : 1999

      3 류경희, "인도 종교문화와 성"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 : 1997

      4 류경희, "신화와 상징연구에 있어서 의미의 외면적 차원과 내재적 차원의 문제" 서울대학교 1985

      5 Woodroffe, J., "Śakti and Śakta" Ganesh & Company 1987

      6 Debroy, D, "The Shiva Purana, Great Epics of India: Purana 4" Books for All 1991

      7 Basham, A. L,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Hinduism" Oxford Univ. Press 1990

      8 Chatterji, S. A, "The Goddess Kali of Kolkata" UBSPD 2006

      9 Lysebeth, A. V., "Tantra: The Cult of the Feminine" Motilal Banarsidass 2001

      10 Saran, P, "Tantra, Hedonism in Indian Culture" D. K. 1994

      11 Santiago, J. R, "Sacred Symbols of Hinduism" Book Faith India 1999

      12 Kapoor, S, "Sacred Sanskrit Literature, 3 Vols" Cosmo Publications 2003

      13 Nath, Vijay, "Purana and Acculturation" Munshiram Manohar 2001

      14 Dange, S. A., "Myths from the Mahabharata, Vol. 1-3" Aryan Books International 1997

      15 Mookerjee, A., "Kali, The Feminine Force" Destiny Books 1988

      16 Purthi, R. K, "Introduction to Purana" UBSPD 2005

      17 Shastri G., "Introductiom to Tantra, 2 Vols" Cosmo Publication 2001

      18 Dandekar, R. N, "Insights into Hinduism" Ajanta Publication 1979

      19 Upadhyay, R. N, "Husband-Wife Relationship in Valmiki’s Ramayana. in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Ramayana" Sarup & Sons 2001

      20 Devaraja, N. K, "Humanism in Indian Thought" Indus Publishing Company 1988

      21 Bhattacharya, N. N, "History of the Tantric Religion" Manohar 1992

      22 Dasgupta, S.,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Cambridge Univ. Press 1969

      23 Wilkins, W. J., "Hindu Mythology" Rupa 1975

      24 Pande, G. C, "Foundations of Indian Culture, Vol. 1" Motilal Banarsidass 1984

      25 Desai, D, "Erotic Sculpture of India" Munshiram Manohharlal 1985

      26 Santideva, S, "Encyclopedia of Tantra, 5 Vols" Cosmo Publication 2000

      27 Joshi, T. L., "Development of Indian Culture" Lok Vangmaya Griha 2001

      28 Winternitz,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A New Authoritative English Tanslation, Vol. 1" Motilal Banarsidass 2003

      29 Winternitz, M.,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cutta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5-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12-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아시아연구소 -> 인도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South Asian Studies -> Institute of Ind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7 0.84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