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한의 전통 유교 철학 연구들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 = A Genealogical Contemplation on Studies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99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분단 이후 남과 북에서 이루어진 전통 유교 철학에 대한 연구의 특징을 계보학적으로 비교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1945년 해방은 일제 강점기의 지적 유산과 함께 시작되었...

      이 연구의 목적은 분단 이후 남과 북에서 이루어진 전통 유교 철학에 대한 연구의 특징을 계보학적으로 비교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1945년 해방은 일제 강점기의 지적 유산과 함께 시작되었기에 한편으로 식민지의 전통유교 철학을 극복하려는 연구 방법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 그 식민지 철학의 부정적인 영향아래 전통 유교 철학을 답습하는 연구 방법도 있었다. 분단체제하에서 이북은 전통 유교 철학을 답습하는 연구 방법도 있었다. 분단 체제하에서 이북은 전통 유교 철학에 대해 유물론적 세계관과 변증법적 방법의 비판을 통해 민족 주체의 철학을 수립하려고 하였다. 계보학적으로 볼 때 이러한 경향은 일제 강점기 유교 전통에 대한 다양한 비판을 계승한 것이다. 이에 반해 이남은 다양한 방법으로 전통 유교를 연구했으며, 그 가운데 관념론적 세계관과 형이상학적 방법이 주된 흐름이었다. 일제 강점기 친일유림들의 황도 유교의 방법이 청산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많이 남았던 것이 이남의 전통 유교 연구 방법의 특징이었다. 시기별로 볼 때 해방 후 이북은 일제 강점기까지 이어진 전통 유교 철학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후에는 조선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자주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주체사상이 성립하는 시기와 일치하며, 주체사상의 전통 철학적 연원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인 것이다. 이남은 해방 후 일제 강점기 황도 유교를 철저히 청산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오랜 기간 황도 유교의 영향 하에 전통 유교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독재에 맞선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민족적 자각이 형성되었고, 그 과정에서 식민지 철학에 대한 문제 의식이 확산되었으며, 황도 유교에 대한 비판이 일부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전통유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경향은 적지 않은 연구 성과의 축적으로 이어졌다. 남과 북의 전통 유교 철학에 대한 연구 특징은 일정한 관점이 전제된 이념과 방법의 문제가 있다. 분단체제하에서 이남과 이북이 모두 극단적인 이념적 편향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이남은 공산주의 반대 이념을 극단적으로 추구했으며, 이북은 자본주의 반대 이념을 철저하게 고수했던 것이다. 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이북의 경우는 주체사상이라는 이상주의적 모형을 전제로 전통유교를 재편했으며, 이남의 경우는 다양한 연구 경향들 가운데 여전히 황동 유교 방법의 부정적 유산이 남아있었던 것이다. 남과 북의 전통 유교 연구에 내재한 공통의 문제는 아직도 분단체제의 이념적 편향이 남아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남이든 북이든 전통 유교 철학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분단체제의 이념적 편향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전통 유교를 연구할 때 필요한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유교 철학이 형성된 당시의 사회경제적 기초에 대한 객곽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할 필요가 있다. 전통 유교에 대한 연구가 형이상학 방법에 입각할수록 전통 유교는 더욱 알 수 없는 것이다. 둘째 전통 유교에 대해 철저하게 비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이남의 경우 그동안 유교를 엄밀한 의미의 학적 대상으로 삼지 못하고, 철저히 비판하지도 못한 한계가 있다. 철저한 비판을 통해 유교의 문제점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통 유교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창조적인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의 생활세계와 의식세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통 유교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그 미래지향적 의미를 규명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written for the purpose to contemplate genealogically on studies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in Korea. In 1945, there were inheritances of japanese confucian studies, that is Hwangdo(皇道) Confucianism. After 8·15 Liberat...

      This thesis is written for the purpose to contemplate genealogically on studies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in Korea. In 1945, there were inheritances of japanese confucian studies, that is Hwangdo(皇道) Confucianism. After 8·15 Liberation, there were various studies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in Korea. By the way scholars had an ideology under the Division-System in Korea. For example, scholars had an extreme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and scholars had a maximum Anti-Capitalism in North Korea. And northern scholars criticized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with the materialism and dialectic. After they did the studies, they made Juche Thought(主體思想) in succession. Comparatively southern scholars followed it with the idealism and metaphysics. But after Democracy Movement in 1987, young scholars criticized it with dialectic in South Korea. Therefore there are various studies in South Korea. However scholars had a problem about studies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in South and North Korea, that was a biased viewpoint. I think that they must try to overcome the problem. For the upright study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scholars must have three rules. The first, we must understand social-economic bases of it. The second, we must criticize the problem of it. The third, we must scientifically change the method of it in the course of reinterpretation. If we study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with three rules, we will come to a scientific conclusion about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열, "황도 유교의 사유체계와 방법론적 문제점에 대한 비판, In 황도유교 비판" 비판철학회 2004

