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황청의 신사참배 허용의 최후 과정 = The final process of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for its permission by the Holy Se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multilaterally and deeply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new facts about the cases and circumstances that affected to allow the jinja sampai by the Holy See in the 1930s which the former researches in Korea could have not revealed.
      In the 1930s, Japanese imperialism reinforced the nationalism and militarism and began to suppress the opposite opinions against the governmental policy. The Japanese Church, in between the trouble of Japan, which could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communism, and the trouble of the Japanese Church, stands for a position that supports actively the system of emperor which is equivalent to the state Shinto and the maintenance of the kokutai (forms of state). She decided to cooperate with the policy of state-Shinto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impede the communism that rejects the system of emperor and oppose the Catholic doctrine.
      The problem-posing on the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has come to fore afresh since the 1920s, although it was condemned before by the Holy See. It came to discuss in the bishop’s conference in Manchukuo in which it was decided to understand the ceremony as a civil mean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ssionary policy of the Vatican in favor of a local culture and the reduction of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by the change of chronological significance and the phenomenon of augmentation of cultural significance.
      The Holy See approves the decision of the conference and while the apostolic delegate in Japan applies the principle adopted in the conference to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The same question comes to the beginning phase for the resolution dramatically. The practical guidelines of Propaganda Fide for jinja sampai, the confidential report of the apostolic delegate in Japan and the bonanza of Propaganda Fide continue to the publication of the instruction of Propaganda Fide.
      With this instruction, the jinja sampai was allowed to the Catholic faithful and finally,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in the Churches of Korea and Japan came to an end.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multilaterally and deeply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new facts about the cases and circumstances that affected to allow the jinja sampai by the Holy See in the 1930s which the former ...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multilaterally and deeply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new facts about the cases and circumstances that affected to allow the jinja sampai by the Holy See in the 1930s which the former researches in Korea could have not revealed.
      In the 1930s, Japanese imperialism reinforced the nationalism and militarism and began to suppress the opposite opinions against the governmental policy. The Japanese Church, in between the trouble of Japan, which could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communism, and the trouble of the Japanese Church, stands for a position that supports actively the system of emperor which is equivalent to the state Shinto and the maintenance of the kokutai (forms of state). She decided to cooperate with the policy of state-Shinto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impede the communism that rejects the system of emperor and oppose the Catholic doctrine.
      The problem-posing on the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has come to fore afresh since the 1920s, although it was condemned before by the Holy See. It came to discuss in the bishop’s conference in Manchukuo in which it was decided to understand the ceremony as a civil mean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ssionary policy of the Vatican in favor of a local culture and the reduction of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by the change of chronological significance and the phenomenon of augmentation of cultural significance.
      The Holy See approves the decision of the conference and while the apostolic delegate in Japan applies the principle adopted in the conference to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The same question comes to the beginning phase for the resolution dramatically. The practical guidelines of Propaganda Fide for jinja sampai, the confidential report of the apostolic delegate in Japan and the bonanza of Propaganda Fide continue to the publication of the instruction of Propaganda Fide.
      With this instruction, the jinja sampai was allowed to the Catholic faithful and finally, the question of jinja sampai in the Churches of Korea and Japan came to an e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기존의 신사참배 관련 국내 연구들이 밝히지 못한 1930년대 교황청의 신사참배 허용에 영향을 준 사건과 배경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제시함으로써 신사참배 문제를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1930년대에 들어선 일제는 국가주의와 군국주의를 강화하면서 국가정책에 반대되는 의견을 억압하기 시작한다. 공산주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일제의 고민과 일본 교회의 고민이 겹치면서 일본 교회는 국가 신도와 국체의 유지 등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천황 제도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방책을 내세운다. 가톨릭 교리에 반대되고 천황 제도를 배척하는 공산주의를 저지하기 위해 일본 정부의 국가 신도 정책에 협조하기로 한 것이다.
      1920년대부터 새롭게 조명받기 시작한 공자 예식에 대한 문제 제기는 과거에 이미 교황청으로부터 금지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교황청의 지역 문화에 호의적인 선교 정책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자 예식의 종교적 의미 축소 및 문화적 이해 증대 현상 등의 영향으로 만주국 주교들은 회의를 통해 공자 예식을 시민적인 의미로 인식한다는 결의를 한다. 교황청은 회의 결정사항을 바로 승인하였는데, 주일 교황사절은 창춘 회의에서 사용된 원리를 신사참배 사안에 적용하면서 신사참배 문제는 급속도로 해결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 신사참배에 관한 포교성성의 실질적 지침과 마렐라 주일 교황사절의 비밀 보고서, 그리고 포교성성의 교황청 추기경 회의 보고서(ponenza) 등이 작성되면서 포교성성의 훈령까지 이어진다. 교황청의 훈령으로 공식적으로 가톨릭 신자들의 신사참배가 허용되었고, 이로써 한일 교회의 신사참배 논란은 종지부를 찍는다.
      번역하기

      본고는 기존의 신사참배 관련 국내 연구들이 밝히지 못한 1930년대 교황청의 신사참배 허용에 영향을 준 사건과 배경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제시함으로써 신사참배 문제를 다각적이고 심...

