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주 남산 불국사화강암의 풍화특성과 풍화미지형 발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표면의 기복(relif)과 관련된 지구의 다양한 내적작용(endogenic process)과 외적작용(exogenic process)을 연구하는 지형학(geomorphology) 분야에서 풍화작용(weathering)은 지각(lithosphere) 최상층의 기반암과 암석 등을 파괴시켜 지표의 평형작용을 돕거나 다른 지형을 만드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형형성작용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또한 교각이나 건축물 등의 인공구조물이나 석탑이나 석불 등의 석조문화재 등의 훼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풍화작용에 대한 연구는 인간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지각이나 암석의 풍화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사면방향이나 해발고도 등의 지형적 요인과 기온, 강수, 바람, 습도 등의 기후적 요인 그리고 동·식물 등의 생물학적 요인이 포함된다. 풍화작용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 가운데 특히 암석에 포함된 수분이 암석을 풍화시켜 파괴하는 매우 중요한 매개체라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황상일 외, 2011). 암석에 형성된 절리를 따라 침투한 수분은 겨울철 동결 팽창되어 절리를 확장시켜 암석을 파괴한다. 그리고 여름철 높은 온도에서는 암석의 구성광물과 반응하여 광물입자 간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거나 여러 가지 풍화잔류물을 형성하면서 풍화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공되는 풍화잔류물과 수분을 영양분으로 지의류 또는 고등식물들이 생육하면서 생물학적 풍화작용이 가속되기도 한다(Eswaran and Bin, 1978; Harris et al., 1985; Drever, 1988; 김영화․홍순호, 1990; 김수진․이석훈, 2000, 2001; 최석원 외, 2001; 이찬희 외, 2003). 이처럼 풍화작용의 전제 조건인 수분은 암석의 풍화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도적인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풍화산물을 용탈(leaching) 혹은 세탈(illuviation)하여 풍화물질을 제거하므로 풍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만들어 준다. 특히 암석의 수분 함유량과 수분이 암석 내부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 등에 따라 풍화작용의 양상이 달라지고, 동결․융해와 습윤․건조의 반복에 의한 풍화작용 및 기타 염풍화작용 등도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암석 내 함유된 수분값은 압축력과 인장력 등 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암석의 훼손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된다. 즉 수분값이 높으면 암석의 강도는 약하며 수분값이 낮으면 암석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이러한 암석의 강도는 풍화에 대한 저항력의 정도를 나타내며, 암석의 강도가 높을수록 풍화속도가 느린 신선한 암석이다. 이와 같이 암석에 포함된 수
      번역하기

      지표면의 기복(relif)과 관련된 지구의 다양한 내적작용(endogenic process)과 외적작용(exogenic process)을 연구하는 지형학(geomorphology) 분야에서 풍화작용(weathering)은 지각(lithosphere) 최상층의 기반암...

      지표면의 기복(relif)과 관련된 지구의 다양한 내적작용(endogenic process)과 외적작용(exogenic process)을 연구하는 지형학(geomorphology) 분야에서 풍화작용(weathering)은 지각(lithosphere) 최상층의 기반암과 암석 등을 파괴시켜 지표의 평형작용을 돕거나 다른 지형을 만드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형형성작용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또한 교각이나 건축물 등의 인공구조물이나 석탑이나 석불 등의 석조문화재 등의 훼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풍화작용에 대한 연구는 인간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지각이나 암석의 풍화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사면방향이나 해발고도 등의 지형적 요인과 기온, 강수, 바람, 습도 등의 기후적 요인 그리고 동·식물 등의 생물학적 요인이 포함된다. 풍화작용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 가운데 특히 암석에 포함된 수분이 암석을 풍화시켜 파괴하는 매우 중요한 매개체라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황상일 외, 2011). 암석에 형성된 절리를 따라 침투한 수분은 겨울철 동결 팽창되어 절리를 확장시켜 암석을 파괴한다. 그리고 여름철 높은 온도에서는 암석의 구성광물과 반응하여 광물입자 간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거나 여러 가지 풍화잔류물을 형성하면서 풍화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공되는 풍화잔류물과 수분을 영양분으로 지의류 또는 고등식물들이 생육하면서 생물학적 풍화작용이 가속되기도 한다(Eswaran and Bin, 1978; Harris et al., 1985; Drever, 1988; 김영화․홍순호, 1990; 김수진․이석훈, 2000, 2001; 최석원 외, 2001; 이찬희 외, 2003). 이처럼 풍화작용의 전제 조건인 수분은 암석의 풍화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도적인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풍화산물을 용탈(leaching) 혹은 세탈(illuviation)하여 풍화물질을 제거하므로 풍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만들어 준다. 특히 암석의 수분 함유량과 수분이 암석 내부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 등에 따라 풍화작용의 양상이 달라지고, 동결․융해와 습윤․건조의 반복에 의한 풍화작용 및 기타 염풍화작용 등도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암석 내 함유된 수분값은 압축력과 인장력 등 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암석의 훼손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된다. 즉 수분값이 높으면 암석의 강도는 약하며 수분값이 낮으면 암석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이러한 암석의 강도는 풍화에 대한 저항력의 정도를 나타내며, 암석의 강도가 높을수록 풍화속도가 느린 신선한 암석이다. 이와 같이 암석에 포함된 수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eathering is one of basic geomphological formation process as it influence to surface gradation by destroying bedrocks around surface and other geomorphological process by direct/indirect. There are many components influencing to weathering process such as moisture, hardness of bedrocks etc. The moisture is important index to identify physical-chemical-biological weathering rates and weathering mechanism of the rocks. Weathering process is altered by moisture rate and stay duration of moisture in the rocks. And these phenomena not only control to weathering by repeat to freezing-thawing and wet-dry but also control to salt weathering.
      For analyse characteristics of given reg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ing to the weathering process as basic of geomorphological process. Understanding to the weathering process is help to identification of weathering microtopography. Because the micro-geomorphological structures of weathering microtopography such as gnamma and tafoni are well developed on the granitic surface in Korea, study areas are selected Bulguksa granite at Mt. Nam in Gyeongju. Methodologies are mesurment of moisutre rate in the rock samples(20 samples at each area), XRD(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and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analysis for di
      번역하기

      The weathering is one of basic geomphological formation process as it influence to surface gradation by destroying bedrocks around surface and other geomorphological process by direct/indirect. There are many components influencing to weathering proce...

      The weathering is one of basic geomphological formation process as it influence to surface gradation by destroying bedrocks around surface and other geomorphological process by direct/indirect. There are many components influencing to weathering process such as moisture, hardness of bedrocks etc. The moisture is important index to identify physical-chemical-biological weathering rates and weathering mechanism of the rocks. Weathering process is altered by moisture rate and stay duration of moisture in the rocks. And these phenomena not only control to weathering by repeat to freezing-thawing and wet-dry but also control to salt weathering.
      For analyse characteristics of given reg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ing to the weathering process as basic of geomorphological process. Understanding to the weathering process is help to identification of weathering microtopography. Because the micro-geomorphological structures of weathering microtopography such as gnamma and tafoni are well developed on the granitic surface in Korea, study areas are selected Bulguksa granite at Mt. Nam in Gyeongju. Methodologies are mesurment of moisutre rate in the rock samples(20 samples at each area), XRD(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and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analysis for di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