      2 류정수, "홍대용의 철학 사상" 과학원출판사 (1) : 1963

      3 리춘일, "홍대용의 선진적 우주관" 사회과학원출판사 (3) : 1966

      4 이병창, "해방 이후 북한철학사-의식, 문화, 도덕, 심리에 관한 철학을 중심으로" 동녘 (9) : 1994

      5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 1997

      6 최영성, "한국유학사상사 V-근현대편-" 아세아문화사 1997

      7 배종호, "한국유학사" 연세대 출판부 1974

      8 윤사순, "한국사상사에 있어서의 일제 잔재, In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집문당 1976

      9 정진석, "최한기의 륜리 사상-그의 탄생 160주년에 제하여" 과학원출판사 (3) : 1966

      10 이병수, "주체사상의 보편화 및 체계화 과정에 대한 분석" 동녘 (9) : 1994

      1 김원열, "황도 유교의 사유체계와 방법론적 문제점에 대한 비판, In 황도유교 비판" 비판철학회 2004

      2 류정수, "홍대용의 철학 사상" 과학원출판사 (1) : 1963

      3 리춘일, "홍대용의 선진적 우주관" 사회과학원출판사 (3) : 1966

      4 이병창, "해방 이후 북한철학사-의식, 문화, 도덕, 심리에 관한 철학을 중심으로" 동녘 (9) : 1994

      5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 1997

      6 최영성, "한국유학사상사 V-근현대편-" 아세아문화사 1997

      7 배종호, "한국유학사" 연세대 출판부 1974

      8 윤사순, "한국사상사에 있어서의 일제 잔재, In 한국에서 철학하는 자세들" 집문당 1976

      9 정진석, "최한기의 륜리 사상-그의 탄생 160주년에 제하여" 과학원출판사 (3) : 1966

      10 이병수, "주체사상의 보편화 및 체계화 과정에 대한 분석" 동녘 (9) : 1994

      11 편집실, "주체사상에 대하여, In 원자료로 본 북한 1945-1988"

      12 홍건영, "주체사상 체계 확립 이후의 북한철학" 동녘 (9) : 1994

      13 류정수, "조선철학사에서의 리기 문제에 관하여" 과학원 출판사 (2) : 1965

      14 최봉익, "조선철학사개요 -주체사상에 의한 『조선철학사』(1962)의 지양-" 사회과학출판사 1986

      15 정진석, "조선철학사(상)"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60

      16 다카하시 도오루, "조선의 유학" 소나무 1999

      17 현상윤, "조선유학사(1949)" 현음사 1982

      18 정성철, "조선에서 철학사상의 발생과 발전" 사회과학원철학연구소 (2) : 1991

      19 정성철, "조선실학의 철학적 특징" 사회과학원철학연구소 (4) : 1990

      20 류정수, "정다산의 자주 사상" 과학원출판사 (2) : 1962

      21 김재현, "월북철학자들-생애와 저작" (1) : 1990

      22 편집부, "우리 당의 주체 사상에 대하여" 사회과학원출판사 (2) : 1965

      23 리용태, "연암 박지원의 자연관-그의 탄생 230주년을 기념하여-" 사회과학원출판사 (1) : 1967

      24 최동종, "실학파철학에서의 자연에 대한 견해와 과학기술발전에 관한 사상"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3) : 1987

      25 정성철,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한마당 1989

      26 이훈, "북한철학의 흐름" 동녘 (9) : 1994

      27 김교빈, "북한철학계의 전통철학 연구 경향과 앞으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동녘 (9) : 1994

      28 허남진, "북한의 조선철학사, 한국철학사연구에 하나의 자극" 역사비평사 (겨울) : 1988

      29 지교헌, "북한의 실학사상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 In 북한의 한국학 연구성과 분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30 조남국, "북한의 성리학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 In 북한의 한국학 연구성과 분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31 이남영, "북한의 『조선철학사』 서술의 특징과 문제점" 23 : 1988

      32 이상훈, "북한에서의 서양철학" 동녘 (9) : 1994

      33 류정수, "리익의 철학 사상, In 철학론문집" 과학원출판사 1960

      34 김원열, "동북아시아 유교의 전통과 현대" 한국학술정보 2007

      35 김원열, "동북아시아 삼국의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근대 이행기 ‘전통과 근대’의 민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6 (16): 111-148, 2005

      36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단재신채호전집 하(개정판)" 형설출판사 1995

      37 리용태, "다산 정약용의 우주관" 과학원출판사 (3) : 1962

      38 최형록, "다산 정약용의 미학 사상에 대하여" 과학원출판사 (3) : 1962

      39 정진석, "다산 정약용의 륜리 사상" 과학원출판사 (3) : 1962

      40 김교빈, "남북철학계의 시각차와 북한철학계의 변화에 대한 검토" 호서대 인문과학연구소 11 : 1992

      41 심산사상연구회, "김창숙문존"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9

      4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43 한국철학회, "『한국철학사』, 전3권" 동명사 1997

      44 성태용, "『조선철학사』의 사실성 문제" 23 : 1988

      45 이준모, "『조선철학사』에 적용된 유물사관" 23 : 1988

      46 열암기념사업회, "『박종홍전집』, 전 7권, 증보판" 민음사 1998

      47 김원열, "(증보판)중국철학의 인간 개념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emiannually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 EPOCH AND PHILOSOPHY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1.3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