      본고는 기존의 신사참배 관련 국내 연구들이 밝히지 못한 1930년대 교황청의 신사참배 허용에 영향을 준 사건과 배경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제시함으로써 신사참배 문제를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1930년대에 들어선 일제는 국가주의와 군국주의를 강화하면서 국가정책에 반대되는 의견을 억압하기 시작한다. 공산주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일제의 고민과 일본 교회의 고민이 겹치면서 일본 교회는 국가 신도와 국체의 유지 등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천황 제도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방책을 내세운다. 가톨릭 교리에 반대되고 천황 제도를 배척하는 공산주의를 저지하기 위해 일본 정부의 국가 신도 정책에 협조하기로 한 것이다.
      1920년대부터 새롭게 조명받기 시작한 공자 예식에 대한 문제 제기는 과거에 이미 교황청으로부터 금지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교황청의 지역 문화에 호의적인 선교 정책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자 예식의 종교적 의미 축소 및 문화적 이해 증대 현상 등의 영향으로 만주국 주교들은 회의를 통해 공자 예식을 시민적인 의미로 인식한다는 결의를 한다. 교황청은 회의 결정사항을 바로 승인하였는데, 주일 교황사절은 창춘 회의에서 사용된 원리를 신사참배 사안에 적용하면서 신사참배 문제는 급속도로 해결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 신사참배에 관한 포교성성의 실질적 지침과 마렐라 주일 교황사절의 비밀 보고서, 그리고 포교성성의 교황청 추기경 회의 보고서(ponenza) 등이 작성되면서 포교성성의 훈령까지 이어진다. 교황청의 훈령으로 공식적으로 가톨릭 신자들의 신사참배가 허용되었고, 이로써 한일 교회의 신사참배 논란은 종지부를 찍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루수, "천주교 요리 2" 경성부명치정천주교회 1925

      2 정동훈, "일제 강점기하의 한국 천주교회와 신사 참배에 관한 고찰" 한국교회사연구소 11 : 1996

      3 윤선자, "일본 군국주의 종교정책과 조선 천주교회의 신사참배" 한국사연구회 98 : 1997

      4 옥현진, "일본 교회의 신사참배"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156 : 2007

      5 일본 가톨릭 주교회의,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것인가" 가톨릭출판사 2000

      6 영남교회사연구소, "안세화 주교 공문집" 영남교회사연구소 2003

      7 高橋濱吉, "朝鮮敎育史考" 韓國人文科學院 1930

      8 "『경향잡지』 827호"

      9 "Yomiuri"

      10 "Viribus Unitis 6, 9"

      1 최루수, "천주교 요리 2" 경성부명치정천주교회 1925

      2 정동훈, "일제 강점기하의 한국 천주교회와 신사 참배에 관한 고찰" 한국교회사연구소 11 : 1996

      3 윤선자, "일본 군국주의 종교정책과 조선 천주교회의 신사참배" 한국사연구회 98 : 1997

      4 옥현진, "일본 교회의 신사참배"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156 : 2007

      5 일본 가톨릭 주교회의,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것인가" 가톨릭출판사 2000

      6 영남교회사연구소, "안세화 주교 공문집" 영남교회사연구소 2003

      7 高橋濱吉, "朝鮮敎育史考" 韓國人文科學院 1930

      8 "『경향잡지』 827호"

      9 "Yomiuri"

      10 "Viribus Unitis 6, 9"

      11 Young Arthur Morgan, "The socialist and labour movement in Japan"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1979

      12 "The Japan Weekly Times"

      13 "The Japan Advertiser"

      14 Iglehart Edwin Taylor, "The Christian movement in Japan Korea and Formosa, A year book of Christian work 21" Federation of christian missions 1923

      15 Minamiki George, "The Chinese rites controversy from its beginning to modern times" Loyola University Press 1985

      16 "Sylloge praecipuorum documentorum recentium Summorum Pontificum et S. Congregationis de Propaganda Fide necnon aliarum Ss. Congregationum Romanarum"

      17 Metzler Josef, "Sacrae Congregationis de Propaganda Fide Memoria Rerum 3, 2"

      18 Magnino Leo, "Pontificia nipponica : le relazioni tra la Santa Sede e il Giappone attraverso i documenti pontifici (Bibliotheca missionalis, 6) 2"

      19 "Periodica de re morali canonica liturgica 26"

      20 "Nouvelle Revue Théologique 64"

      21 Holtom Daniel Clarence, "Modern Japan and Shinto national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22 Soetens Claude, "L’Église catholique en Chine au XX siècle" Beauchesne 1997

      23 "L’Osservatore Romano"

      24 "La Siège Apostolique et les missions : textes et documents pontificaux1"

      25 Skya Walter, "Japan’s Holy War : the ideology of radical shinto ultra-nationalism" Duke University Press 2009

      26 "Japan-Manchoukuo Year Book 1934" Japan-Manchoukuo year Book Company 1934

      27 "Il pensiero missionario 7, 2"

      28 Youn-sik Han, "Il Concilio Regionale Coreano del 1931 nella prospettiva missionaria della S. Sede" PUG 1931

      29 Bertola Arnaldo, "Enciclopedia Cattolica 9" Ente per l’ Enciclopedia Cattolica e per il Libro Cattolico 1952

      30 "Echo de la reunion des Ordinaires"

      31 Tomoko Masuda, "East Asian History 1"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1

      32 "Directorium commune : ad usum cleri Japonensis iussu et auctoritate"

      33 Metzler Josef, "Die Synoden in China Japan und Korea 1570-1931" Schöningh 1980

      34 "Compte-rendu des travaux-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35 "Collectanea Commissionis Synodalis in Synis 9"

      36 "Bulletin de la Société des missions-étrangères de Paris, Nazareth"

      37 "Asahi"

      38 "Archivio della Sacra Congregazione degli Affari Ecclesiastici Straordinari conservato presso l’Archivio Storico della Segreteria di Stato (Sezione per i Rapporti con gli Stati) – olim Congregazione degli Affari Ecclesiastici Straordinari – AA.EE.SS. - Cina – Giappone pos. 54 (1936), fasc. 67"

      39 "Archivio della Sacra Congregazione degli Affari Ecclesiastici Straordinari conservato presso l’Archivio Storico della Segreteria di Stato (Sezione per i Rapporti con gli Stati) – olim Congregazione degli Affari Ecclesiastici Straordinari – AA.EE.SS. - Cina – Giappone pos. 1 (1918-1937), fasc. 14-15"

      40 "Archivio della Nunziatura Apostolica in Cina (abbr. Arch. Nunz. Cina)- mons. Celso Costantini, buste 81"

      41 "Archivio della Delegazione Apostolica in Giappone (abbr. Arch. Del. Ap. Giappone)- mons. Paolo Marella, buste 19; 27; 37; 43; 45"

      42 "Archivio della Delegazione Apostolica in Giappone (abbr. Arch. Del. Ap. Giappone)- mons. Edward Mooney, buste 5"

      43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901 (1926-1928), rubr. 21"

      44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135 (1932-1934), rubr. 24"

      45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000 (1929-1931), rubr. 21"

      46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Nuova Serie), vol. 819a (1923), rubr. 35"

      47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288 (1935-1937), rubr. 36"

      48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287 (1935-1937), rubr. 35"

      49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282 (1935-1937), rubr. 35"

      50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281 (1935-1937), rubr. 35"

      51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264a (1935-1937), rubr. 24"

      52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155 (1932-1934), rubr. 36"

      53 "Archivio Storico de Propaganda Fide (APF) NS, vol. 1152 (1932-1934), rubr. 35"

      54 "Archivio Apostolico Vaticano (AAV) : Segreteria di Stato, Parte moderna (abbr. Segr. Stato) - 1935, rubr. 191, fasc. 1"

      55 "Archives du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à Paris (AMAEP) NS (nouvelle série), correspondance politique et commerciale, Japon : 61 (1894-1906) Série E, Asie-Océanie, 1944-1955, Japon : vol. 36"

      56 "Archives du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à Paris (AMAEP) NS (nouvelle série), correspondance politique et commerciale, Japon : 61 (1894-1906) Série E, Asie-Océanie, 1918-1940, Japon : 56 (1922-1929), 114 (1930-1937)"

      57 "Archives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AMEP) Papiers Chambon"

      58 "Acta Apostolicae Sedis, Libreria editrice vaticana 28"

      59 정혜선, "1920년대 일본사회주의 운동과 평화공간-일본공산당과 사노 마나부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925-941, 2016

      60 Ray Robert Noll, "100 Roman documents concerning the Chinese rites controversy (1645-1941)" The Ricci Institute for Chinese-Western Cultural History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